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Quality for Sulgidduk with Momordica charantia L. Powder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135 - 148  

윤숙자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  이영순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을 5가지 농도(0%, 2.5%, 5%, 7.5%, 10%)로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설기떡의 pH는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01),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증가하였다(p<0.001). 여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명도)은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값(적색도), b값(황색도)는 시료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또한, 경도(p<0.001), 응집성(p<0.01), 씹힘성(p<0.01)은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탄력성, 검성은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설기떡의 항산화능은 DPPH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향, 쓴맛, 단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전반적인 기호도는 5% > 2.5% > 7.5% > 10% > 0% 순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주분말을 설기떡에 첨가하였을 때 기능성 떡 제조에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0%, 2.5%, 5%, 7.5%, and 10%). The pH of Sulgidduk was dose-dependently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p<0.001). The lightness (L-values) of Sulgiddu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리적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여주를 설기떡 제조에 첨가하였을 때 그 기능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본 연구에서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평가 및 항산화 활성이 있는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는 여주 분말을 쌀가루 대비 5가지 비율(0%, 2.5%, 5%, 7.5%, 10%)로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 및 관능특성, 항산화능에 대한 연구로 향후 우리나라의 떡을 대중적으로 알리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기능성 떡 제조에 기초적 자료로 이용되고자 한다.
  • 생리적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여주를 설기떡 제조에 첨가하였을 때 그 기능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본 연구에서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평가 및 항산화 활성이 있는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는 여주 분말을 쌀가루 대비 5가지 비율(0%,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이란? 떡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대사회에서의 떡은 행사식, 별미식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떡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조리 방법에 따라 찌는 떡, 치는 떡, 삶는 떡, 지지는 떡으로 구분되어 지며, 첨가되는 부재료에 따라 다양하고 우수한 식품이 될 수 있다(Yoon & Choi, 2008). 그중에 찌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설기떡은 떡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조리법이 간단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실용화에 대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설기떡의 특징은 무엇인가? 떡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조리 방법에 따라 찌는 떡, 치는 떡, 삶는 떡, 지지는 떡으로 구분되어 지며, 첨가되는 부재료에 따라 다양하고 우수한 식품이 될 수 있다(Yoon & Choi, 2008). 그중에 찌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설기떡은 떡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조리법이 간단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실용화에 대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른 선행연구로는 식물성 기능재료의 활용에 대한 아사이베리(Choi, 2015), 복분자 잎(Rha & Kang, 2014), 깻잎(Choi & Kim, 2010), 연잎(Yoon, 2007) 등을 이용하였고, 약리효과를 위하여 진피(Ahn & Lee, 2014), 백련초(Shim, Choi, & Kim, 2007)를이용하였으며, 기능성 당의 첨가에 대한 설기떡 연구(Kim, Shim, & Rho, 2015), 부재료의 기능성에 따른 함초(Lee & Kim, 2013)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여주분말 첨가에 따라 설기떡의 색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001). 본 연구에서는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설기떡 제조 시 부재료로 쑥갓(Choi & Lee, 2010)을 이용한 연구와 두릅가루(Kang, Cho & Hong, 2009), 들깻잎(Hong, 2008)을 이용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선행연구에서도 부재료 첨가시명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G. J., & Lee, Y. 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dried tangerine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30(3), 284-290. 

  2. An, S.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30(5), 499-508.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lytical Chemists. 

  4. Basch, E., Gabardi, S., & Ulbricht, C. (2003).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A review of effcacy and safety. Am J Health-Syst Pharm, 60, 356-359. 

  5. Boo, H. O., Lee, H. H., Lee, J. W., Hwang, S. J., & Park, S. 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i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1), 15-20. 

  6. Cha, J. Y., Jin, J. S., & Cho, Y. S. (2011). Biologica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from Ganoderma lucidum, Momordica charantia, Fagopyrum tataricum and their mixtures. Journal of Life Science, 21(7), 1016-1024. 

  7. Choi, B. S., & Kim, H. 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Hydrangea serrata Seringe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2(2), 257-265. 

  8. Choi, E. J., & Lee, S. 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Ssukgat(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powder.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4), 509-515. 

  9. Choi, Y. S. (2015). The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powder Sulgidduk.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1), 90-99. 

  10. Grover, J. K., & Yadav, S. P. (2004). Pharmacological actions and potential uses of Momordica charantia: A review.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3, 123-132. 

  11. Hong, J. 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perilla leave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8(3), 376-383. 

  12. Hong, J., Wei, M. J., Leem, D. G., Park, K. S., Yoon, T. H., No, K. M., & Jeong, J. Y.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s activity through the chemical assay. J Biomed Res, 11, 1-8. 

  13. Hwang, S. J., & Kim, J. W.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onflowers on general con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1), 77-82. 

  14. Kang, Y. S., & Kim, J. 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1(2), 277-283. 

  15. Kang, Y. S., Cho, T. O., & Hong, J. 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Aralia elat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5), 593-599. 

  16. Kim, B. W., Yoon, S. J., & Jang, M. S. (2005). Effects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 895-907. 

  17. Kim, K. O., Kim, S. S., Sung, N. G., & Lee, Y. C. (1997). Sensory Evalu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Seoul, Korea: Publisher Shinkwang. 

  18. Kim, M. W. (2009). Effects of bitter melon powder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9. Kim, Y. A., Shim, H. R., & Rho, J. H. (2015).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retrogradation of Sulgidduk.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5(3), 513-524. 

  20. Lee, H. J., Moon, J. H., Lee, W. M., Lee, S. G., Kim, A. K., Woo, W. H., & Park, D. K. (2012). Charantin contents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accessions. J Bio Enviro Control, 21(4), 379-384. 

  21. Lee, S. H., Hong, E. J., & Cho, Y. J.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Momordica charantia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2(3), 335-344. 

  22. Lee, Y. J., & Kim, E. 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saltwort(Salicornia herbacea L.)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2), 203-214. 

  23. Moon, D. K., Kim, C. H., Ahn, Y. K., Kim, D. H., Seong, K. C., Joa, J. H., Jung, H. C., & Fumiaki, S. (2011). Comparison of fruit character with the cultivar of bitter gourd Doo-Gyu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9(2), 65-66. 

  24. Moon, S. L., & Choi, S. H. (2014). Characteristics of cookies quality containing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6), 80-90. 

  25. Noh, K. S., Han, K. Y., & Yoon, S. J. (2007). A study on the housewives' consumption pattern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rice cake as a substitute for meal. Korean J of Food Culture, 22(1), 10-21. 

  26. Park, S. S., Kim, S. I., & Sim, K. 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6), 763-772. 

  27. Park, Y., Boo, H. O., Park, Y. L., Cho, D. H., & Lee, H. 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omordica charantia L.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 56-61. 

  28. Rha, Y. A., & Kang, B. N. (2014). Quality evaluation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leaf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6), 125-135. 

  29. Ryu, K. Y., Kim, Y. O., & Kim, K. 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tofu. Korean J Food Cookery Sci, 24(6), 856-860. 

  30. Shim, M. J., Choi, S. K., & Kim, G. B.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Beaknyuncho.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3), 105-114. 

  31. Uebanso, T. H., Arai. Y., Taketani, M., Fukaya, H., Yamamoto, A., Mizuno, K., Uryu, T., Hada, E, & Takeda. (2007).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suppres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rats. J Nutr Sci Vitaminol (Tokyo), 53, 482-488. 

  32. Virdi, J., Sivakami, S., Shahani, S., Suthar, A. C., Banavalikar, M. M., & Biyani, M. K. (2003). Antigyperglycemic effects of three extracts from Momordica charantia. Jorunal of Ethnopharmacology, 88(1), 107-111. 

  33. Yoo, S. S., & Ko, S.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beet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30(2), 119-128. 

  34. Yoon, S. 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3(4), 433-442. 

  35. Yoon, S. J., & Choi, B. 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root powder.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4(4), 431-438. 

  36. Zhong, Q., Wang, X. H., Zhang, Y. Y., Alexander. P. D., Ribnicky, Z., Elizabeth, F., & William, T., Cefalu. (2011). Bioactives from bitter melon enhance insulin signaling and modulate enhance insulin signaling and modulate acyl carnitine content in skeletal muscle in high-fat diet-fed mice. J Nutr Biochem, 22, 1064-10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