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과박 첨가가 쿠키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e Pomace on Cookie Quality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89 - 98  

오철환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  강창수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교양공통과)

초록

사과가공 공정 중 많은 양의 사과박이 발생하며, 일부는 사료로 사용되나 대부분 버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부산물을 10~30% 수준에서 밀가루를 대체하여 쿠키제조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반죽의 비중과 pH는 사과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비중은 사과박을 첨가한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당도는 30% 첨가 시 $2.07^{\circ}Brix$로 증가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 퍼짐성, 손실률 및 팽창률은 사과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쿠키색의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는 사과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70.46, 5.60, 37.52에서 56.25, 3.01, 27.92까지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사과박을 10%, 20% 첨가한 쿠키의 색, 향, 조직감, 외형, 전체적 기호도의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쿠키제조 시 사과박의 첨가량은 20%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it the use of this nutrient-rich byproduct in cookies by replacing wheat flour at 10~30% levels. The specific gravity and pH of cookies decreased slightly with increasing apple pomace concentration, but the specific gravity of cookies showed no significant d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과생산농가 등에서 사과가공 후 발생하는 사과박 활용을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생산농가 등에서 착즙 후 버려지는 사과박을 활용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목적으로 사과박 쿠키를 제조하였으며, 사과박 첨가가 쿠키반죽 및 쿠키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사과농가에서 착즙 후 버려지는 사과박을 활용할 목적으로 사과박 첨가 쿠키를 제조하고, 쿠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과 pH는 사과박 첨가비율이 0%일 때 각각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란? 사과(Malus pumila var. dulcissima)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능금 등 재래종 사과를 재배해왔다(Gim &Koh, 1998).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일 중 하나이며, 전 연령층이 좋아하는 과일로 1988년 ‘홍로’ 품종을 시작으로 다양한 품종을 육성하여 재배 및 생산하고 있다(Cho et al.
사과박의 특징은? 사과박은 수분함량, 단백질 및 섬유소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기호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항알러지, 항산화, 항염증성 등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1,048 mg%, 458 mg% 함유되어 있고, 비만증, 당뇨, 담석증, 고혈압, 대장암, 심장질환 등의 예방 및 각종 독성 물질의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성을 갖는 식이섬유가 55.
사과박의 효능은? 사과박은 수분함량, 단백질 및 섬유소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기호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항알러지, 항산화, 항염증성 등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1,048 mg%, 458 mg% 함유되어 있고, 비만증, 당뇨, 담석증, 고혈압, 대장암, 심장질환 등의 예방 및 각종 독성 물질의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성을 갖는 식이섬유가 55.5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2015; Keisuke, 1992; Lee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H. J., Ryu, B. M., Woo, K. S., Seo, M. C., & Kim, C. 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whole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473-478. 

  2. Bang, H. S., Seo, D. Y., Chung, Y. M., Oh, K. M., Park, J. J., Arturo, F., & Han, J. (2014). Ursolic acid-induced elevation of serum irisin augments muscle strength during resistance training in men. Korean J Physiol Pharmacol, 18, 411-446. 

  3. Cho, H. S., Park, B. H., Kim, K. H., & Kim, H. A. (2006). Antioxidative c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4. Cho, K. H., Heo, S., Kim, H. R., Kim, J. H., Shin, I. S., Han, S. E., & Kim, D. H. (2010). Discrimination of Korean apple cultivars using combination of RAPD-SCAR markers. Kor J Hort Sci, 28, 828-835. 

  5. Cho, Y. J., Kim, C. T., Kim, C. J., & Hwang, J. K. (1999). Modeling of extrusion for pectin extraction from apple poma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011-1016. 

  6. Choi, Y. H., & Lee, S. J. (2005). A survey on uses,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apple. Korean J Food Culture, 20, 204-213. 

  7. Doescher, L. D., & Hoseney, R. C. (1985). Effect of sugar type flour moisture on surface creaking. Cereal Chem, 62, 263-266. 

  8. Gim, J. D., & Koh, B. H. (1998). The bibiographical investibation of the apple and Neung-keum. J Korea Med, 19, 339-348. 

  9. Jeong, E. J., Rhee, M. S., Kim, K. P., & Bang, B.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loe vera L.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 588-595. 

  10. Keisuke, T. (1992). Nutritional role of dietary fiberrecent knowledge on dietary fiber. Kor J Food Hygiene, 7(4): 173-176. 

  11. Kim, B. Y., Choi, H. S., & Lyu, E. 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oat and barley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 428-434. 

  12. Kim, G. S., & Par, G. 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13. Kim, I. R. (2015). Inhibitory effects of apple peel extract on inflammatory enzy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534-538. 

  14. Koh, J. T., Yu, Y. J., & Kim, M. G. (2009). Analysis and evaluation of degrees of contribution of aroma components in Hongro app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03-608. 

  15. Kunkel, S. D., Elmore, C. J., Bongers, K. S., Ebert, S. M., Fox, D. K., Dyle, M. C., & Adams, C. M. (2012). Ursolic acid increases skeletal muscle and brown fat and decreases diet-induced obesity, glucose intolerance and fatty liver disease. PLos One, 7, e39332. 

  16. Lee, J. H., An, Y. T., Kim, H. M., Choi, I. D., Lee, O. S., & Jung, J. U. (2016). Development of industrial availability of functional muscle strength materials from apple pomace waste. Research Report 11-1543000-001280-0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17. Lee, J. H., Kim, Y. C., Kim, M. Y., Chung, H. S., & Chung, S. K. (2000).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f apple poma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08-913. 

  18. Lee, J. Y., Ju, J. C., Park, H. J., Heu, E. S., Choi, S. Y., & Shin, J. 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 1-7. 

  19. Lee, S. H., Kim, T. W., & Bae, J. H. (2011). Palatability traits of muffin prepared with red wine. Korean J Food Preserv, 18, 869-874. 

  20. Lim, H. S., & Cha, G.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persimmon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 620-630. 

  21. Lim, Y. S., Cha, W. J., Lee, S. K., & Kim, Y. 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83. 

  22. Park, I. D.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Ligularia fischeri powder. J Korean Soc Food Cult, 30, 206-212. 

  23. Park, Y. K., Kim, H. S., Park, H. Y., Han, G. J., & Kim, M. H. (2011). Retarded retrogradation effect of Garaetteok with apple pomace dietary fiber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400-408. 

  24. Seo, H. Y., Lee, H. C., Kim, Y. S., Choi, I. W., Park, Y. K., Shin, D. B., & Choi, H. D. (2008).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uji appl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15-1621. 

  25. Seo, S. H., & Jang, J. H. (2007). Fruits preference elementary children for fruits consumption in school lunch program -Focus on apple and pears-. Korean J Food Culture, 22, 225-234. 

  26. Shin, I. Y., Kim, H. I., Kim, C. S., & Whang, K. (1999).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with replacement of sucrose with sugar alcoho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50-857. 

  27. Shin, J. H., Lee, S. J., Choi, D. J., & Kwen, O. 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09-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