$\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15 - 423  

이현옥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박지영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행복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많고, 치과 정기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하위개념 중 기능장애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세치제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신체적 통증에서는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불편감은 성별, 칫솔질 횟수, 정기검진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신체적 능력 저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능력 저하는 연령, 동거인 유무, 배우자 유무,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또한 연구대상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동거인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OHIP-14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고, 구강관련 삶의 질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 및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다양한 노인구강향상프로그램 개발 등의 여러 사회적 방안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in senior citizen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ir happiness index.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0 senior citizens aged 65 years or older, who resided in North Jeoll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7 to 30,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대부분 구강건강행태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기에16)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를 파악하고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전반적인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
  •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인 행복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 문제 가운데서도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보건 의료적 측면의 문제는 남은 수명에서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구강 건강을 증진 유지하기 위한 노인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5). 소화와 영양섭취에 관련이 깊은 구강건강은 노인의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한 필수 요소이며, 노인의 건강지표로 구강건강은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6).
웰빙의 의미는 무엇인가? 행복은 삶의 질, 삶의 만족도, 주관적인 안녕감과 상호관련성이 있어 유사한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정서상태이자 주관적으로 느끼는 바람직한 경험으로 부정적인 정서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인지하는 사람을 행복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7). 또한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0년 이후 행복,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만족감, 삶의 질을 의미하는 ‘웰빙’이라는 단어가 출현하면서 노인들의 행복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구강기능은 삶의 행복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가 구강건강이라고 생각된다.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개로 보고되었다. 이는 구강 보건교육을 받은 후 구강건강의 중요성의 동기부여가 되어 칫솔질 및 정기검진 등의 구강관리를 충실히 하게 될 것이며, 이는 구강건강향상으로 이어져 행복감을 높이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구강보건교육이나 다른 매체 등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실천이 용이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2 revision. United Nations, New York, 2003. 

  2. Lee MS, Kim SH, Yang JS, Oh JS, Kim D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elderly Korean 65+. J Korean Acad Oral Health 29: 210-221, 2005. 

  3. Statistics Korea. 2010 the aged statistics. Statistics Korea, Seoul, pp.1-36, 2010. 

  4. Choi SL, Jeong SH, Bae HS, Ryu YA, Choi YH, Song KB: A survey of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ecipients of the senile prosthetic restoration program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29: 474-483, 2005. 

  5. Kim JB, Choi YJ, Moon HS, et al.: Public oral health. 4th ed. Komoonsa, Seoul, pp.266-276, 2009. 

  6. Lomax JD: Geriatric ambulatory and institutional care. Medico Dental Media, St. Louis, pp.175-189, 1987. 

  7. Ryan RM, Deci EL: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 Rev Psychol 52: 141-166, 2004. 

  8.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1: 3-11, 1994. 

  9. John Mt, Patrick DL, Slade GD: The Germ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tansl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Eur J Pral Sci 110: 425-433, 2002. 

  10. Att W, Stappert C: Implant 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Quintessence Int 34: 573-581, 2003. 

  11. Szentpetery A, Szabo G, Marada G, Szanto I, John MT: The Hungarian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Eur J Oral Sci 114: 197-203, 2006. 

  12.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 284-290, 1997. 

  13. Allen PF, Locker D: Do you item weights matter?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4: 133-138, 1997. 

  14. Kim JS, Lee BH: Assessmen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for the ADL inpatients in geriatrics hospital. J Dent Hyg Sci 9: 303-310, 2009. 

  15. Jang SH, Choi MH: Original: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by OHIP-14. J Korean Acad Dent Educ 11: 475-487, 2011. 

  16. Kim MH, Kim KW, Lee KS: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Dent Hyg Sci 14: 488-494, 2014. 

  17. Slade G, Spencer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1: 3-11, 1994. 

  18.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5: 3-18, 1988. 

  19.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 284-290, 1997. 

  20. Bae GH: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s in Korean eld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5. 

  21. Yoon HS: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J Korea Cont Assoc 13: 313-321, 2013. 

  22.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 Psychol 31: 117-124, 1976. 

  23. Alexandrova A: Subjective well-being and Kahneman's objective happiness. J Happiness Stud 6: 301-324, 2005. 

  24. Choi YH, Seo I, Son HK, et al.: Associations of dental disease with madical status. J Prev Med Public Health 53: 42-43, 2001. 

  25. Jung JA: Korean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6. 

  26. Cho KA: Oral health status of aged people who are subject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in rur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2007. 

  27. Woo SR: The impact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2010. 

  28. Seo SM: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of senior citizens with and without daily activity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0. 

  29. Kim AY: Level and associating factors of self assessed satisfaction of life among elderly in a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009 

  30. Kwon JD, Cho JY: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 Korea Gero Soc 20: 61-76, 2000. 

  31. Gwon MY, Young JY: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al health activities and oral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J Dent Hyg Sci 6: 271-276, 2006. 

  32. Kim Sh, Lim SA, Park SJ, Kim DK: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J Korean Acad Oral Health 28: 559-569, 2004. 

  33. Kim HY, Lee AH, Lee SJ, Choi SH: Fourfold hardships of Korea elders, causes countermeasures. Gyeonggi Res Inst Issue Anal 120: 1-2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