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 부지 설계
Design of the Former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Historic Urban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1, 2016년, pp.107 - 118  

서영애 (기술사 사무소 이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최근까지 사용했던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고자 설계공모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설계공모에 출품된 설계안 중 하나로 대상지의 역사 맥락을 통해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을 도출하여 설계 전략과 내용을 서술했다. 지침서상 광역 분석과 세종대로의 가치와 문화 유산과의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로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요한 사건과 활동이 일어나는 중심공간이다. 대상지 배후지역인 정동은 근대 태동기 문물이 도입되는 첨단의 장소였으며 인접한 덕수궁, 성공회성당, 서울시 의회건물도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광역 분석을 통해 길과 광장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동과 대상지 주변의 변화와 현황을 분석하고 설계의 주요 개념을 공공성의 회복으로 설정했다. '리-퍼브릭'은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의 이념을 상징하는 중의적 개념이다. 대상지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림, 연결, 비움으로 설계 키워드로 주요 전략을 수립하여 대안 검토를 통해 8% 경사 광장을 계획했다. 대상지 현황을 반영하여 장애자, 노약자 등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램프 구조로 계획하며 인접 대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했다. 성공회 성당 레벨의 테라스 광장과 보도에서 이어진 주 광장은 계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신축 없이 완전히 비움으로써 열린 조망을 확보하고 다양한 현대 도시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계획했다. 설계안은 고종이 지향하던 근대적 민주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장소의 가치를 다시 공공에게 환원하는데 기여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중층의 시간이 쌓인 대상지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an open design competition for reconfiguring the annex building of the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space for citizens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The site,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국세청 별관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 출범, 일제 강점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중심가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구)국세청 별관은 세종대로를 사이에 두고 서울 시청사와 마주하고,덕수궁과 성공회 성당, 서울시 의회건물에 둘러싸여 있었다(Figure 1 참조). 광복 70주년을 맞이해서 서울시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현재까지 국세청 별관으로 사용하던 건물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의 설계 목표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시는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5년 7월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를 시행했다1). 설계 공모 지침서상 설계 목표는 (구)국세청 별관 대지를 광화문에서 시청을 연결하는 건축유산과 다양한 활동을 담고 있는 주변 지역과 연계하여, 과거, 현재, 미래를 담는 장소로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지 주변은 서울의 중심부로서 새로 조성될 공간은 서울의 문화 경관 가치를 계승하며 시민들을 위한 공공성이 반영된 공간이어야 한다(Seoul Metropolitan Goverment, 2015a).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는 언제 시행되었는가? 이를 위해 서울시는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5년 7월 ‘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설계공모’를 시행했다1). 설계 공모 지침서상 설계 목표는 (구)국세청 별관 대지를 광화문에서 시청을 연결하는 건축유산과 다양한 활동을 담고 있는 주변 지역과 연계하여, 과거, 현재, 미래를 담는 장소로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C.(2009) Duksugung. Doneok. 

  2. Bandarin, F. and R. Oers(2014)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Managing Heritage in Urban Century. Chichester: Willy Blackwell. 

  3. Chae, H.(2012) Proposals for Urban Conservation based on Historic Urban Landscape Concepts -A Case Study of Seo-chon in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W.(2013) A Study on the Use and Function of Public Square as Behavior Setting.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5. Hanseongdo(1861). 

  6. Jang, E.(2012) Proposing a Comprehens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World Heritage Sites: A Case Study of the Jongmyo Shrine and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in Seoul,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Kyeongseongdo(1910). 

  8. Kyeongseongsigado(1927). 

  9. Lee, T.(2005) Review of Gojong Period. Taehaksa. 

  10. Lim, H. (2010) Seoul Identity of Road.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1. Lim, S.(2011) Seoul Architectur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2. Naver map(2015). 

  13. Park, H.(2010) A study on the symbolic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Daehan Empire, Wongudan. Journal of Seoul Studies (40): 107-158. 

  14. Park, J.(2012) A Study on Delineating Buffer Zone of Jongmyo and Changdeokgung World Heritage Sit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Park, S. and J. Choi(2005) The study on the extension?transition process and use of event space in the city -Focusing on the street space of Jong-no.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2): 41-54. 

  16.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2009) Road of Seoul.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0) A Study of Identity on Seoul City.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5a) The Guideline of Design Competition. 

  1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5b) Broadcast Data. 

  20. Seoul Museum of History(2012) Jeongdong in 1900. 

  21. Seo, Y.(2015) Analyzing the design competition entries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Putting the past into the future. The Historic Environment 4(1): 3-18. 

  22. UNESCO(2005) Vienna Memorandum on "World Heritag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Managing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23. UNESCO(2011)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24. UNESCO(2013) New Life for Historic Cities. 

  25. Veldpaus, L., A. P. Roders and B. J. F. Colenbrander(2013) Urban heritage: Putting the past into the future. The Historic Environment 4(1): 3-18. 

  26. 朝鮮と建築(1936) 15(3). 

  27. www.cha.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