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실 종류에 따른 치면세마 시행에 대한 불소도포 효과
Effect of fluoride application after dental prophylaxis by the type of dental flos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1, 2016년, pp.77 - 83  

김경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하명옥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  홍남희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  조민정 (광주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uoride application after dental prophylaxis by the type of dental floss. Methods: Artificial caries lesion was made on the surface of cow's permanent teeth having sound enamel surface and vickers hardness number(VHN) was meas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사람의 치아보다 법랑질이 균일한 소의 영구절치를 이용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화물인 APF gel을 도포하기 직전 치실 종류별 치면세마 시행에 대한 불소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기존의 연구[17]에 의하면 인위적으로 초기 법랑질 탈회병소를 형성하여 구강내 타액에 의한 자연적인 재광화 능력과 불소도포에 의한 재광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 내산성도, 표면변화양상을 관찰한결과 표면경도가 증가한 것은 재광화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xed floss와 unwaxed floss로 치면을 청결히 한 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불화물 제재인 APF gel을 도포하고 시편의 표면미세경도(vickers hardness number, 이하 VHN) 변화와 wax의 잔존여부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이하 SEM)으로 평가하여 치실종류에 따른 불소도포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임상에서 불화물 도포 전 치실사용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불소는 많은 임상연구를 통해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와 인체의 안전성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불소는 치질에 침착되어 치아표면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치질의 내산성을 높이거나 탈회된 치질에 재광화를 촉진함으로써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불소도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면세균막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Oliver 등[6]도 사전에 치아를 청결하게 하지 않고 산성불화인산염(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이하 APF)을 도포한 결과 우식발생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치면세균막이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발생에 주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치면세균막의 존재가 불소와 치아표면과의 화학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고 보아 불소도포 전 일상적으로 치면세균막 제거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Steele 등[7]도 치면 부착물을 사전에 제거하여 법랑질에 불소가 적절히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즉 불소도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면세균막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불소가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원리는? 불소는 많은 임상연구를 통해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와 인체의 안전성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불소는 치질에 침착되어 치아표면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치질의 내산성을 높이거나 탈회된 치질에 재광화를 촉진함으로써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래서 불소를 이용하여 치아우식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불화물의 작용기전을 규명함과 아울러 불화물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연구되어 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ellberg JR, Ripa LW, Leske GS. Fluoride in preventive dentistry: theory and clinical applications. Chicago: Quintessence; 1983: 151-79. 

  2. Lee SD, Hong 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reaction of different topical fluoride agents on enamel. J Korean Dent Health Acad 1991; 15(2): 219-36. 

  3. Wefel JS, Harless JD. The effect of topical agents on fluoride uptake and surface morphology. J Dent Res 1981; 60(11): 1842-8. 

  4. Marinelli CB, Donly KJ, Wefel JS, Jakobsen JR, Denehy GE. An in vitro comparison of three fluoride regimens on enamel remineralization. Caries Res 1997; 31(6): 418-22. 

  5. Taura Katsuhiko. Application of fluoride for cavity prevention. Seoul: DaehanNarae; 2003: 32. 

  6. Olivier M, Brodeur JM, Paul L. Simard. Efficacy of APF treatment without prior tooth cleaning targeted to high-risk children. Community Dentistry Oral Epi 1992; 20(1): 38-42. 

  7. Steele RC, Waltner AW, Bawden JW. The effect of tooth cleaning procedures on fluoride uptake in enamel. Pediatric Dentistry 1982; 4: 228-33. 

  8. Kim BI, Kwon HK, Kim SH, Kim YS, Kim HS, Noh HJ, et al. Text boof of oral care products. Seoul: Charmyun; 2010: 65. 

  9. Richard C. Wunderlich, David M. Lamberts, Raul G. Caffesse. The effect of waxed and unwaxed dental floss on gingival health. Part II. Crevicular fluid flow and gingival bleeding. J Periodontol 1982; 53(6): 397-400. 

  10. Dorothy A. Perry, Gordon Pattison. An investigation of residue on tooth surface after the use of waxed dental floss. Dent Hyg(Chic) 1986; 60(1): 16-9. 

  11.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 Res Methods 2009; 41(4): 1149-60. 

  12. Cho MJ, Ha MO, Oh HN. The preventive effect of fluoride materials on the dental caries by dental polishing prior to fluoride applic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1): 113-22. 

  13. Brudevold F, Naujoks R. Caries preventive fluoride treatment of the individual. Caries Res 1978; 12: 52-64. 

  14. Kwon HK, Kim DK, Kim BI, Kim YN, Ma DS, et al.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6th ed. Seoul: DaehanNarae; 2006; 194-5. 

  15. Houpt M, Koenigsberg S, Shey Z. The effect of prior tooth cleaning on the efficacy of topical fluoride treatment: two-year results. Clin Prev Dent 1983; 5(4): 8-10. 

  16. Turtola LO. Enamel microhardness and fluoride uptake underneath fermenting and non-fermenting artificial plaque. Eur J Oral Sci 1977; 85(6): 373-9. 

  17. White DJ, Chen WC, Nancollas GH. Kinetic and physical aspects of enamel remineralization: a constant composition study. Caries Res 1998; 22: 11-9. 

  18. Zero DT, Rahbek I, Proskin JFHM, Featherstone JDB. Comparison of the iodide permeability test, the surface microhardness test and mineral dissolution of bovine enamel following acid challenge. Caries Res 1990; 24: 181-8. 

  19. Yang KH, Park EH, Jeong BC. SEM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on the corrosion of dental restorative resi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2; 29(3): 430-8. 

  20. Soares LE, De Carvalho Filho AC. Protective effect of fluoride varnish and fluoride gel on enamel erosion: roughness, SEM-EDS, and $\mu$ -EDXRF studies. Microsc Res Tech 2015; 78(3): 240-8. 

  21. Bergenholts A, Britton J. Plaque prevention by various dental flosses or triangular toothpicks during two week periods. J Clin Periodontol 1980; 7: 516. 

  22. David M. Lamberts, Richard C. Wunderlich, Raul G. Caffesse. The effect of waxed and unwaxed dental floss on gingival health. J Periodontol 1982; 53(6): 393-6. 

  23. Hill HC, Levi PA, Glickman I. The effect of waxed and unwaxed dental floss on interdental plaque accumulation and interdental gingival health. J Periodontol 1973; 44(7): 4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