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에 적용한 가상현실 융합시뮬레이션 연구에 대한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n Nursing education Adopting Virtual Reality Convergence Simul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60 - 74  

강수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춘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이홍자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남재우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명숙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현실 융합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간호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임상간호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적, 질적 연구에 대한 통합적 분석방법을 통해 가상현실 융합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간호교육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함이다. 총 382편의 연구 중, 논문 질 평가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17편(양적연구 12편, 질적연구 5편)이 선정되었다. 효과적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조건과 지식, 태도, 실천적 측면에서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등 총 네 가지 측면으로 내용을 합성하였다. 효과적인 교육조건 측면에서 가상현실기계 사용에 대한 준비성과 플랫폼에 대한 마스터링, 흥미 있는 시나리오가 필요하였다. 지식, 태도 및 실천적 측면에서의 가상현실 간호교육 융합시뮬레이션의 효과는 간호대학(원)생의 지식 증가 및 유지 연장, 반복학습을 통한 과정 및 순서 암기력 향상, 공감능력 및 친밀감 형성 등의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교육의 융합시뮬레이션에 가상현실을 적용한다면 교육의 효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rsing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VRS) has emerged as a new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as well as of competency for clinical nursing sk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VRS through an integrative ana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통합적 고찰 방법은 해당 주제에 대해다양한 시점과 방법론으로 바라본 시각을 취합 할 수 있어서 이를 통해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와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방법으로 간호대학(원)생대상으로 시행한 VR 시뮬레이션 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용된 중재와 그 교육효과를 고찰하였다. 통합적 고찰은Whitte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5가지 단계로(1) 문제인식 단계 (2) 문헌 검색 및 선정 단계 (3) 자료의 평가 단계 (4) 자료 분석의 단계 (5) 자료 통합을 통한 결론 도출의 단계 순을 따랐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연구동향과 그 효과 분석 및 대상자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향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VR을 적용한 간호교육의 시뮬레이션중재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조건을 살펴보고, 지식, 태도, 실천(KAP model)의 측면에서통합적인 고찰을 하였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VR기계 사용의 준비성과 VR 플랫폼에 대한 마스터링, 학생들의 학습흥미를 이끌어 내 줄 VR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부생 및 간호대학원생 대상 가상현실(VR)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 연구논문의 게재연도에는 따로 제한을 두지 않고 검색하였다.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였고, 따라서 2018년 8월 31일 이전에 게재된 문헌이 검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고찰 방법을 통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을 기반으로 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의 속성, 효과 및 교육 대상자의 시각을 파악하여 국내 연구와 간호교육의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고찰 방법을 통하여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을 기반으로 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향후 간호대학(원)생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이라 하는가? 간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질병 예방, 건강 유지 및 증진을 포함한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를 길러내는 것이다[3]. 간호대학(원)생들이 전문직 간호사의 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 실습교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4].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교육에 어떤 장점을 주는가? 또한 환자에게 윤리적인 문제나 위해가 가지 않는 환경에서 실습이 이루어지기에 학생의 스트레스가 적고[10], 간호술기를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11].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다양한 시뮬레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데, 특히 고충실도(High fidelity) 마네킹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일으키고 자기주도적인 문제 해결을 경험하도록 기회를 제공한다[4]. 그러나 고충실도 마네킹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한 번에 적은 수의 학생들만 적용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장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비용이 많이 든다[12].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의 국내 진행현황은 어떤 것으로 보이는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은 개별 아바타로 대표되는 여러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시설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른 대상자와 상호작용 하는 것을 말하며[17], 최근에 국외에서는 VR을 이용한 교육이 전통적인 교육에 비해 집중력과 효과성이 높고, 대상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이라는 이점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 그러나 국내 VR 시장은 초기단계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집중력과 몰입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간호교육에 있어서는 아직도입단계이며 정형화 된 틀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J. Shin & D. Y. Cho (2014). The State of Need Analysis Research for Building Programs for Adults in Business and Community Settings : 2006-2014.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0(3), 79-96. ISSN1598-9054. UCI(KEPA) : I410-ECN-0102-2015-300-00231092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urses' Workplace and Treatment Improvement, 1-26. 

  3. M. W. Kim (2006). Discussion about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iz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and Its Future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query, 15(2), 35-67. ISSN(Print) : 1225-8466, UCI(KEPA) : I410-ECN-0102-2009-510-000001024 

  4. Y. J. Lee, M. W. Kim & E. G. Oh. (2011). The Current Use of Human Patient Simulators in Nursing Schools in Korea.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3(2), 47-57. ISSN : 2092-5603 

  5. K. C. Lim. (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n, 17(2), 246-256. DOI : 10.5977/JKASNE.2011.17.2.246 

  6. H. K. Hur, S. M. Park, Y. H. Shin, Y. M. Lim, G. Y. Kim, K. K. Kim, H. O. Choi & J. H. Choi. (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9(2), 228-240. DOI : 10.5977/jkasne.2013.19.2.228 

  7. S. M. Chae, K. S. Bang, J. Y. Yu, J. H. Lee, H. J. Kang, I. J. Hwang, M. K. Song & J. S. Park. (2015).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Asthm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298-307. DOI : 10.5977/jkasne.2015.21.3.298 

  8. J. B. Cooper & V. R. Taqueti. (2004).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1), 11-18. DOI : 10.1136/qshc.2004.009886 

  9. M. Prensky.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9(5), 1-6. DOI : 10.1108/10748120110424816 

  10. Y. K. Scherer, S. A. Bruce, B. T. Graves & W. S. Erdley. (2003).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education: enhancing performance through the use of clinical simulation. AACN Clin Issues, 14(3), 331-341. 

  11. J. J. Yang.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4), 548-560. 1225-4886(pISSN) / 2288-338X(eISSN) 

  12. S. Y. Liaw, S. W. C. Chan, F. G. Chen, S. C. Hooi & C. Siau. (2014). Comparison of virtual patient simulation with mannequin-based simulation for improving clinical performances in assessing and managing clinical deteriora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6(9), 1-10. DOI : 10.2196/jmir.3322 

  13. P. R. Jeffries. (2007).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or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2-143.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ISBN-10 : 1934758159 

  14. R. P. Cant & S. J. Cooper. (2014). Simulation in the Internet age: The place of Web-based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12), 1435-1442. DOI : 10.1016/j.nedt.2014.08.001 

  15. H. G. Kim, M. Y. Lee & Y. A. Yang. (2018). Literature Research on the Clinical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2(1), 1-11. 

  16. E. D. de Bruin, D. Schoene, G. Pichierri & S. T. Smith. (2010). Use of virtual reality technique for the training of motor control in the elderly.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43(4), 229-234. DOI : 10.1007/s00391-010-0124-7 

  17. C. Foronda, C. Budhathoki & D. Salani. (2014). Use of multiuser, high-fidelity virtual simulation to teach leadership styles to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 39(5), 209-211. DOI : 10.1097/NNE.0000000000000073 

  18. J. H. Choi. (2016). The future of education and culture industry through virtual reality. Future Horizon, 29, 20-23. 

  19. S. J. Park. (20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Virtual Simulation Program o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Degree, Seoul. 

  20. R. Whittemore & K. Knafl.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3. DOI : 10.1111/j.1365-2648.2005.03621.x 

  21. S. M. Lim, E. S. Shin, S. H. Lee, K. H. Seo, Y. M. jung & J. E. Jang. (2011).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419-429. DOI : 10.5124/jkma.2011.54.4.419 

  22. SIGN.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Edinburgh, Scotland : Author ; 2015. Retrieved January 15, 2015, from http://www.sign.ac.uk/methodology/index.html# 

  23. S. Buckley, J. Coleman, I. Davison, K. Khan, J. Zamora, S. Malick & J. Sayers. (2009). The educational effects of portfolios on undergraduate student learning: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11. Medical Teacher, 31(4), 282-298. DOI : 10.1080/01421590902889897 

  24. S. Walker, D. Rossi, J. Anastasi, G-G, Gillian, R. Tennent. (2016). Indicator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learning journey: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43, 40-48. DOI : 10.1016/j.nedt.2016.04.011 

  25.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2018). CASP qualitative checklist. Retrieved from www.casp-uk.net 

  26. H. J. Seo, S. Y. Kim, Y. J. Lee, B. H. Jang, J. E. Park & S. S. Sheen et al. (2015). A newly developed tool for classifying study designs in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and exposures showed substan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7, 200-205. DOI : 10.1016/j.jclinepi.2015.09.013 

  27. M. S. Chu & Y. Y. Hwang. (2017). Effects of Web-based Simulation and High-fidelity Simulation of Acute Heart Disease Patient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1), 95-107. DOI : 10.5977/jkasne.2017.23.1.95 

  28. M. Prensky.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On the Horizon, 9(5), 1-6. DOI : 10.1108/10748120110424816 

  29. S. L. Bae. (2014). A Study on Institutionalization of Youth Media Education System in Digital Age. Sejong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4-R11. ISBN 979-11-5654-019-993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