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Gender Differences in Oral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1, 2014년, pp.54 - 64  

이규은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염영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상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한정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measure oral health literacy levels and to identify oral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in elder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es. Data collection was done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32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선행연구에서 관련요인으로 파악된 변수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사회경제적 변수를 제외하고 성별에 따라 두개의 이질적인 집단으로 보이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을 대상으로,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위 및 일반적 특성변인들을 모두 포함하여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노인의 성별에 따라 구강건강증진 사업계획과 교육 프로그램이 차별화되고 맞춤형 복지가 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고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을 확인하고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노인들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불충분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남자노인 155명과 여자노인 166명 총 3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강건강이 전신적 건강에 주요한 요인이며 건강이나 교육수준에는 성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성차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노인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노인들의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 및 영향 요인을 성별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보았다는 것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의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측정도구로 사용된 REALM은 의학용어를 확인하는 검사로서 가장 자주 사용되지만[27], 어휘만을 가지고 측정하여 측정도구의 오차로 인한 편향(bias)이 있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333으로 둘 다 VIF값이 10보다 작아 일반적으로 다중 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은 회귀분석을 위한 가정을 모두 충족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e등에 의한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의 특징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건강상태가 나쁘고 건강행위도 잘 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Lee 등[8]에 의하면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은 보통 건강지식과 건강상태가 낮고, 예방서비스의 이용률이 낮으며, 병원 입원률이 높고, 의료비용이 높아 궁극적으로 건강성과가 나쁘다고 하였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개인의 연령, 수입, 직업상태, 교육수준 및 인종보다 개인의 건강에 기여하는데 있어서 더 강력한 예측인자로[9],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의 자세한 절차는?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의 자세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에서 결과변수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성별로 나누어 통제변수로 남자는 연령, 교육정도, 종교 및 흡연을 여자는 교육정도, 종교, 건강상태 및 만성질환 수에 먼저 회귀시켰다(Model 1). 이에 대한 근거는 남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 4개의 통제 변수에 1개의 독립변수인 구강건강 상태를 더하여 종속변수인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회귀시켰고(Model 2), 세 번째 단계에서는 4개 통제변수와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 관련행위를 더하여 종속변수인 구강 건강정보 이해능력(Model 3)을 회귀시켰다. 분석을 위하여 연령은 74세 이하 0, 75세 이상 1, 학력은 중졸 미만은 0, 중졸 이상은 1, 종교는 없다 0, 있다 1, 건강상태는 나쁘다 0, 보통이다와 좋다 1, 흡연은 피운다 0, 피우지 않는다 1의 값을 갖도록 더미 변수로 전환하였다.
노인들에게 구강건강의 유지는 매우 중요한 이유는? 구강건강상태는 전신건강과 깊은 관련이 있어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면 전신건강 상태도 나쁜 것으로 보고되었다[2]. 치아가 좋지 못하면 저작능력의 감소, 소화불량, 타액분비량 감소 등으로 많은 불편함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심미성 상실과 발음장애로 인하여 대인관계를 위축시키거나 사회적 고립과 소외감을 야기하게 되므로[3], 노인들에게 구강건강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노인들에게 유병률이 높은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이므로 일반적인 만성질환 관리와 마찬가지로 대상자 자신이 질병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자가관리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 ANES V-1)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cited 2013 September 3].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R.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general and dent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7;35(2):89-97. 

  3. Song KH. A study on the evaluation oh health-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125 p. 

  4. Gazmararian JA, Williams MV, Peel J, Baker DW.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f chronic diseas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3;51(3):267-275. 

  5. Ickes MJ, Cottrell R. Healthy litera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10;58(5):491-498. http://dx.doi.org/10.1080/07448481003599104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service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cited 2013 September 3]. Available from: http://health.mw.go.kr/Main.do 

  7. Lee YT, Yoon TY, Kim, SH.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2;32(2):145-171. 

  8. Lee JY, Divaris K, Baker AD, Rozier RG, Vann WF Jr.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with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neglec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2;102(5):923-929. http://dx.doi.org/10.2105/AJPH.2011.300291 

  9.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41 p. 

  10. Kim CS. Gender differentials of economic resources in old ag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3;26(1):59-77. 

  11. Kim SH, Lee E.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195-203. 

  12. Park JY, June KJ.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 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1):75-85. 

  13. Ju HJ, Oh HW, Kim JY, Lee HS. A cross-sectional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adults: I. verbal oral health liter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and Oral Health. 2012;36(2):97-105. 

  14. Lee GJ. Factors affecting activities for oral health promotion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2010. 103 p. 

  15. Richman JA, Lee JY, Rozier RG, Gong DA, Pahel BT, Vann WF Jr. Evaluation of a word recognition instrument to test health literacy in dentistry: the REALD-99.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2007;67(2):99-104. 

  16. Naghibi Sistani MM, Yazdani R, Virtanen J, Pakdaman A, Murtomaa H. Determinants of oral health: does oral health literacy matter? ISRN Dentistry. 2013;3(13):1-6. http://dx. doi.org/10.1155/2013/249591 

  17. Hwang TY. Understanding health literacy: Implications for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Academy Press; 2010. 202 p. 

  18.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05;22(4):215-227. 

  19. Jung JO, Oh GJ.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iodontitis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1;35(1):57-66. 

  20. Nam YS. Influence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status and the of or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in older Korean adults [dissertation]. [Gyeonggi-do]: Ajou University; 2012. 97 p. 

  21. Kutner M, Greenberg E, Jin Y, Paulsen C. The health literacy of America's adults results from the 2003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6. 76 p. 

  22. Schwartz L, Woloshin S, Black WC, Welch HG. The role of numeracy in understanding the benefit of screening mammograph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997;127(11):966-972. 

  23. Kim JE.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ra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27-34. 

  24. Moon HJ. Factors related to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mong older adult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75 p. 

  25. Gwak JH. Impacts of tobacco on oral health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95 p. 

  26. Wolf MS, Gazmararian JA, Baker DW. Health literacy and health risk behaviors among old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7;32(1):19-24. 

  27. Davis TC, Crouch MA, Long SW, Jackson RH, Bates P, George RB, et al. Rapid assessment of literacy levels of adult primary care patients. Family Medicine. 1991;23(6):433-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