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on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6, 2016년, pp.151 - 160  

서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강말순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전미양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증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6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별 예측요인은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기준범주는 '비활동군'으로 정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최소활동군'과 '건강증진활동군'으로 구분하여 예측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라 성별, 배우자, 교육, 직업, 만성질환 이환 유무,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지각된 장애성, 사회적 지지가 차이가 있었다. '최소활동군'의 신체활동 예측 요인은 지각된 장애성과 체질량지수로, '건강증진활동군'의 신체활동 예측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지각된 장애성, 체질량지수, 만성질환 이환 유무로 파악되었다. 이는, 주관적 건강상태의 증가는 '건강증진활동군'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지각된 장애성과 체질량지수의 증가, 그리고 만성질환의 이환은 '비활동군'에 포함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요인을 근거로 하는 신체활동 증진 전략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argeted elderly and thereby propose a basi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64 older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하기 위해 16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수준별 신체활동 예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신체활동 수준별 신체활동 증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의 개념은? 신체활동은 골격근의 수축 이완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인간의 기본적인 활동으로 운동을 포함하면서 그밖에 일상생활이나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신체 움직임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6]. 운동을 포함한 신체활동은 노인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지연시킬 수 있으며[6], 심혈관계질환, 고혈압, 비만, 뇌졸중 등 대표적 노년기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낮출 수 있어[7] 국가의 보건의료 지출과도 관련이 있다[8].
신체활동의 장점은? 신체활동은 골격근의 수축 이완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인간의 기본적인 활동으로 운동을 포함하면서 그밖에 일상생활이나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신체 움직임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6]. 운동을 포함한 신체활동은 노인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지연시킬 수 있으며[6], 심혈관계질환, 고혈압, 비만, 뇌졸중 등 대표적 노년기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낮출 수 있어[7] 국가의 보건의료 지출과도 관련이 있다[8].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인의 신체활동에 관련된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가? 국내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개념을 확대하여 신체활동, 운동 및 건강행위를 연구한 선행논문에서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요인으로 신체적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11, 12, 13], 인지지각요인은 자기효능[12, 14, 15], 지각된 이득 및 장애요인[14, 15]과 비만도[11],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12, 14, 15]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65세 이상 전체 노인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을 보고하고 있으며, 노인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신체적 요인, 인지지각 요인, 사회적 요인을 부분적으로 규명하거나 신체활동과 관련된 손상[16] 등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SK], 2015 Elderly Statistics. 2016.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bSeq&aSeq34856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8 Survey on the elderly status-A nationwide survey on the elderly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Medical costs statistical indicators. 2016.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44830_27116.html&subject2015. 

  4. H. S, Lee, "A Study on Factors Causing Health Conditions and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to the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4, No. 2, pp. 163-179, 2004. 

  5. T. Morimoto, Y. Oguma, S. Yamazaki, S. Sokejima, T. Naka-yama, & S. Fukuhara, "Gender differences in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and resource utilization",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5, pp. 537-546, 2006. 

  6. C. L. Craig, A. L. Marshall, M. Sjostrom, A, E. Bauman, M. L. Booth, B. E. Ainsworth,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Science of Sports Exercise, 2003. Vol. 35, No. 8, pp. 1381-1395. 

  7. J. H. Bae, "The effects of sports social factors on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and resocialization in old women". Korea Sport Research, Vol. 5, No. 4, pp. 869-879, 2004. 

  8. P. T. Katzmarzyk, N. Gledhill, & R. J. Shephard, "The economic burden of physical inactivity in Canad",.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 163, pp. 1435-1440, 2000. 

  9.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 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Retrieved" 2015,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10/9789241599979_eng.pdf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V-3)." p. 48. 2015.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1. Choe, M. A., Kim, J. I., Jeon, M. Y., & Chae, Y. R. (2010).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Journal of Korean Women Health of Nursing, Vol. 16, No. 1, pp 47-59, 2010. 

  12. S. J. Kang, & Y. H. Kim,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Sport Psychology, Vol. 22, No. 3, pp 113-124, 2011 

  13. S. M. Park, Y. H. Park,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40, No. 2, pp. 191-201. 201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91 

  14. G. S. Kang, "A study on th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5. 

  15. S. J. Kang, & Y. H. Kim,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Sport Psychology, Vol. 22, No 3, pp. 113-124, 2011. 

  16. K. H. Seo, Y. Eun, M. Y. Jeon, "Sports injuries and the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e and exercis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ports injuri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8, No 2, pp. 102-109, 2016. http://dx.doi.org/10.7586/jkbns.2016.18.2.102 

  17. M. P., Lawston, M. Moss, M, Fulcomer, M. H. Kleba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 37, pp. 91-9, 1982. 

  18. K. R. Shin, J. S. Kim, & J. Y. Kim, "A Comparison o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Elderly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7, No 5, pp. 732-742. 2005. 

  19. C. R. Nigg, G. J. Norman, J. S. Rossi, & S. V. Benisdvich, "Proces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developing the scale"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San Diego, CA. 1999. 

  20. J. F. Sallis, R. M. Grossman, R. B. Pinski, T. L. Patterson, & P. R. Na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to measure social support for diet and exercise behaviors" Preventve Medicine, Vol 16, No 6, pp. 825-836, 1987. 

  21. J. A. Choi, Construction of leisure physical activity model in middle-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2. K. H. Seo, Y. Eun,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Elderly Women at Senior Citizen Centers", Vol. 22, No 3, pp. 236-244. http://dx.doi.org/10.5953/JMJH.2015.22.3.236 

  23. C..E. Short, C. Vandelanotte, M. W. Dixon, R. Rosenkranz, C. Caperchione, & C. Hooker, et al., "Examining Participant Engagement in an Information Technology-Based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Intervention for Men: The Manu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Research protocols. Vol 3, No 1, e2. http://dx.doi:10.2196/resprot.2776. 2014. 

  24. K.I. Kwak, H. H. Baek, S. Y. Ryu.,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617-62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