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주지진 관측자료에 기반한 유효최대지반가속도 분석
Investigation on Effective Peak Ground Accelerations Based on the Gyeongju Earthquake Record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0 no.7 special, 2016년, pp.425 - 434  

신동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홍석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important parameters used to determine an effective peak ground acceleration (EPG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spectra of historical earthquakes occurred at Korean peninsula. EPGAs are very important since they are implemented in the Korean Building Code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효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이 내포하고 있는 손상 가능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려된 개념으로서 가속도 응답스펙트럼 상에서 가속도가 가장 크게 분포되는 영역, 즉 구조물에 인입되는 지진에너지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초점을 맞춘 가속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계기지진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효최대지반가속도의 산출에 반영되는 주요 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최근 일정 크기 이상의 지진기록이 다수 관측된 경주지진의주요 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유효지반가속도를 산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진기록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유효지반가속도 산출방법을 정리하였으며, 최근 발생한 경주지진을 대상으로 국내 주요 관측소의 측정기록을 이용하여 유효지반가속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내진설계기준 상에서 유효지반가속도의 산출을 위해 준용된 미국의 Applied Technology Council의 방법론[15]을 분석한 후, 국내 계기지진의 특성을 해당 방법론에 반영하고자 최근 20년간 국내 주요 관측소에서 측정된 지진기록의 탄성 가속도 및 속도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에서와 같이 최대지반가속도와 속도를 함께 표시하였다. 주파수별 정규화된 5% 감쇠응답스펙트럼의 분포는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그림에서 적색 실선은 정규화된 5% 감쇠응답스펙트럼의 분포에서 50% 백분위(mean)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청색실선은 8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 내부지진의 특징은? 한반도는 지진학적으로 판구조 운동으로 인한 국지적 응력이 축적되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판 내부에 속하며 발생지진도 판 내부지진의 특성을 갖고 있다. 판 내부지진은 판 경계지진에 비하여 지진의 시공간 분포가 불규칙적이므로, 예측이 쉽지 않으며 지진발생 빈도가 낮고 우발적이라 할 수 있다 [1]. 하지만 최근 들어 울진 (2004, 규모 5.
한반도의 지진 특성은 어떠한가? 한반도는 지진학적으로 판구조 운동으로 인한 국지적 응력이 축적되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판 내부에 속하며 발생지진도 판 내부지진의 특성을 갖고 있다. 판 내부지진은 판 경계지진에 비하여 지진의 시공간 분포가 불규칙적이므로, 예측이 쉽지 않으며 지진발생 빈도가 낮고 우발적이라 할 수 있다 [1].
지진재해 저감을 위해, 사전연구의 관점에서 지진원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구조물과 연관된 내진 공학적 측면에서 계기지진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중약진 지역의 경우에는 지진발생 빈도가 낮은 판 내부지진의 특성 때문에 지진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 질 수 있으나 도시화로 인한 인구 및 건축물밀집 등은 지진발생시 재해의 증폭이 쉽고 그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 막대한 규모의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7, 8]. 하지만 일정 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며, 지진발생 자체를 억제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진원에서의 강력한 에너지 발산에 따라 생성된 지진파가 공간으로 전파되며 크기가 변화되거나 실제 구조물이 위치하는 토사 지층을 통과하면서 지진파의 동적 특성이 다양해 질수 있다 [9, 10]. 따라서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사전연구의 관점에서 지진원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구조물과 연관된 내진 공학적 측면에서 계기지진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KH. Comments on Seismicity and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10 August;13(3):256-267. 

  2. Kim KJ. A Study for Earthquake Parameter of Uljin Earthquake. EESK J. Earthquake Eng. 2007;11(6):33-39. 

  3. Yun KH. Fault Rupure Directivity of Odaesan Earthquake (M4.8, '07. 1. 2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08;11(2):137-147. 

  4. Hwang KR, Lee HS, Kim SJ. Evaluation of Seismic Load Level in Korea Based on Global Recorded Earthquake Ground Motions. EESK K. Earthuake Eng. 2015;19(5):247-256. 

  5. Chang CJ, Chang TW.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Geometric Analysis of Fault Slip.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09 Sep;19(3):277-285. 

  6. Song MY, Kyung JB. A Geophysical Survey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and Determination of Fault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96;17(2):205-212. 

  7. Yoon ET, Ryu H, Kang TS, Kim JK, Baag CE. A Study on the Seismic Damage Estimation in the Model District of Seoul City. EESK K. Earthuake Eng. 2005;9(6):41-52. 

  8. Kang IB, Park JH. The Seismic Hazard Study on Chung-Nam Province using HAZ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02;2(2):73-83. 

  9. Borzorgnia Y, Campbell KW. The Vertical-to-horizontal Response Spectral Ratio and Tentative Procedure for Developing Simplified V/H and Vertical Design Spectrum.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2004;8:175-207. 

  10. Sun CG, Han JT, Cho WJ. Representative Shear Wave Velocity of Geotechnical Layers by Synthesizing In-situ Seismic Test Data in Korea.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12;22(3):293-307. 

  11. Reed JW, Anderson N, Chokshi NC, Kennedy RP, Metevia WJ, Ostrom DK, Stevenson JD. A Creterion for Determining Exceedence of the Operating Basis Earthquake. EPRI NP-5930.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California. USA. c1988. 

  12. Kim JK, Analysis of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Recent Earthquak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2009;19(6):490-497. 

  13. Yoon JK, Kim DS, Bang ES. Development of Si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considering Geotechnical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I)-Problem Statements of the Current Seismic Design Code. EESK J. Earthquake Eng. 2006;10(2):39-50. 

  14.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Building Code and Commentary, KBC 2016.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c2016. 

  15. Applied Technology Council (ATC). Tentative Prov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ismic Regulations for Buildings. Applied Technology Council. ATC 3-06. Nat. Bur. of Stds. Spec. Publ. Washington DC. c1978. 

  16. Newmark NM. A Study of Vertical and Horizontal Spectra. report prepared for the Directorate of Licensing United States Atomic Energy Commission. Report WASH-1255. United States Atomic Energy Commission. Washington DC. c1973. 

  17.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 Study for the Seismic Design Code of Korea 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1997. 

  18. Newmark NM, Hall WJ. Earthquake Spectra and Design. Engineering Monographs on Earthquake Criteria, Structural Design and Strong Motion Records.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akland. CA. USA. c1982. 

  19. Kim JK, Hong SM, Park KJ.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Vertical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Domestic Earthquak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10;13(3):399-407. 

  20. Kim JK.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19 Earthquak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2010;20(6):399-407. 

  21. Sun CG.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10;13(3):203-218. 

  22. Ben-Menahem A, Singh AJ. Seismic Waves and Sources. Springer-Verlag. New York. c1981. 

  23. Shin JS, Lee JR, Chang CJ.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June 2, 1999 Kyeongju Earthquake.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c1999. p. 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