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산 회현자락 설계 공모 출품작에 대한 역사도시경관적 분석
Analyzing the Design Competition Entries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4, 2015년, pp.27 - 36  

서영애 (기술사 사무소 이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산 회현 자락 설계 공모에서 수상한 작품을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분석하여, 각 설계안의 역사도시경관 접근 특성을 분석하고,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회현 자락은 남산에서 한양도성과 공원의 변화가 가장 많은 장소로서 최근 발굴을 통해 조선시대의 성곽 유구와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확인된 바 있으며, 근 현대의 공원 시설이 공존하는 대상지다. 역사도시경관 개념과 접근 방법, 전문가 논의, 현상 공모 지침서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분석 항목으로 장소성문화다양성의 이해, 시간적 층위의 인식과 설계 구현, 보존과 공원 이용 방법, 향후 관리 방안으로 구분하여 출품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역사도시경관 관점에서 볼 때 각 출품작은 장소성과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시간적 층위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보존 대상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창의적인 개입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존과 이용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통합하는 면에서는 보다 실효성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보존과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 방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역사적 층위가 중첩된 서울의 가치 있는 대상지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조사와 맵핑을 통한 역사경관 기본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외된 지역 주민 참여, 민관 네트워크에 의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앞으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대상지의 설계에 방향을 제고해 줄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ries at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and made suggestions from them. Hoehyeon, located at the foot of Namsan, is the most changing site in the park and Seoul City Wall.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방법으로는 역사도시경관 개념을 유네스코 자료와 연구 동향을 통해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분석 항목에 따라 출품작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우수상, 우수상, 가작을 수상한 세 팀의 작품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산 회현 자락 설계공모1)에서 수상한 작품을 역사도시경관 관점을 통해 분석하여, 각 설계안의 역사도시경관 접근 방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역사도시경관 개념을 유네스코 자료와 연구 동향을 통해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분석 항목에 따라 출품작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의 중심이자 상징은? 서울의 중심이자 상징인 남산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남산의 변화는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에도 진행 중에 있다.
사적 제 10호는? 사적 제 10호로 지정된 한양도성은 2012년 세계유산 잠재목록에 등재되었고, 2016년 제출을 목적으로 등재 신청을 추진 중에 있다. 유구가 확인되면서 한양도성의 등재 요건인 진성성과 완전성에 대한 근거가 되면서, 발굴 성과와 보존 방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Song, 2013; Choi, 2014; Kim, 2014; Shin, 2014).
남산 르네상스 사업에는 무엇이 있는가? 남산 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회현 자락의 1,2단계 사업이 완료되고, 3단계 사업을 앞두고, 2013년부터 성곽 유구발굴 작업이 시작되었다. 어린이 광장과 백범 광장이 위치한 1,2단계 사업은 성곽을 원형으로 복원하고, 공원을 조성했다. 중앙광장 부분인 3단계 구간의 발굴과정에서 태조, 세종, 숙종, 순조 연간에 이르는 광범위한 시간대의 유구가 발굴되고,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확인되었다(Figure 1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dam, R.(2010) Lessons from history in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landscapes,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81-88. 

  2. Bandarin, F.(2013) The historic center and the next city: Envisioning urban heritage evolution message. 16th US/ICOMOS International Symposium. 

  3. Bandarin, F. and R. Oers(2014)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Managing Heritage in Urban Century. Chichester: Willy Blackwell. 

  4. Benqin, T.(2013) Preservation, utilization and exhibition-Based on Nanjing City wall. Historic city and city wall. Seoul City Wall Studies 1: 134-157. 

  5. Bourdaret, E.(2009) En Coree. Paju: Gulhangari. 

  6. Chae, H.(2012) Proposals for Urban Conservation Based on Historic Urban Landscape Concepts -A Case Study of Seo-chon in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Chae, H.(2015) Exploring historic urban landscape as a new approach to heritage conserv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2): 253-260. 

  8. Choi, H.(2014) Excavation of research results and significance in Hoehyeon section of Namsan. 5th Seoul City Wall Academic Conference. pp.79-100. 

  9. Colletta, T.(2013) Italian fortified cities in the world heritage list: Verona, Ferrara, Sabbioneta. Historic city and city wall. Seoul City Wall Studies 1: 90-133. 

  10. Council of Europe(1995) Committee of Ministers. On the intergrated conservation of cultural landscape areas as part of landscape policies. 

  11. Gabrielli, B.(2010) Urban planning challenged by historic urban landscape,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19-26. 

  12. Getty Conservation Institute(2009) Historic Urban Environment Conservation Challenges and Priorities for Action. 

  13. ICOMOS(1994) The Nara Document on Authenticity. 

  14. ICOMOS(1996) The Declaration of San Antonio. 

  15. Jokilehto, J.(2002) A History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6. Jokilehto, J.(2010) Reflection on historic urban landscapes as a tool for conservation,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53-64. 

  17. Kim, D.(2010) Pleasure of Wandering the City Wall. Paju: Hyohung. 

  18. Kim, W.(2014) A case study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The Heritage Value of Seoul City Wall in Namsan Hoehyeon Region. 5th Seoul City Wall Academic Conference. pp.101-128. 

  19.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2012) A study for Associated Value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20. Lee, S.(2010)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Namsanpark.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1. Liu, T.(2014) Conservation, Exhibition and Utilization of Xi'an City Wall and the Tang Hanguang Entrance Remains of Aska, Nara. Scientific Conservation and Creative intervention of City Walls.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oul City Wall. pp.109-146. 

  22. Park, I.(2002) A Study of the History of Parks System Transformation of Seoul, Korea. Docto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23. Rodwell, D.(2010) Historic urban landscapes: Concept and management,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pp.99-105. 

  24. Rossler, M.(2014) The UNESCO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European Heritage Heads Forum. 

  25. Shin, H.(2014) Conservation of Seoul City Wall in Namsan Hoehyeon Archaeological Sites. Scientific Conservation and Creative intervention of City Walls. 3rd International Symposiumon Seoul City Wall. pp.199-229. 

  26. Seo, Y. and Y. Son(2013) The space use in the initial period of Namsan Park -Focus on the newspaper articles from 1883 to 1917-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28-37. 

  27. Seo, Y.(2015) Seoul Namsan as Historic Urban Landscape.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8. Seoul Museum of History(2012) Seoul has the City Wall: A Special Exhibition. Exhibition Catalog. 

  2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3a) The Guideline of Design Competition for Seoul City Wal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Hoehyeon Section of Namsan. 

  3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3b) The Submission Documents of Design Competition. 

  3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4) The Consultation Meeting Record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Hoehyeon Section of Namsan 

  32. Song, I.(2013) A Value and Authenticity of Seoul CityWall. A Value and Authenticity of Seoul City Wall. 3rd Symposium on Seoul City Wall. pp.7-12. 

  33. UNESCO(2003)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1992-2002, World Heritage Papers 6. 

  34. UNESCO(2005) Vienna Memorandum on World Heritag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Managing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35. UNESCO(2010)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36. UNESCO(2011)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37. UNESCO(2013a) New Life for Historic Cities 

  38. UNESCO(2013b) Report on International World Heritage Expert Meeting on the Mainstreaming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 Related to the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in the Operational Guidelines. 

  39. Veldpaus, L., A. P. Roders and B. J. F. Colenbrander(2013) Urban heritage: Putting the past into the future. The Historic Environment 4(1): 3-18. 

  40. Whitehand, J.(2010) Urban morphology and historic urban landscapes, managing historic cities. World Heritage Papers 27: 35-44. 

  41. Gyeongseonggeolyumindanyeogso(1912) Gyeongseongbaldalsa(京城發達史). 

  42. www.historicurbanlandscape.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