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긍정탐색 모형을 활용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 설계
An Instruction Model Design for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Utilizing Appreciative Inqui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334 - 342  

김효정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박수홍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허성철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의 긍정탐색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배움의 공동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의 원리와 수업모형,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긍정탐색 모형에 적용하여 긍정 탐색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사용자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긍정탐색 모형의 초안을 검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개선안을 반영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학습활동은 홉 단계에서 오리엔테이션과 긍정 주제 선정하기, 스텝 단계에서 성공 스토리 탐색하기, 스토리 핵심가치 도출하기, 그리고 점프 단계에서 도출한 핵심가치의 확산 전략 세우기, 실행계획 세우기, 실행하기, 마지막으로 성찰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목표, 학습자 활동, 교사활동 그리고 지원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수업모형의 병합적 개발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등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모형을 정교화하고 적용 대상을 확장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an appreciative inquiry into models of instruction for the community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inciple of learning, instruction models for community learning, and appreciative inquiry. Next, draft appreciative inquiry models were built based on th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 긍정탐색 촉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로써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 긍정탐색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학교현장에 긍정탐색을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크게 학교 변화와 수업컨설팅을 위한 방법론으로 긍정탐색을 활용한 연구[13, 16, 17]와 학생들에게 긍정탐색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14, 15]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긍정탐색을 적용하기 위한 개발 연구이면서도 동시에 학교공동체 형성이라는 학교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긍정탐색을 활용하고 있어 위의 두 가지 방향 모두에 해당되며, 특히 학교 공동체 형성을 위한 방법론으로 긍정탐색을 탐구하였던 박수홍 외[15]의 연구의 후속 연구로 재구조화된 긍정탐색 모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수업모형의 초안을 설계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긍정탐색을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하고 구체적인 수업모형으로 개발하기 위한 초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조직의 핵심은 어떤 활동인가? 학교공동체 구축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수업’이다. 학교조직의 핵심은 교육활동에 있으므로 학교 공동체 역시 교육을 구심점으로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수업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연구[1, 2, 3, 4]에서는 학교를 공동체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체적 수업 실천과 수업협의회, 그리고 학부모의 학습참가를 들고 있으며, 현재 국내 100여 개가 넘는 초중등 학교에서 배움의 학교공동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다.
배움의 학교공동체에서 학교는 어떤 곳인가? 배움의 학교공동체에서 학교는 학생들이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듯 교육의 전문가로서 교사들도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는 곳이다. 나아가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및 교육행정의 담당자들도 학교의 교육활동에 참가하여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는, 교육을 구심점으로 하는 공동체를 말한다[5].
배움의 학교공동체는 무엇인가? 배움의 학교공동체에서 학교는 학생들이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듯 교육의 전문가로서 교사들도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는 곳이다. 나아가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및 교육행정의 담당자들도 학교의 교육활동에 참가하여 서로 배우면서 성장하는, 교육을 구심점으로 하는 공동체를 말한다[5]. 이는 본래 일본에서 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한 학교개혁 운동으로 시작되어 국내에 전해지게 되었는데, 초기에 일본의 사토마나부 교수의 배움의 공동체의 내용을 소개하고 국내 사례와 비교하는 연구에서 시작하여[1], 수업과 수업협의회를 중심으로 국내 학교에 배움의 공동체에 적용한 실행 연구[2, 3, 4] 그리고 행복교육[5]과 철학적 탐구공동체[6]와 배움의 공동체의 의미를 비교하고 발전적 논의를 제안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on, W. J.(2004). Study of Instructional Reform Based on the Learning Community in Japa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3), 375-396. 

  2. Kim, D. H.(2007). The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purposes and curriculum of school communities based on baeum and dolbom.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 21(2), 101-122. DOI: http://dx.doi.org/10.17283/jkedi.2007.21.2.101 

  3. Jeon H. G. & Han, D. D. (2007). A Study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for Learning Based on Teacher Meetings for Classroom I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4(3), 197-219. 

  4. Jeon H. G. & Han, D. D.(2009). A study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centered on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1), 119-144. 

  5. Mon, J. E. (2011). A Study on Learning Community of SatoManabu and Happines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Japan Education, 16(1), 33-48. 

  6. Oh, C. J. & Kim, H. Y(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of inquiry through comparing with the learning communit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5(3), p.127-152. 

  7. Kim, H. S.(2012). A comparative case study o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practice in the 'learning community' school. unpublished manuscript.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8. Kim, H. J.(2015) A study of 'learning community' philosophy applied music class teaching method, unpublished manuscript. doctori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9. Cooperrider, D. L. & Whitney, D. (1987). "Appreciative Inquiry in organizational life"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1(1), p.129-169. 

  10. Cooperrider, D. L. & Whitney, D. (2005). Appreciative Inquiry: A Positive revolution in change. Berrett-Loehler Publishers, Inc. 

  11. SatoManabu, Son, W. J. translate (2003) Children running away from learning. Book Korea. 

  12. Son, W. J(2012).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Hainaim publisher. 

  13. Chang, K. W(2011). A Development of program for Positive Teacher based on Appreciative inquiry. Korea contents society symposium collected papers, 9(1) p. 355-356 

  14. Chang, K. W(2014).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and guidebook for adolesc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1), p.119-148 

  15. Park S. H., Kim, H, J. & Park J. Y.(2014)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appreciative inquiry process based on systems theory: Finding a way for a sustainable school community. Journal of the Kot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5), p.3180-3187. 

  16. Kim, H, J. & Chang, K. W. (2015). A Case study on School change using appreciative inquir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1), p137-165. 

  17. Lee, J. M. & Chang K. W.(2015).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model reflecting teacher's Experienc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2(1), p.251-2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