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일부 성인의 구강위생관리습관에 따른 치아우식 및 치주병 이환 경험에 관한 연구
Morbidity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based on oral healthcare of adults in Busan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1, 2016년, pp.27 - 35  

차지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유수빈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 ,  김혜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based on oral healthcare of adults in Busa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preventive oral healthcare for the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69 people from the regul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구강위생관리에 대한 인식도 및 관리행태에 국한된 연구가 다수인 반면 본 연구는 구강건강문진과 구강검진을 함께 수행하여 성인의 치아우식발생과 치주질환 경험에 대해 조사하고 구강건강 관리습관, 구강건강상태 등과 치주질환 및 치아우식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강위생관리습관 및 행태와 구강검진결과가 함께 수행되어 향후 구강건강관리정책수립과 구강보건사업의 기초 틀을 마련하는데 적용 가치 있는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 중 가장 간편한 방법인 칫솔질관리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으며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위생관리습관에 관한 문항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구강검사를 통하여 치아우식경험도와 치은염 및 치석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된 구강위생관리습관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구강관리방법이나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로만 이루어진 논문이 다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면세균막 제거를 위한 가장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보고를 바탕으로 치면세균막을 관리하기 위한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고압분사구강세정기, 음파진동칫솔 등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는 병원에 내원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고[16], 고압분사구강세정기와 전동칫솔, 수동칫솔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의 경우 구강환경관리기기와 수동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17], 여러 선행연구를 비교해보았을 때,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한 칫솔질과 치간칫솔, 치실사용은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이자 경제적인 구강건강관리 방법이다[18].
오늘날 구강의 의미는 무엇인가? 구강건강이란 상병에 이환되지 않고 사회생활과 정신작용에 장애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아와 구강악안면 조직기관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다[2]. 하지만 오늘날 ‘생물학적 측면’으로 구강은 전신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음식물을 씹고 삼킴으로서 삶의 질에 기여 한다고 하였고, ‘사회적, 정신적 측면’으로 의사소통, 자기평가, 자기표현, 얼굴에서의 미(美)를 통하여 기여한다고 하였다[2]. 구강건강에 문제가 발생된다면 전신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고, 구강질환은 대개 서서히 진행되지만 한번 발병하면 자연치유가 어렵고 치료를 받는다 해도 자연 상태로 회복이 어려운 비가역적 질환이다[3].
식품성분 중 치아우식발생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설탕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치아우식증은 당분을 포함하는 식품의 섭취량, 식품의 물리적 성질과 섭취빈도 등 식사행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식품성분 중 탄수화물이 치아우식발생에 주된 역할을 하며, 탄수화물 중에서는 구강 내 세균에 의하여 발효되기 쉬운 단당류와 이당류가 주된 역할을 하고 이 중에서도 설탕이 가장 유해하다[13]. 발효된 탄수화물은 박테리아를 자극하여 산을 생성하고 pH를 낮추어 치아부식 위험도를 증가시키며, 설탕 섭취량보다 섭취빈도가 치아우식발생에 더 큰 영향을 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eterson PE. Global policy for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implications to oral health research of world health assembly 2007.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9; 37(1): 1-8. 

  2. Kim JB. The importance and an activation plan for the dental health education. Korean J Health Edu Promot 1987; 4(1): 35-40. 

  3. Choi MH, Oh HW, Lee HS.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workers. J Korean Acad Dental Health 2009; 33(4): 552-63. 

  4. Park IS, Kim JS, Choi MH.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behavior and practice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region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2): 1-12.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Internet][cited 2015 Dec 04]. Available from. www.hira.or.kr/cms/open/04/02/03/01/__icsFiles/afieldfile/2012/12/10/2011.pdf. 

  6. Lee YA. Relationships between food intake and dental caries, dental caries activity for adult in Daegu & Gyeongbuk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 of Keimyung, 2006. 

  7. Min JH, Yoon HC, Kim JK, Kang SM, Kim BI. Assessment of acidogenic potential for dental biofilms by periodontal health condition. J Dent Hyg Sci 2015; 15(2): 202-8. http://dx.doi.org/10.17135/jdhs.2015.15.2.202. 

  8. Park JH, Lim SB. The endotoxin assay of contaminated titanium implants following various techniques of detoxification. J Periodontal Implant Sci 2004; 34(1): 71-81. http://dx.doi.org/10.5051/jkape.2004.34.1.71. 

  9. Petersen PE, Ogawa H.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 Periodontol 2005; 76(12): 2187-93. http://dx.doi.org/10.1902/jop.2005.76.12.2187. 

  10. Jang JH, Kim JH, Lee KH.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12-year-old adolesc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4): 479-84.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4.479. 

  11. Moon BA, Jeong SR, Jang JY, Kim K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for the middle-aged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2015; 15(2): 197-204.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2.197. 

  12. Kang HS, Jeong JH.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caries and dietary habits and snack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2): 1-17. 

  13. Irmler S, Schafer H, Beisert B, Rauhut D, Berthoud H.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train-dependent cystathionine beta/gamma-lyase in Lactobacillus casei potentially involved in cysteine biosynthesis. FEMS Microbiol Lett 2009; 295(1): 67-76. http://dx.doi.org/10.1111/j.1574-6968.2009.01580.x. 

  14. Lee SH, Park IS. A study on the use of oral health care devices and the oral hygiene in some college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1; 12(6): 2629-35. http://dx.doi.org/10.5762/KAIS.2011.12.6.2629. 

  15. Shin WC, Kang SG, Kim DK. The effectiveness of maintenance care by non - surgical treatment on the periodontal dise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1;25(2): 109-21. 

  16. Kang NK, Choi YH, An SY, Jeong SH, Jeon ES, Song KB. Improved periodontal health aspects according to the tooth position through the non-surgical professional oral hygiene care in the diabetic youth.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 36(3): 211-8. 

  17. Park KD, Park WC, Bae KH, Jin BH, Baek DI. Original Articles: Comparing the efficacy of a high pressure spray oral hygiene appliance and a sonic vibration toothbrush in reducing dental plaqu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4; 38(2): 71-6. http://dx.doi.org/10.11149/jkaoh.2014.38.2.71. 

  18. Jo BD. The change of plaque control ability by regular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Doctoral dissertation]. Gwangju: Univ. of Chosun, 2014. 

  19. Kim KW. The percentage of adolescents who brush their teeth after lunch and its related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3): 441-8. 

  20. Na MH, Lee YH, Lee HY. Condition of toothbrush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case of local children's centers. J Korean Acad Dent Hyg 2014; 16(2): 81-7. 

  21. You EK, Sohn MY, Choi SC, Kim KC, Park YD, Park JH. Plaque control effect of tooth brushing instruc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12; 39(1): 17-25. 

  22. Park IS, Lee SH. A study on the amount of toothpaste used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4): 577-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