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인식
The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he National Practical Examination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88 - 494  

고다경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배성숙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임상에서 실질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국가 실기시험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치위생(학)과 교수 101명(50.8%)과 임상치과위생사 98명(49.2%)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현행 국가 실기시험의 공정성에 대한 의견은 치위생(학)과 교수 41.6%(42명), 임상치과위생사 56.1% (55명)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현행 국가 실기시험이 직무중심의 종합적인 임상실기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치위생(학)과 교수 36.6% (37명)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임상 치과위생사 56.1% (55명)는 '평가할 수 없다'라고 응답하였다(p<0.05). 또한 환자 중재의 상담기법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치위생(학)과 교수 72.3% (73명), 임상 치과위생사 72.4% (71명)가 '평가할 수 없다'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5). 국가 실기시험의 문항으로 반드시 필요한 업무인지를 조사한 결과, 치위생(학)과 교수는 '치면연마'와 '칫솔질 교육'이 99.0% (100명)로 각각 가장 높았고 인상채득, 치주기구조작, 치면열구전색 98.0%(99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에서는 '초음파 치석제거'가 86.7% (85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상채득 및 칫솔질 교육이 78.6% (77명) 순이었다(p<0.05). 치위생(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조사한 실습교육 여부는 '치면연마' 및 '칫솔질 교육'이 '교육한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99.0%(100명)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인상채득'과 '치주기구조작', '치면열구전색'이 98.0% (99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가 임상에서 실제 수행하는 다빈도 업무는 '인상채득', '모형제작', '초음파 치석제거', '진료 주의사항 설명'이 99.0% (97명)로 가장 많았고 '진료기록부 작성'과 '임시부착물 장착 및 제거', '기구세척'이 98.0% (96명) 순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현행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치위생(학)과 교수 및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인식과 평가 그리고 국가시험 문항으로의 중요도, 다빈도 수행업무 등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he current national pract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199 self-reported surveys answered by professors of dental hygiene studies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의 치과위생사들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필요한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고안을 위하여 임상 치과위생사 및 치위생(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현행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reyfus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어느 한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가 되기까지 필요한 경력은? 임상실무능력을 단계별로 판단하기 위해 Dreyfus 모델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실무능력 및 판단능력을 측정한 결과 어느 한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가 되기까지는 최소 5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1). 그러나 최근 한 연구에 의하면 치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임상진료실무 및 협조업무는 대부분의 4년 이하의 경력자들에게 집중되어 있고2), 경력이 많아지고 책임이 증가할수록 상담 및 관리 업무를 주로 수행한다3).
현행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현행 국가 실기시험이 '평가할 수 있다'는 응답이 가장 낮게 나타난 역량은? 1% (92명)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종합적인 임상실기능력’을 비롯한 ‘문제해결능력’, ‘포괄치위생과정’ 및 ‘상담기법’과 같은 다른 역량에 대해서는 현행 국가 실기시험이 ‘평가할 수 있다’는 응답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현행 치과위생사의 국가시험이 치과위생사의 질 검정기능이 부족하다고 조사된 Nam 등12)과 Kim과 Kim18)의 연구와 의미를 같이하며 향후에 국가 실기시험 개선 시, 편중된 단일 사고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술기와 치과위생사로의 자질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치위생 교육의 목표는? 치위생 교육은 치과위생사가 임상현장에서 실무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13). 그러나 대부분 전문적 이론 및 기술 습득에만 국한되어 있어 현상에 대한 종합적 이해나, 판단력, 의사결정과 같은 사고력을 육성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ner PE: From novice to expert. Ame J Nur 28: 285-290, 1984. 

  2. Sim SH, Hwang YS: A study on the job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and their job performance. J Korean Soc Dent Hyg 7: 153-166, 2007. 

  3. Kwon JY, Lee SY: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16: 302-309, 2016. 

  4. Kang YJ: Importance of job tasks, job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felt by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5: 1-13, 2005. 

  5. Kim EG, Lim SH, Kwon MY: Analysis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for dental hygienist for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 Dent Hyg Sci 14: 35-42, 2014. 

  6. Kim SH, Song KH, Kwon HS, et al.: Dental hygienist job analysis for item development for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licensing examination. J Educ Eval Health Prof 2: 59-74, 2005. 

  7. Won BY, Jang GY, Hwang MY, et al.: 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J Korean Soc Dent Hyg 13: 1-12, 2013. 

  8. Hwang MY: Approach toward integrated curriculum for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3: 59-72, 2003. 

  9. Kim SM, Kim JY, Park EB, et al.: Field manager's opinion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competency. J Dent Hyg Sci 14: 81-86, 2014. 

  10. Mun SJ, Noh HJ, Jeon HS, et al.: A six-year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in dental hygiene school and performance on the Korean dental hygiene licensing examination at Yonsei University. J Dent Hyg Sci 14: 332-341, 2014. 

  11. Ahn SY, Oh BK, Hwang SH, et al.: Some dental hygienist by career expectations regarding clinical work done in the field of business studies. J Korean Soc Dent Hyg 13: 543-552, 2013. 

  12. Nam YO, Ju UJ, Kim MJ: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dental hygienist practical examination. J Korean Soc Dent Hyg 13: 201-209, 2013. 

  13. Hwang MY, Won BY, Shin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ental hygienist job awareness and view of college courses amongs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11: 939-949, 2011. 

  14. Yang SK: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11: 455-462, 2011. 

  15. Choi GY, Lee HS: Analysis of the education objective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from core competencies-based perspective. J Korean Soc Dent Hyg 12: 1049-1058, 2012. 

  16. Kim HY, Lee SJ: Diagnosis and direction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ourses and effects. Korean J Gen Educ 10: 11-40, 2012. 

  17. Kim SH, Jang JH, Oh SH: A study for the improvement subjects of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licensing examination. J Dent Hyg Sci 9: 353-360, 2009. 

  18. Kim SH, Kim DK: Effects of problem-cas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in dental hygiene students education. J Korean Acad Dent Health 33: 82-89, 2009. 

  19. Hwang M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s in comparison with the curriculum segment of the accrediting criteria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18: 193-204, 2008. 

  20. Shin SJ, Son JH, Choi YK, et al.: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 and their practice. J Dent Hyg Sci 7: 25-30, 2007. 

  21. Park MK: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by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13: 103-116, 2011. 

  22. Bae SM, Shin SJ, Jang JH, et al.: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a dental hygiene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ntal hygienist competency. J Korean Soc Dent Hyg 16: 173-18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