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활용의도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1, 2016년, pp.51 - 60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정현경 (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re is increasing attention to smart-learning as a new education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CNE) and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based CNE. Methods: Participants were 486 nurs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간호사들의 스마트 기술 기반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의도를 조사하고,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간호정보역량과 스마트 폰 중독정도가 실제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다면 향후 스마트 기술 기반 보수교육 매체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 보수교육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보수교육 대상자들의 활용의도를 조사하고, 기술수용모델에 근거하여 간호정보역량과 스마트 폰 중독정도가 스마트 기술 기반의 보수교육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실제 활용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고자 하였으므로 이를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스마트 기술 기반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활용의도를 조사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향후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활용의도를 조사하고, 간호정보역량, 스마트 폰 중독과의 상관성 및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활용의도와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간호사 보수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술 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활용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정보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 1041386-20141106-HR-012-03)을 받았다. 설문지의 배부 및 수거의 활동에 도움을 주겠다고 동의를 표명한 14개 기관의 교육담당자에게 병원 간호부 또는 해당 기관장의 허락을 얻도록 한 후 연구대상자들 모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익명성과 기밀성을 보장할 것이며, 설문조사 도중 철회의사가 있을 시에는 언제든지 설문을 종료할 수 있음을 알렸다.
  • Davis가 제시한 기술수용모델에 따르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은 시스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활용의도에, 그리고 활용의도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0]. 스마트 기술 기반 보수교육이 개발되지 않은 현 단계에서 사용해보지 않은 시스템의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서 인지된 유용성 및 태도의 직접적인 영향 요인으로 제시된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파악하여 스마트 기술 기반 보수교육의 활용의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최근 스마트 기술 기반 학습에 대한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준비정도, 시스템의 몰입도, 서비스의 품질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보수교육은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이는 온라인 보수교육이 오프라인에 비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2]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온라인 간호사 보수교육은 이러닝[3]의 한 형태이나, 최근에는 스마트 기술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 러닝이라는 개념이 대두되어 기존의 이러닝에서 스마트 러닝으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4]. 아직 스마트 러닝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정의는 없으나 흔히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한 학습을 일컫는 데[5], 학습정보에 손쉽게 접근가능하고 학습자간,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자기주도적 학습환경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자 주도형의 인간중심적인 학습 방법이라 여겨진다[4].
간호정보역량이란 무엇인가? 간호정보역량(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이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정보와 관련된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본 연구에서는 Staggers 등[20]이 개발한 도구를 Kim[21]이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요인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초보자용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으로 기본적인 컴퓨터의 활용 10문항, 의료정보화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활용 7문항, 전산정보의 관리 6문항, 정보화에 대한 인식 5문항, 정보검색 2문항으로 총 다섯 개의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 보수교육의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간호사 보수교육은 최근 정보기술이 발달되면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온라인의 경우 2004년 대한간호협회에서 온라인 보수교육센터를 개설하여 2015년 현재 23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인 면허신고제 실시 이후 온라인 보수교육 이수자 수가 2011년 16,124명에서 2012년 41,633명으로 크게 늘어났다[1]. 이는 온라인 보수교육이 오프라인에 비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적으며 반복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2]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온라인 간호사 보수교육은 이러닝[3]의 한 형태이나, 최근에는 스마트 기술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 러닝이라는 개념이 대두되어 기존의 이러닝에서 스마트 러닝으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healthcare professional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research_id1351000-201300214. 

  2. Kwon S, Yun S. A study on the effect of e-learning characteristic on the adoption intention.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2007;7(1):126-142. 

  3. Lee J, Lee JK. Conceptualizing e-learning.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005;8(3):1-31. 

  4. Noh KS, Ju SH, Jung JT.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1;9(2):79-88. 

  5. Lim K.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1;14(2):33-45. 

  6. Gormley DK.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nursing.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2013;29(3):149-151. http://dx.doi.org/10.1097/NND.0b013e318291c47d 

  7. Kim MS, Park JH. Development of a drug dosage calculation learning smartphone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5): 2251-2261. http://dx.doi.org/10.5762/KAIS.2013.14.5.2251 

  8. Yoo IY, Lee YM.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s in cardiopulmonary assessment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015;35(2):e19-e23. http://dx.doi.org/10.1016/j.nedt.2014.12.002 

  9. Pyo MY, Kim JY, Sohn JO, Lee ES, Kim HS, Kim KO, et al.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via smartphone's simulation appli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228-238. 

  10. Davis FD, Bagozzi RP, Warshaw PR.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1989;35(8):982-1003. http://dx.doi.org/10.1287/mnsc.35.8.982 

  11. Khanh NTV, Gim G. Factors influencing mobile-learning adoption inten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high educ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4;10(2):51-62. http://dx.doi.org/10.3844/jssp.2014.51.62 

  12. Smith SE, Drake LE, Harris JGB, Watson K, Pohlner PG. Clinical informatics: A workforce priority for 21st century healthcare. Australian Health Review. 2011;35(2):130-135. http://dx.doi.org/10.1071/AH10935 

  13. Walker PH, Walker JM. Nursing informatics: Opportunities for administrators, clinicians, educators, and researcher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1995;1(1):22-29. http://dx.doi.org/10.1177/107839039500100107 

  14. Kim MH, Kim MS, Chae SW, Kim YS. Relationship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2):176-183. 

  15. Kim MS.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731-74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731 

  16. Lee SA. Over half of the workers feel that "I was addicted to smartphone"... They use 5.2 mean hours daily. Korea JoongAng Daily. 2015 July 15. 

  17. Kim HJ, Kim JH, Jeong SH. Predi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behavioral pattern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012;29(4):55-93. 

  18. Li M. The effect of flow and addiction of mobile game on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19. Lee JH. Exploring the explanatory factors between active smartphoneuse and smartphone addiction: Focused on use behavior and resilience [master's thesis]. Seoul: Sogang University; 2015 

  20. Staggers N, Gassert CA, Curran C. Informatics competencies for nurses at four levels of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1;40(7):303-316. 

  21. Kim M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cs competencies for nurses among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3):470-480. 

  2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Report No.: NIA V-RER-14112.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bbs/board_view.asp?BoardID201408061323065914&id15626&Order020303&search_target&keyword&Flag020000&nowpage1&objpage0. 

  23. Akour H. Determinants of mobile learning accepta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higher education [dissertation]. Oklahoma: Oklahoma State University; 2009. 

  24. Han SM, Lee HS. Nurses' reasons for participation in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10;29(2):189-204. 

  25. Go JH, Han MR, Hur J. The analysis of raw data of completion of off-line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in Seoul, 2008-2012.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 12(6):527-538. http://dx.doi.org/10.14400/JDC.2014.12.6.527 

  26. Han S, Kim S. Analysis of learner competencies through digital textbooks and smart-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5;19(2):207-214. http://dx.doi.org/10.14352/jkaie.2015.19.2.207 

  27. Heo HO, Lim KY, Kim HJ, Lee HW.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instrument for teacher competency for SMART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3;19(2):151-173. 

  28. Eley R, Fallon T, Soar J, Buikstra E, Hegney D. Barriers to use of information and computer technology by Australia's nurses: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8):1151-115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336.x 

  29. Kim M. A study on educational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2014;15(1): 143-156. http://dx.doi.org/10.7472/jksii.2014.15.1.143 

  30. Ajzen I, Madden TJ. Prediction of goal-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86;22(5): 453-474. http://dx.doi.org/10.1016/0022-1031(86)9004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