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드레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irsium setidens Nakai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7 = no.82, 2016년, pp.1 - 10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곤드레 분말을 설기떡에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은 무첨가구(40.67%)에 비해 곤드레 분말 첨가군(36.51~38.43%)이 낮게 나타났고, 색도는 곤드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곤드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탄력성, 씹힘성은 증가하나,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곤드레 분말 5% 첨가 설기떡 > 1% 첨가 설기떡 > 3% 첨가 설기떡 > 0% 첨가 설기떡 > 7% 첨가 설기떡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곤드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을 $18^{\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는 동안의 총균수 변화는 제조 직후 모든 첨가군의 총균수 함량은 2(logCFU/g) 이하이었고, 3일 저장하는 동안 0%(4.02), 1%(4.94), 3%(5.94), 5%(6.28), 7%(6.9.8)로 곤드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곤드레 설기떡은 저장하는 동안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곤드레 분말 첨가 설기떡 제조시 다른 첨가군에 비해 가장 높게 평가된 곤드레 분말 5% 첨가구가 설기떡 제조의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제품에 곤드레 분말을 이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sirable mixture ratio of Cirsium setidens Nakai powder to rice flour for the preparation of Sulgidduk. The moisture of samples raged from 36.51% to 40.67%. The addition of Cirsium setidens Nakai powder in the Sulgidduk tended to decrease the lightn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생리활성을 지닌 곤드레 분말을 설기떡에 첨가하여 곤드레 설기떡을 제조한 후,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 품질평가를 측정함으로써 곤드레 설기떡의 기능성 향상과 국민 건강에 이바지함은 물론 곤드레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곤드레를 칭하는 이름은? 곤드레라 불리우는 Cirsium 속에 Cirsium setidens Nakai는 폴리페놀 성분,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Lee SH et al 2006; Lee WB et al 2002). 한방에서는 대계라 불리우며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으로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에 이용한다고 보고되었다(Lee SJ 1966; Ishida H et al 1987;Kang IJ et al 1997). 곤드레는 매월 5월에 채취하여 식용으로 이용되며(Chang SY et al 2012), 봄에 돋아나는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나물이나 국으로 이용하거나 건조과정을 통하여 묵나물로 제조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Suh JT et al 1996), 껍질을 벗겨낸 줄기는 튀김, 무침, 볶음, 데침 등의 조리에 이용하여 섭취하였으며, 특유의 향미가 있어 차로도 사용한다(Lee SH 2006).
silymarin의 생리활성 효능은? 곤드레는 Cirsium 속의 Cirsium setidens Nakai로 불리는 다년생 야생 초본으로 국화과에 속하는 Cirsium 속 식물은 페놀성 화합물로 알려진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Morita N et al 1973; Rauen HM & Schriewer H 1971;Mourelle M et al 1989; Ingelman-Sundberg M et al 1988; Ferenci P et al 1989), Cirsium 속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silymarin은 간 보호작용(Rauen HM & Schriewer H 1971;Mourelle M et al 1989), 알코올 유도 지질의 산화예방(Ingelman-Sundberg M et al 1988)과 알코올성 간경화 보호 효과(Ferenci P et al 1989)등에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곤드레라 불리우는 Cirsium 속에 Cirsium setidens Nakai는 폴리페놀 성분,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Lee SH et al 2006; Lee WB et al 2002).
곤드레란? 곤드레는 Cirsium 속의 Cirsium setidens Nakai로 불리는 다년생 야생 초본으로 국화과에 속하는 Cirsium 속 식물은 페놀성 화합물로 알려진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Morita N et al 1973; Rauen HM & Schriewer H 1971;Mourelle M et al 1989; Ingelman-Sundberg M et al 1988; Ferenci P et al 1989), Cirsium 속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silymarin은 간 보호작용(Rauen HM & Schriewer H 1971;Mourelle M et al 1989), 알코올 유도 지질의 산화예방(Ingelman-Sundberg M et al 1988)과 알코올성 간경화 보호 효과(Ferenci P et al 1989)등에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곤드레라 불리우는 Cirsium 속에 Cirsium setidens Nakai는 폴리페놀 성분,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Lee SH et al 2006; Lee WB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potato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1): 127-136. 

  2. Cha GH, Lee HG (2001). Sensor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 Injeulmi Added with Various Levels of Chopping Jujube, Nutrition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Human Ecology, Hanyang University, 29, Seoul. 

  3. Chang SY, Song JH, Kwak YS, Han M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ndre tofu by the level of Cirsium setidens powder and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7(6):737-742. 

  4.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37-44. 

  5.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and it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ulgidduk. Korean J Food & Nutr 22(3):321-331. 

  6. Choi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powder. Korean J Food Nutr 23(4):549-555. 

  7. Eun SD,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23-30. 

  8. Ferenci P, Dragosics B, Dittrich H, Frank H, Benda L, Lochs H, Meryn S, Base W, Schneider B (1989).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ilymarin treatment in patients with cirrhosis of the liver. J Hepatol 9(1):105-113. 

  9. Ham SS, Lee SY, Oh DH, Kim SH, Hong JK (1997). Development of beverages drinks using mountain edible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92-97. 

  10. Hong HJ, Choi JH, Yang JA, Kim GY, Rhee S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e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5(3):224-230. 

  11. Hwang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 rice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r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4):487-494. 

  12. Hyun YH, Hwang YK, Lee Y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apioca flour. Korean J Food Nutr 18(2):103-108. 

  13. Im HE, Yoe HK, Chang SY, Han M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ndregaedduck by the level of Cirsium setidens and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7(4):400-406. 

  14. Ingelman-Sundberg M, Johansson I, Penttila KE, Glaumann H, Lindros KO (1988). Centrilobular expression of ethanol-inducible cytochrome P450 (IIE1) in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157(1):55-60. 

  15. Ishida H, Umino T, Tsuji K, Kosuge T (1987). Studies on antihemmorrhagic substances in herbs classified as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emorrhagic principle in Cirsium japonicum DC. Chem Pharm Bull (Tokyo) 35(2):861-864. 

  16. Jun MK,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Ulmus cortex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31-38. 

  17. Kang IJ, Ham SS, Chung CK, Lee SY, Oh DH, Choi KP, Do JJ (1997). Development of fermented soysauce using Cirsium setidens Nakai and comfr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1152-1158. 

  18. Kim JS, Byun GI (2009). Making fish paste with yam (Dioscorea japonica Thunb)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Culinary Res 15 (2):57-69. 

  19. Kim YS (2008). Addition ratio of buckwheat vegetable powder (Fagopyrum esculentum Moenc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Nutr 21(4):436-442. 

  20. Lee JS, Cho M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tomato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375-381. 

  21. Lee KC, Noh HS, Kim JW, Han SS (2012). Physiological responses of Cirsium setidens and Pleurospermum camtschaticum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J Bio-Env Con 21 (2):153-161. 

  22. Lee MH, Jeon SJ, Kim SK, Park HS, Choi YS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powder Sulgitteok. Korean J Culinary Res 17(5):203-214. 

  23.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571-576. 

  24. Lee SJ (1966). Korean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45-146. 

  25. Lee WB, Kwon HC, Cho OR, Lee KC, Choi SU, Baek NI, Lee KR (2002). Phytochemical constituens of Cirsium setidens Nakai and their cytotoxicity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Arch Pharm Res 25(5):628-635. 

  26. Lee YJ, Kim E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saltwoet(Salicornia herbaces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9 (2):203-214. 

  27. Lim JH, Kang YS, Kim JG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sunflower(Helianthus annuus) seeds. J East Asian Dietary Life 18(3):337-344. 

  28. Morita N, Shimizu M, Arisawa M (1973). Two new flavone glycosides from Cirsium lineare. Phytochemistry 12(2):421-423. 

  29. Mourelle M, Muriel P, Favari L, Franco T (1989). Prevention of $CCl_4$ -induced cirrhosis by silymarin. Fundam Clin Pharmacol 3(3):183-191. 

  30. Par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addition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3):259-267. 

  31. Park ID (2008). Effects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pure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and sponge cakes. Korean J Food Culture 23(1):48-754. 

  32. Park MJ, Choi JK, Kakishima M, Shin HD (2011).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caused by Puccinia nishidana on Cirsium setidens. Plant Pathol J 27(3):297. 

  33.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763-772. 

  34. Rauen HM, Schriewer H (1971). The antihepatotoxic effect of silymarin on liver damage in rat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d-galactosamine and allyl alcohol. Arzneimittelforschung 21(8):1194-1201. 

  35. Rha YA, Kang BN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leaf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20 (6):128-135. 

  36. Ryu YK, Kim YO, Kim K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tofu. Korean J Food Cookery Sci 24(6):856-860. 

  37. Ryu GH, Park JY, Koo BY, Song DS, Lim MS (2005). Korean Rice Cake for Manufactor and Process Engineer. Hyoil Publishers, 13, Seoul. 

  38. Suh JT, Ryu SY, Kim WB, Choi KS, Kim BH (1996). Improvement of gemination rate by low temperature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shading cultivation of Cirsium setidens under rain shelter in highland. Korean J Plant Res 9(2):151-156. 

  39.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433-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