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구급차 규정, 디자인 및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Regulation, Desig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mbulanc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4, 2014년, pp.172 - 179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승용 (한국교통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egulation, desig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mbulances so that make the basis for the future ambulance in Korea. It is true that the diversification of current disasters,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the increase in emergency patients, due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응급의료체계의 선두주자인 미국과 유럽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급차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며, 특히 구급대원들의 임상 활동의 인체 공학적 분석 즉, 링크분석과 자세분석 등을 활용한 실용적인 연구를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NIOSH) 및 영국 국립환자안전기구(National Patients Safety Agency: NIPSA)와 같은 연구기관이 구급차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보다 전문적인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구급차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도 없으며, 관련 논문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점점 더 고도화, 현대화, 세분화화 가는 국내 실정에 맞는 구급차의 연구 및 개선을 위한 조직 및 연구의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강조하기 위한,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급차의 유래(역사), 국내·외 관련 규정, 구급차 디자인 연구방향 및 구급차 개선연구 사례를 제시하며 국내의 구급차의 연구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자 하는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구급차의 규정 및 향후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방향에 대한 조사 및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구급차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체계를 오래전부터 가진 미국과 유럽의 연구와는 달리 실내공간이 협소하며, 구급대원 및 동승자의 안전장치가 미흡하며, 비포장도로 및 경사지가 많은 국내에서 구급차량의 대부분이 후륜구동 방식으로 기동성이 떨어지는 등, 국내의 열악한 구급차의 현황 및 관련 사항들을 비교 소개하며 특히, 국내·외 구급차 관련 규정, 구급차 디자인 연구 방향 및 구급차 개선 연구 사항들에 대해서 비교 하여 앞으로 한국형 구조 구급차의 개선방향 및 초석이 될 수 있는 기본 방향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 현재 국내에서 재난의 다양화와 고령자 인구 급증으로 인한 응급환자의 증가와 응급 이송체계의 핵심인 구급차량의 성능과 실효성 미흡으로 인한 문제점 및 구급차량의 노후로 신속한 구급서비스의 제공이 어려운 국내의 구급차의 사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급차의 역사, 국내⋅외 관련 규정, 비교 및 개선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향후 국내에서 구급차가 개선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일본의 구급차 관계법령은 다음과 같다. ① 구급차의 차체 색은 도로 운송 차량법에 근거해 백색만 정해져 있고 적색 또는 청색이 붙은 테이프장의 띠가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색대의 디자인이나 형상은 본부 마다 다르다. ② 상부에 적색 회전등(전방 측방 이외에는 발광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휘도 LED등을 이용한 섬광등도 채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현대식 구급차의 시작은 누구로 부터 인가? 국내의 현대식 구급차의 시작은 인요한 박사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1984년 인요한 박사 아버지가 교통사고를 당하였으나 그 당시 구급차가 제대로 없어 택시를 타고 병원에 가던 도중에 사망하여 미국에 있던 아버지의 친구들은 그의 죽음을 잊지 말자는 의미에서 모금을 하여 한국으로 보내졌고 그 돈으로 15인승 승합차를 개조해 구급차를 만들게 되었다.
Ambulance의 어원은 어떤 단어에서 알 수 있는가? 구급차 ‘Ambulance’의 어원은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에서 사용되어진 ‘Hospital Ambulant'라는 단어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전쟁터에서 임시적으로 다친 사람들을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병원이 필요했는데 이를‘움직이는 병원’ 이라는 뜻의 ‘Hospital Ambulant’라고 했으며 야전병원처럼 전쟁터를 돌아다니며 환자를 보는 이동병원 개념이었다.
1980년도의 국내의 구급차 운영은? 국내의 구급차 운영도 국군의 창설과 더불어 군에서 시작되어 민간에 확산된 점은 세계의 구급차 발달과정과 비슷하다. 1980년에는 보건사회부의 원조로 ‘야간구급환자신고센터’를 설치, 구급차를 대기시켜 시민에게 봉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급센터의 운영만으로는 위급한 환자의 이송이 미흡하여 서울시에서는 1982년 3월 1일부터 시내 각 소방서에 구급차를 배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 J. Go, "The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Unites State of America an Ambulance", NREMT in USA Training Course Project, Vol. 9, pp. 249-282, 2009. 

  2. I. S. Yu, K. H. Lee, T. Huh and Y. H. Yu, "Ambulance Standard and Revised Emergency Regulations for Transporting Up Research", Research Report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 Chung-Nam Univ., 2011. 

  3. R. Coleman and D. Harrow, "Design for Patient Safety, Future Ambulance: A Comprehensive Design Study into How Patient and Ambulance Staff Safety can be Improved", Royal College of Art, 2006. 

  4. O. Alsalloum and G. Rand, "Extensions to Emergency Vehicle Location Models",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33, No. 9, pp. 2725-2743, 2006. 

  5. Royal College of Art, "Re-designing the Emergency Ambulance", Helen Hamlyn Centre for Design, 2011. 

  6. A. Jones and S. Hignett, "Safe Access/Egress Systems for Emergency Ambulances",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24, pp. 200-205, 2007. 

  7. C. Donald, "Reducing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y for Paramedics", Ambulance Paramedics of British Columbia, 2001. 

  8. E. R. Stapleton, "Comparing CPR during Ambulance Transport, Manual Vs. Mechanical Methods",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6, No. 9, pp. 63-68, 1991. 

  9. S . G . Hong and I. A. Son,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ying in a Moving Ambulance", Journal of Korean Soc. Emerg. Med., Vol. 20, No. 4, pp. 343-354, 2009. 

  10. T. N. Chung, S. W. Kim, Y. S. Cho, S. P. Chung, I. Park and S. H. Kim, "Effect of Vehicle Speed on the Quality of Closed-chest Compression during Ambulance Transport", Resuscitation, Vol. 81, No. 7, pp. 841-847, 2010. 

  11. C. Havel et al., "Quality of Closed Chest Compression in Ambulance Vehicles, Flying Helicopters and at the Scene", Resuscitation Vol. 73, No. 2, pp. 264-270, 2007. 

  12. J. Ferreira and S. Hignett, "Reviewing Ambulance Design for Clinical Efficiency and Paramedic Safety", Appl Ergon, Vol. 36, No. 1, pp. 97-105, 2005. 

  13. I. Gilad I and E. Byran, "Ergonomic Evaluation of the Ambulance Interior to Reduce Paramedic Discomfort and Posture stress", Hum Factors, Vol. 49, No. 6, pp. 1019-1032, 2007. 

  14. NIOSH, "Ambulance Design Could Increase Safety for Emergency Responders", Emergency Management Alert, 2009. 

  15. H. E. Wang, M. D. Weaver, B. N. Abo, R. Kaliappan and R. J. Fairbanks, "Ambulance stretcher Adverse Events", Qual Saf Health Care, Vol. 18, NO. 3, pp. 213-216, 2009. 

  16. K. N. Jang, "A Study to Improve Ambulance Services in Quality", Dong-shin Univ's Master's Thesis of Fire Department,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