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릭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時空間的) 해석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Interpretation of Derek Jarman's Garde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1, 2016년, pp.66 - 79  

윈쟈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 공간의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정원 공간의 내밀성을 분석하였다. 정원 공간에 속하는 시간을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으로 구분하였는데, 객관적인 시간은 생태적인 시간, 즉 지속성을 갖는 양화된 시간을 말하는 것이고, 주관적인 시간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따라 변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인간 주체의 감각에 의해 감정화된 시간도 포함한다. 우선 객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에 대해 해석하였다. 객관적인 시간 안에서 정원의 현재 공간 속에 저먼 개인의 감정에 따라 정원은 하나의 감성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간의 다층적인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시간 속에 존재하는 정원 공간은 결국 객관적이지 않고 인간 주체의 능동적인 감수에 따라 변모한다. 다음으로 주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을 고찰하였다. 저먼의 추억 속에 잠긴 정원 공간과 미래의 허상 속에서 연출되는 정원 공간은 저먼의 상상이나 자각에 따라 풍부한 의미를 내포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시간 속에서 정원 공간은 저먼의 의식에 따라 변모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시간이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의 존재를 넘어서 인간주체의 의식이나 감정에 따라 무한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원 공간은 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내밀성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에 본고는 기존의 정원 연구방법과 다른 시도를 통해 정원 공간의 독특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s at spatiotemporal theories regarding the pluralism of time inherent in garden space, and attempts to establish spatiotemporal theories suitable for garden spaces. Based on the established theories, this study analyzes the intimacy of garden spaces by focusing on the objective and s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은 어떤 공간인가? 정원은 예로부터 손으로 직접 가꾸는 은밀한 즐거움이 가득한 공간이었다. 그러나 공공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넘어오면서 어느새 정원 일들은 그런 즐거움을 잊게 되었다.
정원이라는 곳이 사람들에게 특별한 존재와 가치를 지닌다는 주장의 근거는 무엇인가? 그러나 공공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넘어오면서 어느새 정원 일들은 그런 즐거움을 잊게 되었다. 사적인 정원에 대한 관심이 공적인 공간을 다루는 공원으로 옮겨가면서 공공의 선을 추구하는 제도와 공공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Lee, 2014:193), 현재 도시민들이 그린인프라를 형성하기 위해 개최하는 꽃 축제, 정원박람회, 공중텃밭 분양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들이 그러하다. 이와 더불어 시민들의 꽃과 정원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고, 그로 인해 정원문화는 우리가 사는 이 시대의 한 키워드가 되었으며, 정원을 바라보는 시선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이런 문화적 흐름을 통해 정원이라는 곳이 사람들에게 어떤 특별한 존재와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어렴풋이 엿볼 수 있다.
공공의 선을 추구하는 제도와 공공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공공성이 강조되는 시대로 넘어오면서 어느새 정원 일들은 그런 즐거움을 잊게 되었다. 사적인 정원에 대한 관심이 공적인 공간을 다루는 공원으로 옮겨가면서 공공의 선을 추구하는 제도와 공공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Lee, 2014:193), 현재 도시민들이 그린인프라를 형성하기 위해 개최하는 꽃 축제, 정원박람회, 공중텃밭 분양 등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들이 그러하다. 이와 더불어 시민들의 꽃과 정원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고, 그로 인해 정원문화는 우리가 사는 이 시대의 한 키워드가 되었으며, 정원을 바라보는 시선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Bae, Sang Joon(2005) Farbasthetik bei Derek Jarman: In bezug auf (1993). Korea Institute of Digital Video 2(1): 47-71. 

  2. Bhatti, M., A. Church, A. Claremont and P. Stenner(2009) 'I love being in the garden': enchanting encounters in everyday life. Social & Cultural Geography 10(1): 61-76. 

  3. Bhatti, M., A. Church and A. Claremont(2014) Peaceful, pleasant and private: The British domestic garden as an ordinary landscape. Landscape Research 39(1): 40-52. 

  4. Bruno, G.(2002) Atlas of Emotion: Journeys in Art, Architecture, and Film. Verso. 

  5. Carrier, M.(1992) Kant's relational theory of absolute space. Kant Studien 83(4): 399-416. 

  6. Choi, Z.(2009) Zur Untersuchung der Phaanomenologie Merleau-Pontys undHusserls imHinblick auf den Begriff des Leibes - Eine phaanomenologische Untersuchung des Leibes.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40: 1-33. 

  7. Clement, G.(2012) Une breve histoire du jardin. Paris, ed. JC Behar. 

  8. Davidson, J. and C. Milligan(2004) Embodying emotion sensing space: Introducing emotional geographies. Social & Cultural Geography 5(4): 523-532. 

  9. Elden, S.(2009) "Space I", in Kitchin, R. and Thrift, N.(eds)., 2009,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 Vol. 10, Elsevier, 262-267. 

  10. Feld, S. and K. H. Basso(1996) Senses of place.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Distributed by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1. Foucault, M. and J. Miskowiec(1986) Of other spaces. Diacritics, 22-27. 

  12. Game, A.(1995) Time, space, memory with reference to Bachelard, in Featherstone, M., Lash, S. and Robertson, R.(eds) Global Modernities. London: Sage, pp. 192-208. 

  13. Gibson, J. J.(1966) The Senses Considered as Perceptual Systems. Oxford, England: Houghton Mifflin. 

  14. Gibson, J. J., E. S. Reed and R. Jones(1982) Reasons for Realism: Selected Essays of James J. Gibs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 Gibson, J. J.(2013)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Press. 

  16. Harrison, Robert Pogue(2012) Gardens: 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 Seoul: Namudosi Publishing. 

  17. Heidegger, M.(1989) Sein und Zeit. Seoul: Time & Space Press. 

  18. Hitchings, R.(2003) People, plants and performance: on actor network theory and the material pleasures of the private garden. Social & Cultural Geography 4(1): 99-114. 

  19. Hwang, S.(2005) Comparative study on Kant and Bergson's epistemology. Journal of Philosophy Thought 21: 183-224. 

  20. Ingold, Tim(2000)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Essays on Livelihood, Dwelling and Skill. Psychology Press. 

  21. Jarman, Derek(1992) Modern Nature: The Journals of Derek Jarman. Random House. 

  22. Jarman, Derek(1995) Derek Jarman's Garden. Thames and Hudson. 

  23. Jung, C. G.(1995) Uber Synchronizitat. Buchclub Ex Libris. 

  24. Kang, D.(2010)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 1-31. 

  25. Kang, H.(2011) Existence and Time: The Topology and Thinking Flow of Heidegger, Martin's "Existence". Hangilsa. 

  26. Kim, J.(2004)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Philosophy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141. 

  27. Kim, K.(2004) Material & Movement: Can Matter Motion Explain the Natural Phenomenon. 10 Issues of Western Modern Philosophy. Changbi. pp. 13-84. 

  28. Kim, Y.(2014) Natural Philosophers' Space Theorys and Spatial Feature in Modern Times. Korean Society for Space Environment 2014 Autumn Academic Event. 55-69. 

  29. Kwak, Y.(1998) Relativistic space-time as seen by Kant.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2: 85-102. 

  30. Lee, B.(1999) Shadow: Our Inner Dark Partners. Seoul: Hangilsa. 

  31. Lee, H.(2013) On the doble aspects of relative space in Leibniz. Studies in Urban Humanities 5(1): 39-63. 

  32. Lee, J.(2014) Finding the Way from the English Garden. Seoul: Hansup. 

  33. Lee, S.(2009) Space in ancient western philosophy.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58: 279-304. 

  34. Liotta, Elena(2009) On Soul and Earth: The Psychic Value of Place. London: Routledge. 

  35. Lloyd, C.(1996) The Jarman Garden Experience. Derek Jarman: A Portrait, 147-152. 

  36. Longhurst, R.(2006) Plots, plants and paradoxes: Contemporary domestic gardens in Aotearoa/New Zealand. Social & Cultural Geography 7(4): 581-593. 

  37. Malgorzata Szafralska(2006) Place, time and movement: A new look at Renaissance garden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An International Quarterly 26(3): 194-236. 

  38. Mun, C.(2005) Existence and time: Being and time: Bergson, Heidegger and Whitehead. Journal of Alfred North Whitehead 10: 85-110. 

  39. Nast, H. and S. Pile(Eds.)(2005) Places through the body. Routledge. 

  40. O'Neill, M. E.(2001). Corporeal experience: A haptic way of knowing.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 55(1): 3-12. 

  41. O'Quinn, Daniel(1999) Gardening, history, and the escape from time: Derek Jarman's. Modern Nature (October): 113-126. 

  42. O'Pray, M.(2003) Derek Jarman: Dreams of England. British Film Inst. 

  43. Rodaway, Paul(2002) Sensuous Geographies: Body, Sense and Place. Routledge. 

  44. Ryu, J.(2010) L'entrecroisement de l'espace et le temps: Lefebvre et Bergson. Journal of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46: 35-59. 

  45. Seo, D.(2008) Phenomenology of space.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54(4): 335-358. 

  46. Sim, K.(2014) Space-temporality, subjectivity and body by Merleau- Ponty.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76: 477-497. 

  47. Steyaert, Chris(2010) Queering space: Heterotopic life in Derek Jarman's garden. Gender, Work & Organization 17(1): 45-68. 

  48. Sung, J.(2012) Ideals re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omas Jefferson's academical village and Monticell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 69-80. 

  49. Tagliolini, Alessandro, and Massimo Venturi Ferriolo, eds(1987) Il giardino: idea, natura, realta. Vol. 1. Guerini e associati. 

  50. Teather, E. K.(Ed.)(1999) Embodied Geographies: Spaces, Bodies and Rites of Passage (Vol. 2). Psychology Press. 

  51. Wollen, R.(1996) Derek Jarman: A Portrait (p. 15). London: Thames and Hudson. 

  52. Yang, K.(2009) A study on the nature of space-tim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2: 79-102. 

  53. Yu, H.(2015). What Makes a City to Live. Seoul: Eulyo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