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간 칫솔 교육이 초등학생의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on the Dental Plaque Index and the Degree of Halito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1, 2014년, pp.8 - 16  

이하나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김주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inter dental brush education on the dental plaque index, and the degree of halito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study was intended for a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기간 동안 실험군은 하루 세 번씩 치간 칫솔질 실시 여부를 체크리스트에 표시하게 하였다. 가정에서 아침, 저녁 실시하는 치간 칫솔질은 실험군의 부모님이 직접 확인하고, 치간 칫솔 사용법에 맞게 실시하는지 점검하여 표시하게 하였다. 학교에서 점심시간 실시하는 치간 칫솔질은 보조연구자가 직접 확인하고 표시하게 하였다.
  • 강원도 D시에 소재한 일개 초등학교에서 6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치간 칫솔 교육이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정도에 미치는 효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는 예비 연구자들을 치간 칫솔질을 한 그룹과 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고 그 그룹들 안에서도 음식 섭취 전, 음식 섭취 후에서의 잇솔질 직후, 잇솔질 후 3분 후, 잇솔질 후 10분 후, 잇솔질 후 30분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 또한 잇솔질 체크리스트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나누어 주어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이 잇솔질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치간 칫솔질 체크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부모님과 보조연구자가 잇솔질을 확인하고 표시하게 하였다. 이는 연구기간 동안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게 잇솔질의 횟수를 확인하여, 잇솔질과 관련된 외생변수가 작용하였는지를 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실제 치아에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치면 세균과 치태 제거의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이는 발거된 치아나 인공 치면에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치면 세균과 치태 제거 효과를 알아본 연구결과들과도 비교할 수 있다. 발거된 치아에 치간 칫솔 사용으로 치면 세균과 치태 제거의 효과를 알아 본 Shim(2005)의 연구에서, 치간 칫솔 사용이 발거된 치아의 치태를 제거하여 치면 세균막 지수를 감소시켰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간 칫솔 교육이 구강 내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치간 칫솔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구강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4) 사후 조사

    사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총 3주간 진행되었던 실험처치가 끝난 후 1주일 뒤 실시하였는데, 이는 3주간에 교육 후 치간 칫솔질의 유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간 칫솔 교육을 실시하여,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Son (2002)은 구강 건강 및 구강 보건 생활을 습관화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체계적인 구강 교육 실시 및 구강 보건 실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치간 사이와 치아 인접면을 닦으므로 치아와 치간 사이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Kim et al., 2000; Seoul Asan Medical Center Health Plus, 2012) 구강위생용품인 치간 칫솔을 가지고 치간 칫솔 교육을 일정기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정해 보고 치간 칫솔 사용을 습관화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 측정시기를 정하기 위해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단지 음식 섭취 후와 음식 섭취 전, 잇솔질을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의 여부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측정시기는 점심식사 후 잇솔질 직후 바로 실시하기로 하였다.

가설 설정

  • 1) 상악치아 중 양측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탈락이 없는 자
  • 1) 제1가설: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할 것이다.

  • 2) 상악치아 중 양측 중철치, 측절치, 견치의 충치가 없는 자.
  • 2) 제2가설: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취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 제2가설.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취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 제1가설. 치간 칫솔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치면 세균막 지수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간 칫솔의 특징은? 구강보조위생용품인 치간 칫솔은 크기가 작고, 시험관을 닦는 솔과 같이 만들어 졌기 때문에 치간 사이에 적용시켜 협면에서 설면까지 안팎의 왕복운동으로 치간 사이와 치아 인접면을 닦을 수 있다(Kim et al., 2000).
치아 우식증이란? 치아 우식증은 구강 내 치아 면에 있는 당 성분이 세균에 의해 산으로 변하여 부식되는 것으로(Jung, 2009), 발생양상이나 특징이 비가역적이고 범발성이며 누진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uh &Park, 2003). 특히 학령기는 군것질의 욕구를 억제하기 힘들고 단 음식을 좋아하며 이로 인해 치아우식증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구강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이다(Choi, Lee, & You, 1992;Song & Moon, 2002).
치면 세균막 지수가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를 생리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이유는? 치면 세균막 지수란 치아 표면에 붙은 치면 세균막을 통하여 구강 내 치면 세균 정도를 측정하는 값이고(Quigley & Hein, 1962), 구취 정도는 구강 내 세균에 의하여 나타나는 불쾌한 냄새를 구취 측정 도구로 측정한 값으로,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는 구강 위생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치간 칫솔 교육을 통해 구강과 치면에 있는 세균을 제거하였을 때 나타나는 결과로 구강 위생 정도를 확인·평가하기 위해 치면 세균막 지수와 구취 정도를 생리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Y. H. (2011). Plaque removal effect on Maxillary Incisor by use of the dentifrice and proxial gel with interdental brus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 Ahn, Y. M., Yun, J. M., Kim, H. H., Seo, M. Y., & Yeom, M. K. (2009). Effects of dental health education on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ygiene status in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1226-1815. 

  3. Beck, D. I. (2009). Construction of the oral health service system for whole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ae, S. H., Choi, J. H., Kim, M. Y., Lim, H. S., & Kim, D. K. (2005). Effectiveness of reduced malodor on professional plaque control. Journal of Oral Biology Research, 29(2), 29-36. 

  5. Choi, E. M. (1997). The study on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6. Choi, Y. S., Lee, J. S., & You, E. J. (1992). Comparative Study Aspects of Oral Health between Rural and Urba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5(1), 29-37. 

  7. Hong, S. C., Kang, S. T., Shin, J. H., Lim, Y. K., & Lee, D. Y. (2010).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essential oil mouthrinse and interdental brush in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48(5), 371-378. 

  8. Jang, G. W., & Kim, J. B. (1987). A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group instructional methods in toothbrush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11(1), 85-97. 

  9. Jho, Y. Y. (2009). The influence that has the aged's oral health activities on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0. Jung, H. J., Kim, H. J., & Goo, I. Y. (2007). The effect of toothbrush education on Oral Hygiene Index and degree of halito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1(1s), 118-119. 

  11. Jung, M. E. (2008).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Malodor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2. Jung, M. G., Shin, S. C., & Jho, J. W. (2007). The study on the plaque removal effect by using the several kinds of inter dental brushes for fixed type orthodontic applia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1(4), 202-210. 

  13. Kim, D. G., Park, D. Y., Choi, Y. H., Bae, G. H., Doe, S. R., Son, C. G., et al. (2010). Analysis of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4. Kim, H. G. (2001). A Study of related factors on self oral hygiene behavior of the adult population in the workpl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Kim, J. B., Beck, D. I., Moon, H. S., Choi, Y. J., Shin, S. C., Kwon, H. G., et al. (2000). Preventive dentistry (3th ed.). Seoul: Komoonsa. 

  16. Kim, J. S. (2008). Application of proportional odds models to the effects of removing dental plaque in use of proxabrus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8(3), 169-173. 

  17. Kwon, H. S. (2007). Oral Health Education (2th ed.). Seoul: chungoo. 

  18. Noe, H. S., Song, G. B., Park, D. Y., Choi Y. H., Bae, G. H., Doe, S. R., et al. (2012). Analysis of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Park, M. S., & Choi S. M. (2011). The effects of oral care education on caregivers knowledge, attitude, & behavior toward oral hygiene for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684-693. 

  20. Quigley, G. A., & Hein, J. W. (1962). comparative cleansing efficiency of manual and power brushing.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65, 26-29. 

  21. Seoul Asan Medical Center Health Plus. (2012, July 26). Needless to gargel Retrieved March 3, 2013, from http://www.youtube.com/watch?vfXExm7Oggf4 

  22. Shim, H. S., & Kim, D. K. (2005). Effectiveness on the dental plaque removal by interdental brush head typ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9(3), 360-367. 

  23. Shin, G. H. (201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Short-term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Oral Health Promo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4. Son, M. H. (2002).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ygien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nung University, Daegu. 

  25. Song, B. S., & Moon, J. S. (2002). Dental Carie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a County Area of Kangwondo.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6(1), 123-134. 

  26. Suh, H. S., & Park, G. S. (2003). The study of the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of industrial workers at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Academy Oral Health, 27(4), 641-653. 

  27. Won, S. J., & Cahe, Y. R. (2011). The Effects of Aromatherapy Massage on Pain, Sleep, and Stride Length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gn science, 13(2), 142-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