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화 보조지표와 시료 채취 방법 제안을 통한 토양정화검증 제도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Verification Method for Remedial Works through the Suggestion of Indicative Parameters and Sampling Method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1 no.6, 2016년, pp.179 - 191  

권지철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이군택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김태승 (국립환경과학원) ,  윤정기 (국립환경과학원) ,  김지인 (국립환경과학원) ,  김용훈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김준영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최정민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ddition to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soil contaminants, the new idea of indicative parameters was proposed to validate the remedial works through the monitoring for the changes of soil characteristics after applying the clean up technologies. The parameters like CFU (colony form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공정 슬러지의">공정슬러지의 입경별 함량 분포는 당초 토양세척공법 설계에서 제안한 0.075 mm 이하 입자에 대한 폐기물 처리라는 설계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침강법으로는 모래(0.
  • 국내에서 주로 적용되는 정화공법(토양경작법, 토양세척법, 저온열탈착법)에 대하여 이들의 효율적 적용 여부를 처리 전후 토양 특성 분석을 통하여 판단해 볼 수 있도록 공법별 보조지표를 제안하고 이를 향후 오염도 분석과 더불어 정화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후)준수 여부를">준수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보조지표로 제안한 항목들은 서론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정화기술이 실제로 적용되지 않았거나 적용된 공정 효율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검증기관이 판단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들이다. 즉, 정화검증 단계에서 제안된 보조지표와 관련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는 정화공법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매우 심각하게 후)정화 검증">정화검증 과정에서 검토되어야 할 중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화공법별로 공법 적용 전후의 농도 저감 및 토양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보조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평가되는 토양 특성 지표를 제안하였다.
  • 후)적정기술">적정 기술 적용에서 유래하였다는 당위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현행 토양정화검증지침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최적의 혼합시료 채취 방법, 혼합시료의 최소 요구량 등을 제안함으로써 토양정화검증 시료채취의 신뢰성 향상 및 업무의 일관성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적치 토양에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에서 주로 적용되는 정화공법 (토양경작법, 토양세척법, 저온열탈착법)에 대하여 “Line of evidence”가 될 수 있는 토양 특성 지표를 제안하고 이를 향후 오염도 분석과 더불어 정화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유기물함량,">2015). 유기물함량, 수분, 종속영양미생물수는 가열 과정에서 감소 여부, 양이온교환용량은 유기물 감소 등으로 인한 동반 저감 여부 등을 확인할 목적이며 그 외 토성은 토양경작과 동일한 이유로 평가해 보았다. 지금까지 언급된 정화공법별 보조지표는 최적의 토양 pH는 세척액 종류에 따른 토양 pH의 변화 여부 확인, 공정슬러지 수분함량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의2 에서 규정하는 수분함량 70% 미만 준수를 통한 재활용 가능성 여부 확인, 공정슬러지 입경은 설계에 제시된 입경을 준수함으로써 미세 토양의 과도한 폐기물 처리 여부 확인, 그 외 토양 세척수 중의 오염 물질 농도 확인을 통한 토양세척 시스템 적정 가동 여부 확인 등의 목적으로 항목을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6 cm 이하로 가정하며 이 값은 최적 최소량을 매우 안전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1.6 cm를 최대 입경으로 가정하면 시료 채취에서 큰 입단(macro aggregate) 자체가 개별 입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g(입경분포 후)사용하였다 (ISO,">사용하였다(ISO, 2006). D95(입경 상위 5%를 제외한 최대입경)은 일반적인 토양에서 1.6 cm 이하로 가정하며 이 값은 최적 최소량을 매우 안전하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1.
  • f의 경우는 입자의 형태를 모든 입자가 정방형, 대부분의 입자가 정방형, 운모/흑운모 등판상형, 타르와 같은 부드러운 고상형, 무기물질 등 침상형으로 구분하며 각각 1, 0.5, 0.1, 0.2, > 1 값을 부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입자가 정방형이라고 가정하고 0.5를 계산에 사용하였다.
  • 오염농도는 시료채취 방법별로 측정된 농도의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오염의 정도는 최대인 것으로 가정하여 α(입자에서 오염물질이 차지하는 비율)는 1의 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토양정화검증지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현행 토양정화검증지침은 오염도분석, 환경관리, 굴착작업 및 정화토양 처분 등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개 항목 중 토양정화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항목은 오염도 분석이며 정화처리 후 토양의 오염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 하는 것이 토양정화검증 절차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Line of evidence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영국 환경청의 경우에는 “Line of evidence”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오염도 평가 외에도 적용된 공법이 적정하게 구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Line of evidence”는 정화기술 성능이 정화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하여 중요 지표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UKEA, 2010).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에서 주로 적용되는 정화공법 (토양경작법, 토양세척법, 저온열탈착법)에 대하여 “Line of evidence”가 될 수 있는 토양 특성 지표를 제안하고 이를 향후 오염도 분석과 더불어 정화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토양정화검증지침 4개 항목 중 토양정화 완료여부 판단의 핵심이 되는 항목은 무엇인가? 현행 토양정화검증지침은 오염도분석, 환경관리, 굴착작업 및 정화토양 처분 등 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4개 항목 중 토양정화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항목은 오염도 분석이며 정화처리 후 토양의 오염 농도가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 하는 것이 토양정화검증 절차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 환경청의 경우에는 “Line of evidence”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오염도 평가 외에도 적용된 공법이 적정하게 구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dbury, D., 1992, Mixed waste soil washing using environmental benign chemical solvents, Proceedings of Waste Management, 12, 1255. 

  2. Brady, N.C. and Weil, R.R.,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Pearson Education, Inc., Upper Saddle River, NJ, 129 p. 

  3. Choi, S.I., Lee, G.T., and Yang, J.G., 2009, Management of Soil Contamination and Introduction of Soil Remediation, Dongwha Tec., Seoul, 150 p. 

  4. Devgun, J., 1993, Soil washing as a potential 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DOE sites, Waste Management, 20. 

  5. Gee, G.W. and D. O.R., 2002, Particle-Size Analysis : Methods of Soil Analysis(part 4), Soil Sci. Soc. Am, 255-293. 

  6. Gustavsson, B., Luthbom, K., and Lagerkvist, A., 2006, Comparison of analytical error and sampling error for contaminated soil,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8, 252-260. 

  7.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2006, Soil-Sampling-Part 8: Guidance on sampling of stockpiles, ISO 10381-8. 

  8.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2009, Particle size analysis-Laser diffraction methods, ISO 13320. 

  9. Kim, G.H., 2013, Quantification of uncertainty associated with soil sampling and its reduction approaches, J. Soil Groundw. Environ, 18, 94-101. 

  10. Kim, S.T., Koh, W.C., Lee, S.W., and Kim, H.R., 2015,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optimal soil remediation technology selection, J. Soil Groundw. Environ, 20(7), 13-22. 

  11. KMO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Guideline for Soil Remediatio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12. KMO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Soil Standard Analytical Methods,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13. NI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00, Soil and Plant Analytical Methods, 11-1390093-000055-01, Wanju. 

  14.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Technical Guideline for the Application of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Incheon. 

  15.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Studies on Development of Site Investigation Guidance and Validations of Soil Remediation(II), Incheon. 

  16. Sumner, M.E. and Miller, W.P., 1996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 Coefficients : Methods of Soil Analysis(part 3),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s., 1201-1229. 

  17. UKEA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Agency), 2010, Verification of Remediation of Land Contamination,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Agency, ISBN: 978-1-84-84911-175-1. 

  18.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8, Technical Approaches to the Cleanup of Radiologically Contaminated Superfund Site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540/2-88/002. 

  19.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1, Guide for Conducting Treatability Studies under CERCLA: Soil Washing,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540/2-91/020B. 

  20.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2, Preparation of Soil Sampling Protocols: Sampl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600/R-92/128. 

  21. Yoo, S.H., 2000, Soil Diction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290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