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자동차의 내부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of Fire-fighting Ambulance Interior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121 - 129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민정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초록

구급차는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한 요소이며, 119 구급대원의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다. 구급대원들이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급차 내부의 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하여 구급대원들의 책임과 기능적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급차의 내부 공간에서 환자실에 탑재되어야 하는 응급의료 장비와 약제의 탑재 공간 확보 및 구급차 내에서의 응급처치에 따른 원활한 공간의 배치를 재구성하였으며, 환자의 위치와 응급처치 요원의 배치에 따른 공간 배정에 대한 분석 및 효율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구급차 주행 중 처치공간에서 수행하는 119 구급대원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급대원의 직무수행에 적합한 구급차 내부 수납공간의 디자인 설계 및 사용 환경에 대한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환자실 공간 크기 및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bulance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also an important space for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paramedics. Paramedics use the interior environment to maximize the capabilities of the space, but ambulances need to be improved to help with the respo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구급차의 천장은 누워있는 환자를 위한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안정된 색상의 심리적 접근을 필요로 하며, 조명의 위치는 11자형 혹은 U자형으로 하고, 환자 집중 조명과 수액걸이를 설치한다. 그리고, 안전 손잡이는 천장의 U자형으로 설치하여 차량 이동 중 어느 위치에서나 안전하게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하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안한다.
  • 이와 같은 연구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구급차 내부의 디자인의 개선 및 필요성을 인지하여, 구급차 내부의 디자인적인 요소 및 구급차 내부공간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디자인적인 요소가 필요한 이유로서는 사람의 행동반경에 따른 내부의 구조 연구 및 개발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으며, 응급상황에서 누구나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에 대하여 개발하고,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능적 구급차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 및 응급상황 관련 특장차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관련 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구급자동차의 현재 상황과 선진국 구급 자동차의 트렌드를 파악한 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의 장 · 단점 및 현황을 분석하여 본 연구 개발을 통하여 연구되어야할 구급차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안전처의 119 구조구급과의 협조를 받아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 경기, 인천, 세종시,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의 남자 127명, 여자 49명의 구급요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구급차량내 안전사고 예방 및 구급업무 효율 증진을 위한 구급 차량내 디자인 개선을 위한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설문에 응한 구급요원의 직책을 살펴보면 1급 응급 구조사 103명, 2급 응급구조사 34명, 간호사 19명, 간호조무사 등 기타 20명의 인원을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확보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구급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봉고III, 스타렉스, 벤츠 구급차를 한국형의 차세대 구급차량의 개발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현재 양산 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양산으로 나올 계획이 잡혀있는 A모델을 본 연구과제의 전략적 구급차량으로 이용하기 위해 차종을 선택,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A모델의 특징은 모노코크(monocoque)바디 타입으로서, 실내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가볍고 연비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현재, 구급장비의 적재 위치에 따른 기준이 없는 상황이며 이들 장비의 무게, 부피, 사용빈도 등을 실측 및 고려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장비 탑재 공간의 구성과 위치, 크기 등에 대한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노력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이와 같은 연구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구급차 내부의 디자인의 개선 및 필요성을 인지하여, 구급차 내부의 디자인적인 요소 및 구급차 내부공간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디자인적인 요소가 필요한 이유로서는 사람의 행동반경에 따른 내부의 구조 연구 및 개발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으며, 응급상황에서 누구나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에 대하여 개발하고,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능적 구급차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그밖에 계단형 들것의 위치로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장비이지만 중요도가 높은 위치에 탑재하여 꺼내기 쉬운 위치에 놓이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구급차량의 뒷문을 활용하기 위한 수납방법으로 구급용 헬맷 및 수납에 대해서도 제안을 하였으며, 흡인기의 사용 편리성을 위한 선반을 제안하였고, 차량 내부 곳곳에 안전 손잡이를 제안하여 환자 및 처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천정에도 손잡이를 제안하여 CPR 처치 및 이동 중에 매우 편리할 것이라고 제안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차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구급차는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한 요소이며, 119 구급대원의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다. 구급대원들이 직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급차 내부의 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하여 구급대원들의 책임과 기능적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화물차 개조형 구급차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화물차 개조형 구급차는 승차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승합차 개조형은 구급차 내부 즉, 응급처치 공간의 협소로 구급대원과 환자 모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화물차와 승합차 개조형 모두구급대원들은 환자처치 작업이 편리한 위치로 환자 옆 부분을 선호하고 있어서 구급대원 좌석의 위치가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으며, 장의자에서 응급처치를 하면 높이가주들것 보다 높아 불편한 자세로 임상업무를 수행하게 되어 허리등에 통증을 가져오는 위험도를 줄 수 있는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다(6,8).
국내 구급차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실 내부의 규격을 정하는 것 외의 법적인 제도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와 같은, 국내 구급차량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국내 구급차 규격은 전체적인 넓이만 명시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구급차 내에서 안전하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편안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환자실 내부의 규격을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급차의 내부 공간에서 현재까지 구급차량 내에서 기준이 없는 환자실에 탑재되어야 하는 응급 의료장비와 약제의 목록을정비, 표준안을 마련하고 장비와 약제의 탑재 공간 확보및 구급차 내에서의 응급처치에 따른 원활한 공간의 배치에 대한 제정이 필요하다. 더불어서 구급차에 탑승한 환자에게 적절한 응급처치에 필요한 공간 확보 및 환자의 위치와 응급처치 요원의 배치에 따른 공간 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상황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Lim and H. J. Lee, "A Study on the Patient Classification Tool to the Paramedics 119", the Symp. of J. Korean Soc. Emerg. Med. (2013). 

  2. J. S. Chung, K. J. Hong, S. D. Shin, K. J. Seo and K. J. Song, "Evaluation of the Apporopriateness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Emerg. Med., Vol. 19, No. 3, pp. 233-244 (2008). 

  3. R. G. Thompson, "Bystander-initi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Management of Ventricular Fibrilla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90, No. 5, pp. 737-740 (1979). 

  4. I. S. Choi, "http://www.nocutnews.co.kr", July 8 (2009). 

  5. 119 Magazine, "119 Emergency Service Satisfaction", Vol. 12, No. 6, pp. 100-101 (2008). 

  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afety Training", http://www.nema.go.kr, May 8 (2013). 

  7. I. Gilad and E. Byran, "Ergonomic Evaluation of the Ambulance Interior to Reduce Paramedic Discomfort and Posture Stress", Hum Factors 49, pp. 1019-1032 (2007). 

  8. J. Ferreira and S. Hignett, "Reviewing Ambulance Design for Clinical Efficiency and Paramedic Safety", Applied Ergonomics, Vol. 36, pp. 97-105 (2005). 

  9. Y. T. Han, S. T. Hong, S. H. Park and D. M. Shin,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Ambulance used in Domestic", Proceedings of 2014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213-214 (2014). 

  10. D. M. Shin, S. Y. Kim and Y. T. Han,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re-Fighting Ambulances about the Aspects of Safety and Efficiency using the Question Investigation", Kor. Inst. Fire Sci. Eng., Vol. 29, No. 2, pp. 44-53 (2015). 

  11. B. J. Ko, "A Comparative Study on the Ambulance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ittsburgh Univ. EMT training courses U.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Vol. 8, pp. 249-282 (2009). 

  12. A. Henry, S. Jeffrey, N. Avery, R. D. MacDonald, A. Travers, J. Tallon, M. G. Fehlings and A. Yee1, "Pre-Hospital Care Management of a PotentialSpinal Cord Injured Pati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vidence-Based Guidelines", Jour. of Neurotrauma, Vol. 28, pp. 1341-1361 (2011). 

  13. D. M. Shin, S. Y. Kim and Y. T. Han, "An Investigation of the Regulation, Desig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mbulances", Kor. Soc. Safe., Vol. 29, No. 4, pp. 172-179 (2014). 

  14. C. K. Stone and S. H. Thomas, "Can Correct Closed-chest Compressions be Performed During Pre-hospital Transport?",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Vol. 10, No. 2, pp. 121-123 (1995). 

  15. C. Havel, W. Schreiber, M. Haugk, H. Trimmel and H. Herkner, "Quality of Closed Chest Compression in Ambulance Vehicles, Flying Helicopters and at the Scene", Resuscitation, Vol. 73, No. 2, pp. 264-27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