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Music Therapists'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2, 2016년, pp.31 - 48  

최주애 (라아쉬 뮤직 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 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 A total of 98 certified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or a 46.7% response rate, and 78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7명) 순이었다. 다음으로 응답자들에게 전문 학술지 게재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조사 결과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26.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업전문성 인식을 조사하여 전문직으로 음악치료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경력, 교육정도에 따라 직업전문성 인식의 차이와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자유로운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전문자격을 보유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업전문성 인식, 자기평가, 직업전문성의 주요 요인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 자가평가하도록 하였다. 자신의 전문 성에 대해 0-10점으로 평정하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업전문성 인식을 조사하여 전문직으로 음악치료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경력, 교육정도에 따라 직업전문성 인식의 차이와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자유로운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치료사에게 전문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음악치료사 또한 개인의 건강 회복을 목표로 세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엄격한 자격기준과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업이다(Alley, 1978; Moreno, 1969). 음악치료사의 전문성에는 학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전 과정이 포함된다 (Chong, 2015).
현대 사회의 기술 및 문화의 발달이 직업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기술 및 문화의 발달은 직업의 다양화를 동반하여 새로운 직업 창출과 함께 직업 특성의 세분화 및 전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업의 내용과 역할에 따라 각 직업전 문성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ha, 2008; Kim & Han, 2012; Kim & Yoo, 2011; Lee, 2011).
음악치료사는 음악치료의 목적과 목표를 무엇에 따라 설정해야 하는가? 음악치료사의 전문성에는 학문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전 과정이 포함된다 (Chong, 2015). 또한 음악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은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하며(Chung, 2001), 각 대상의 주요 증상과 필요에 따라 음악치료의 목적과 목표가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Bruscia, 2014; Davis, Gfeller, & Thaut,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y, J. M. (1978). Competency based evaluation of a music therapy curriculum. Journal of Music Therapy, 15(1), 9-14. 

  2. An, D. H., & Kim, N. R. (2015). Influences of teacher stress on teacher competency and personal accomplishment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group differences on gender(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역량과 개인적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간 다집단 분석).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273-295. 

  3. Bruscia, K. E. (2014). Defining music therapy (3rd ed.). University Park, IL: Barcelona Publishers. 

  4. Cha, I. J. (2008)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5. Chang, K. Y., Lee, H. S., Jung, M. Y., Jeon, B. J., Park, S. H., Woo, H. S., & Shim, S. H. (2015).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essential competency(한국형 작업치료사 필수역량 개발연구).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4), 1-16. 

  6. Chong, H. J. (2007). Intrapersonal competency in music therapy: Challenges for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음악치료에서의 개인적 역량: 교육과 임상적 훈련에 대한 도전).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4(2), 106-114. 

  7.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8. Chung, Y. J. (2001).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in Korea(한국 음악치료의 역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2008).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3rd ed.). Silver Spring, MA: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10. Han, C. G., & Hwang, S. S. (2012).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바우처 기관 언어치료사의 직업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Journal of Speech Language & Hearing Disorders, 21(4), 287-305. 

  11. Han, Y. H., Sohn, I. S., Park, K. O., & Kang, K. H.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몰입,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17-31. 

  12. Jeong, W. J. (2013). A study on self-empowerment through a vocal improvisation of trainees specialized in music therapy(음악치료 전공생의 목소리 즉흥을 통한 자기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H. J. (2010). An analysis of music therapist's self-evaluation and educational needs on professional competency(음악치료사의 전문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교육요구 분석)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H. Y., & Kim, Y. M. (2011). A study on effect of perception of ethics and expertism of Korean social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한국사회복지사의 윤리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58, 209-232. 

  15. Kim, N. S., Nam, H. E., & Jin, H. M. (2014). The effect of burnout risk for burnout and its mediating effect of burnout resilience: About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사회복지종사자들의 소진위험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진탄력성의 매개효과). Journal of Critical Sociology, 45, 98-124. 

  16. Kim, S. J. (2009). A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49-270. 

  17. Kim, S. J. (2015, December).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rtification system and professionalism(음악치료사 자격제도의 국내외 현황과 전문성). In Lee. M. S. (Chair), Settlement of rehabilitation therapy system in the developed countries. Panel discussion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Association, Seoul. 

  18. Kim, S. J., & You, Y. J. (2011). Current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ism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6, 397-407. 

  19. Kim, S. Y. (2013). The study on music therapy student's current additional curricular training and need for professional competency(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치료사 역량 훈련 필요성 인식조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Kim, Y. H., & Han, H. J. (2012). Relationship study of teacher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with recogni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professionalism(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교사헌신도의 관계 분석).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51(1), 91-108. 

  21. Kim, Y. S. (2012). Music therapists' job satisfaction,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The Arts in Psychotherapy, 39(2012), 66-71. 

  22. Koo, H. J., & Kim, M. Y. (2016). A study on the resilience and burn-out of the teachers in public preschoo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공립유치원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6(1), 135-160. 

  23. Kwon, N. W. (2009). A study on the ethical dimension of teaching as a teacher's professionalism(교사전문성으로서의 수업의 윤리적 측면). The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3), 19-41. 

  24. Lee, M. H. (2011). Counselor's psychotherapy and expertise development(상담자의 심리치료와 전문성 발달).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5, 27-59. 

  25. Lee, S. H., & Bang, Y. S. (2015).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n the job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근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95-108. 

  26. Lim, S. R. (2002). A study on the teaching eth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9(1), 157-173. 

  27. Moreno, J. (1969). The identity of music therapist. Journal of Music Therapy, 6(1), 19-25. 

  28.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Music Therapists (2016). Who are Korean certified music therapist?(음악중재전문가가 되려면) Retrieved from http://www.nakmt.or.kr/sub/sub2_2.asp 

  29. Yi, S. Y. (2008). Music therapists' experiences i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과 역전이 관리 능력).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5(1), 17-41. 

  30. You, Y. J., & Choi, B. C. (2012).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장애아동재활치료사의 전문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55(3), 163-1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