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형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
Oral health literacy among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6, 2016년, pp.879 - 891  

김현경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정주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  노희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ral health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regarding their utilization of dental clinic services and oral care product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oral health literacy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were distribut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수준과 국내 거주기간에 따른 한국형 구강건강문해력을 조사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내 거주기간과 한국어 능력수준 외의 기타요인들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주로 20대의 대학 내 한국어학당에 다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기타 구강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의 구강건강문해력 수준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치과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의 평균 인지 수는 총 30개 중 외국인 학생 6.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의 치과의료서비스 이용과 구강관리용품 사용에 대한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하였으며, 국내 거주 외국인의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수준에 따른 구강건강문해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치과의료 서비스 이용과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구강위생용품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가 국내 거주 외국인이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수준과 거주기간에 따른 구강건강문해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류 외국인 수와 의료 환자 수의 증가 추이와 전망은? 한국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뿐 아니라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체류 외국인 수는 2011년 1,395,077명에서 2015년 1,899,519명으로 50만 명 이상 증가하였고[1], 국내 의료를 이용한 외국인 환자는 2009년 60,201명에서 2014년 266,501명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으며[2],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국제교류는 어떠한가? 한국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뿐 아니라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체류 외국인 수는 2011년 1,395,077명에서 2015년 1,899,519명으로 50만 명 이상 증가하였고[1], 국내 의료를 이용한 외국인 환자는 2009년 60,201명에서 2014년 266,501명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으며[2],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의료서비스를 위해 언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학병원 혹은 외국인 진료소를 이용하는 이유는? 국내 거주 외국인은 소득수준이 낮거나 의료보험을 가지고 있지 않고[3],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의료접근성이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4].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국인은 건강문해력 수준과 관계없이 건강정보에 대한 이해와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하였고[5], 약물 처방 및 진단 과정에 대한 지시와 같은 서면 자료를 읽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6]. 따라서,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국말을 잘하는 지인과 동행하거나 언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학병원 또는 외국인 진료소를 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 survey on resident foreigners in Korea[internet]. [cited 2016 Jul 26].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enaraIdx/idxField/userPageCh.do?idx_cd2756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Statistics on foreign patients in 2016 [internet]. [cited 2016 Jul 26]. Available from: https://www.khiss.go.kr/board/bbs_read.jsp?tnameMINBOARD358&bbsidB301&cat_bbsid&bbs_seq442&jkey&jword&pg1&htxt_code null&wj_vcs&reverseNum0&forwardNum0 

  3. Kim HR, Yeo JY, Jeo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2012-10).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4. Li CY, Lee OC, Shin GS, Li XW.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of Korean-Chinese elderly people living in yanbian, China. J Korean Acad Nurs 2009;39(3):386-92. https://doi.org/10.4040/jkan.2009.39.3.386 

  5. Mabachi NM, Cifuentes M, Barnard J, Brega AG, Albright K, Weiss BD, et al. Demonstration of the health literacy universal precautions toolkit: lessons for quality improvement. J Ambul Care Manage 2016;39(3):199-208. https://doi.org/10.1097/JAC.0000000000000102 

  6. Heinrich C. Health literacy: the sixth vital sign. J Am Acad Nurse Pract 2012;24(4):218-23. https://doi.org/10.1111/j.1745-7599.2012.00698.x 

  7. Shin SH. The oral health behaviors and knowledges of some foreign worker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1;35(4):474-85. 

  8. Horowitz AM, Kleinman DV. Oral health literacy: the new imperative to better oral health. Dent Clin North Am 2008;52(2):333-44. https://doi.org/10.1016/j.cden.2007.12.001 

  9. Lee JY, Rozier RG, Lee SY, Bender D, Ruiz RE. Development of a word recognition instrument to test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the REALD-30-a brief communication. J Public Health Dent 2007;67(2):94-8. https://doi.org/10.1111/j.0022-4006.2007.00021.x 

  10. Richman JA, Lee JY, Rozier RG, Gong DA, Pahel BT, Vann WF Jr. Evaluation of a word recognition instrument to test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the REALD-99. J Public Health Dent 2007;67(2):99-104. https://doi.org/10.1111/j.0022-4006.2007.00022.x 

  11. Gong DA, Lee JY, Rozier RG, Pahel BT, Richman JA, Vann WF, Jr.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TOFHLiD). J Public Health Dent 2007;67(2):105-12. https://doi.org/10.1111/j.0022-4006.2007.00023.x 

  12. Ju HJ, Oh HW, Lee HS. A cross-sectional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adults: II.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37(2):81-8. https://doi.org/10.11149/jkaoh.2013.37.2.81 

  13. Lee BY, Kim YH.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adults in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4;37:87-102. 

  14. Kim HK, Noh HJ, Jung IH, Chung WG, Lee Y, Mun SJ, et al. Development of test for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J Korean Soc Dent Hyg 2016;16(3):355-62.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55 

  15. Kim HK. Development of oral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foreigners in Korea[Masters thesis]. Wonju: Univ. of Yonsei, 2014. 

  16. Khan K, Puby B, Goldblatt RS, Schensul JJ, Reisine S. A pilot study to assess oral health literacy by comparing a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tool. BMC Oral Health 2014;14:135-45. https://doi.org/10.1186/1472-6831-14-135 

  17. Helitzer D, Hollis C, Sanders M, Roybal S. Addressing the "other" health literacy competencies-knowledge, dispositions, and oral/aur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ALKDOC, an intervention assessment tool. J Health Commun 2012;17(3):160-75. https://doi.org/10.1080/10810730.2012.712613 

  18. Lee TW, Kang SJ. Health literacy in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 2008;28(4):847-63. 

  19. Addy M. Oral hygiene products: potential for harm to oral and systemic health? Periodontol 2000 2008;48:54-65. 

  20. Lee SH, Chang, KH, Han HS, Park BK, Kim SS.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of female married migrants in Busan with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 J Women's Stud 2012;22(1):165-200. 

  21. Yang SJ. Health statu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0;24(2):323-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