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7 = no.82, 2016년, pp.173 - 186  

김은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주형욱 (신성대학교 호텔조리제빵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하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Mixograph, pH, TPA, 부피, 비용적, 수분, 영상분석, 색도, 기호도 검사, 보존성 검사를 통하여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분석하였다. Mixograph를 측정 결과,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다. 꾸지뽕잎 pH의 경우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는 높아졌으며, 1차 발효 후와 식빵의 pH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다. TPA 분석결과,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경도, 씹힘성, 검성은 높아졌으며, 탄력성, 응집성, 탄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꾸지뽕잎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영상분석 결과 기공의 조밀도, 껍질의 두께, 크기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색도는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L값은 어두워졌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과 조직감은 CLP3가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CLP2가 대조구보다 더 좋게 평가되었다. 보존성 측정 결과, 경도는 24, 48, 72시간 동안 모두 꾸지뽕잎 분말 1~2% 첨가한 시료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경도가 낮았으며, 적은 양의 꾸지뽕잎 첨가가 식빵 속질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데 좋은 것으로 사료되며, 수분함량이 낮아지긴 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having functional components. Mixograph, pH, TPA, volume, specific volume, moisture, CrumbScan, color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shelf-life test were performed on the white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에 유용하며,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많이 가지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을 보다 다양하게 적용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추구하면서 새로운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과 기호도 검사를 통해서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제품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을 적용시킨 제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할 경우, 3% 첨가까지는 제빵 적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소비자의 기호도를 고려한다면 꾸지뽕잎 분말 첨가는 2%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꾸지뽕잎 분말 첨가에 따른 mixograph와 반죽, 1차 발효 후, 최종 제품의 pH 측정을 통하여 반죽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빵의 조직감, 비용적, 수분함량, crumbScan을 통한 영상분석, 색도 그리고 기호도 검사 및 보존성 측정을 통해 제품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에 유용하며,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많이 가지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을 보다 다양하게 적용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추구하면서 새로운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과 기호도 검사를 통해서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이란? 빵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주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많고, 오래된 음식 중에 하나이다(Das L et al 2012). 우리나라에서 역시 식생활 양식의 변화로 빵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Lee JH et al 2007), 기능성이 더해진 제품에 대한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다(Lee JH & Son SM 2011).
빵을 개발할 때 맛에 의존하던 기존의 제품 개발에서 벗어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역시 식생활 양식의 변화로 빵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Lee JH et al 2007), 기능성이 더해진 제품에 대한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다(Lee JH & Son SM 2011).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지향적인 음식을 섭취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Kim EJ et al 2015; Martin K 2005), 맛에 의존하던 기존의 제품 개발에서 벗어나고 있다. 따라서 식이섬유나 항산화물질 등 여러 가지 기능성 재료들을 첨가한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 빵들이 개발되고(Lee KS 2012), 식물체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추출한 뒤 이를 식품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Bae JS et al 2010).
꾸지뽕나무의 특징은?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며, 한국, 중국, 일본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낙엽관목으로(Lei C et al 2014), 꾸지뽕나무의 항염(Shim JU & Lim KT 2009), 항산화(Choi SR et al 2009), 고혈압 억제 및 항당뇨(Kang DG et al 2002) 등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꾸지뽕나무 중에서 특히 꾸지뽕잎이 산화적 스트레스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세포독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Jeong CH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10-10A.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2.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54-4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3.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72-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4. An HL, Lee KS, Park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cens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63-568. 

  5. Bae JS, Lee ES, Hong ST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mulberry fruit powder. J Agricultural Science 37(2):249-254. 

  6. Bennion EB, Bamford GST (1997). The Technology of Cake Making. 6th de, London: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UK. 275-286. 

  7.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1310-1315. 

  8.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2):115-120. 

  9. Das L, Raychaudhuri U, Chakraborty R (2012). Supplementation of common white bread by Coriander leaf powder. Food Sci Biotechnol 21(2): 425-433. 

  10. Do GP, Lee HJ, Do JR, Kim HK (2011).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wi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8(2):244-249. 

  11. Han GS, Hwang SY, Rho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arrowroo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6):778-788. 

  12. Ibrahim UK, Salleh RM, Maqsood-ul-Haque NS (2015). Bread towards functional food: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Engineering 1(1):39-43. 

  13. Jang EY, Jin TY, Eun JB (2006). Properties of puffed mulberry-rice snack, Ppeongtuigi by pellet with mulberry leaf an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756-761. 

  14. Jeon KS, Lee NH, Park SI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inese artichoke(Stachys sieboldii Miq)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4):1-15. 

  15. Jeong CH, Cho HJ, Shim K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4): 465-471. 

  16. Jeong CH, Choi GN, Kim JH, Kwak JH, Jeong HR, Kim DO, Heo HJ (2010). Protec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Food Sci Biotechnol 19(4):1113-1117. 

  17. Ju HW, An LH, Lee SK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6(4):260-273. 

  18. Ju HW, Lee SK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h pan bread with haenaru rice flou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2):46-56. 

  19. Kang DG, Hur TY, Lee GM, Oh H, Kwon TO, Shon EJ, Lee HS (2002).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ent hypertension. Life Sci 70(22):2599-2609. 

  20. Kang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dandelion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9(2):221-227. 

  21. Kang YK, Lee EA, Park HR (2012). Neuroprotective effect according to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from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821-828. 

  22. Kim DH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lberry Leaves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Hwagwon added with Mulberry Leaves. Doctor degree, Sejong University, Seoul. 

  23. Kim EJ, Kang JW, Kim JP, Ko JY, Lee K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Pu'er tea.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2): 230-242. 

  24. Kim EJ, Lee KS (2013). Quality chara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oney.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9(4):147-160. 

  25. Kim IH, Ko YJ, Choi ID, Kim YG, Jeong CH, Ryu CH, Shim K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added with lotus leaf and loot powder.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6):365-373. 

  26. Kim YH, Cho NJ (2010). Effects of mulberry leaf powd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705-713. 

  27. Kim YJ, Jeong JS, Kim EH, Son BG, Go GB (2016). Quality of white bread containing Aster yomen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91-99. 

  28. Kim YS, Park JY, Lee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added with immature Chalssalbori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30(4):385-393. 

  29. Kondo Y (1957). Trace constituents of mulberry leaves. Nippon Sanshigaku Zasshi 26:349-352. 

  30. Lee EJ, Ju HW, Lee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itrus mandarin Peel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8 (1):27-39. 

  31.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83-89. 

  32. Lee JH, Son SM (2011).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Food Engineering Progress 15(4): 376-381. 

  33. Lee JS, Lee SE (2010). Analysis by GC of 1-deoxynojirimycin in leaves and tea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7(3):337-343. 

  34. Lee KS (2012). Development of baking technolog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kery market and trend. Food Science and Industry 45(4):16-20. 

  35. Lei C, Liu CC, Pi EH, Hou AJ (2014). New isoprenylated xanthones from Cudrania tricusidata. Helvetica Chimica Acta 97:1683-1688. 

  36. Martin K (2005). Health benefit key to 2005 food trends. Modern Baking 19(1):78. 

  37. Miller RA, Graf E, Hoseney RC (1994). Leavened dough pH determination by an improved method. J Food Sci 59(5):1086-1087. 

  38.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tea. Korean J Food Preserv 15(3):461-468. 

  39. Park BH, Shin JW, Lee SI, Kim SD (2008). The effect of Cudrania tricupidata tea leaves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streptozotocin-induced hyperglycemic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16-523. 

  40. Park JH, Lee KW, Sung KS, Kim SS, Cho KD, Lee BH, Han CK (2012). Effect of diets with mulberry leaf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supplements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766-773. 

  41. Ram AK (2011) Production of Spray-dried Honey Powder and Its Application in Bread. MS Thesis,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Louisiana, 39-40, 61. 

  42. Sengev AI, Abu JO, Gernah DI (2013). Effect of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supplementation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bread. Food and Nutrition Sciences 4:270-275. 

  43. Seo JS (2015). Effect of mulberry leaf(Morus alba Linne) powder addition on quality Yukw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4):643-650. 

  44. Shim JU, Lim KT (2009). Inhibitory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 in bisphenol A-treated HMC-1 cells. Inflammation 32(4):211-217. 

  45. Shin GM, Kim D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4):497-504. 

  46. Song EJ (2010).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Rice Fresh Pasta Noodle with Addition of Mulberry Leaves Powder.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7. Walker AE, Walker CE (2001). Documentation and Users Instructions for Mixsmart Version 4.0. National Cereal Chemistry Equipment 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