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ischarge Delay in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Who were Treated according to a Critical Pathwa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1, 2016년, pp.43 - 52  

김정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이은하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수란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성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mographic, clinical, physical, and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discharge delay in lumbar spinal surgery patients who were treated according to a critical pathway. Methods: A sample of 170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urgery agreed to participat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척추 수술 환자는 수술 이후에도 다양한 신체적 및 사회심리적 문제를 동반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를 파악하고,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질병 관련, 신체적, 및 사회심리적 요인을 확인하고자하며, 이는 표준진료지침의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 및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 및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표준진료지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약 59%의 환자에서 퇴원 지연이 발생하였으며,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예측 요인은 여성, 연령, 요추부 전방전위증, 유합술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 및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표준진료지침 운영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최근 표준진료지침이 널리 사용되어 인식이 확산되고,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이 입원 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진료지침의 퇴원 관련 변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표준진료 지침 퇴원 지연과 관련된 일반적, 질병 관련, 신체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표준진료지침은 입원일부터 퇴원일까지 1일 단위로 시행되는 관찰 및 측정, 활동 정도, 식사, 검사 및 처치, 약물치료, 교육 및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퇴원은 디스크 절제술과 후궁 절제술은 수술 후 3일 째, 유합술은 수술 후 5일 째에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디스크 절제술과 후궁 절제술의 경우 4일째에 유합술의 경우 6일째 퇴원하지 않고 재원하고 있는 경우를 퇴원 지연으로 정의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척추 유합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29]에서 성별에 따른 재원기간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한 국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자 환자의 우울 점수가 남자 환자의 우울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사회심리적 요인인 우울에 의한 영향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우울 점수는 계획된 퇴원을 실시한 대상자와 퇴원이 지연된 대상자 간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 및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척추 질환 환자들은 수술 전부터 다양한 통증을 경험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입원 시 통증 점수, 입원 기간 동안의 평균 통증 점수, 입원 기간 동안의 가장 높은 통증 점수, 퇴원 시의 통증 점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통증점수는 계획된 퇴원을 실시한 군보다 퇴원이 지연된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Type D 성격 유형은 우울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에 취약한 성향을 보이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기 표출을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성격으로, Type D 성격 유형을 지닌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만성적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된다고 알려져 있다[25]. 최근 Type D 성격유형이 약물 순응과 같은 치료지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되며[16], 척추질환 환자들이 경험하는 요통은 우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므로[15], 본 연구에서는 척추질환 환자에서의 Type D 성격유형과 퇴원 지연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척추질환 환자의 퇴원 지연은 Type D 성격유형과 관련이 없었으나 추후 Type D 성격유형이 퇴원 지연과 같은 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요추 수술 환자의 퇴원 지연 분포 및 퇴원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표준진료지침 운영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최근 표준진료지침이 널리 사용되어 인식이 확산되고,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이 입원 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진료지침의 퇴원 관련 변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표준진료 지침 퇴원 지연과 관련된 일반적, 질병 관련, 신체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질환 환자들은 어떤 운동 증상을 경험하는가? 척추질환이란 척추의 척추골이나 신경, 조직들의 이상이나 손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요추부는 가장 흔히 문제가 발생하는 부위이다[3].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관 협착증 등이 있으며, 척추질환 환자들은 요통, 하지 방사통, 저린감과 같은 감각 증상과 허약, 마비, 이로 인한 보행장애 등의 운동 증상을 경험하며 이러한 증상은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수행에 장애를 초래한다[1,3]. 척추 수술은 약물 치료 및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척추질환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시행되는 치료법이다[3].
척추질환이란? 척추질환이란 척추의 척추골이나 신경, 조직들의 이상이나 손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요추부는 가장 흔히 문제가 발생하는 부위이다[3].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척추전방전위증, 척추관 협착증 등이 있으며, 척추질환 환자들은 요통, 하지 방사통, 저린감과 같은 감각 증상과 허약, 마비, 이로 인한 보행장애 등의 운동 증상을 경험하며 이러한 증상은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수행에 장애를 초래한다[1,3].
성별이 퇴원 지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이러한 결과는 척추 유합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29]에서 성별에 따른 재원기간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한 국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자 환자의 우울 점수가 남자 환자의 우울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사회심리적 요인인 우울에 의한 영향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우울 점수는 계획된 퇴원을 실시한 대상자와 퇴원이 지연된 대상자 간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성별이 퇴원 지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un MH, Jung JY. A follow up study for elderly's disabilities in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fe after lumbar spinal surger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1):140-9.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One out of every four was diagnosed with spinal disorders in 2014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5 [cited 2015 November 26].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43117_27116.html. 

  3.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Neurosurgery. 3th ed. Seoul: Jung-Ang Munhwasa; 2005. 

  4. Lee MJ, Kim EK, Kim H, Lee SM. Effects of a video exercise program for spinal surgery patients on pain, daily living fun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39-48. 

  5. Chung KH, Ko YS, Lim JA.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uterine artery emboliz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4):316-25. 

  6. El Baz N, Middel B, van Dijk JP, Oosterhof A, Boonstra PW, Reijneveld SA. Are the outcomes of clinical pathways evidence-based? a critical appraisal of clinical pathway evaluation research.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07; 13(6):920-9. http://dx.doi.org/10.1111/j.1365-2753.2006.00774.x 

  7. Segal O, Bellemans J, Van Gerven E, Deneckere S, Panella M, Sermeus W, et al. Important variations in the content of care pathway documents for total knee arthroplasty may lead to quality and patient safety problem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13;19(1):11-5. http://dx.doi.org/10.1111/j.1365-2753.2011.01760.x 

  8. Yoo KW.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the patients following spinal disc surgery (lamincetomy, diskectomy,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nd pedicle screw fixation). [master's thesis]. Kyungsan: Kyungsan University; 2000. 

  9. Gruskay JA, Fu M, Bohl DD, Webb ML, Grauer JN. Factors affecting length of stay after elective posterior lumbar spine surgery: a multivariate analysis. The Spine Journal. 2015;15 (6):1188-95. http://dx.doi.org/10.1016/j.spinee.2013.10.022 

  10. Kanaan SF, Waitman LR, Yeh HW, Arnold PM, Burton DC, Sharma NK.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the lengthof-hospital stay after lumbar spine surgery. The Spine Journal. 2015;15(4):612-21. http://dx.doi.org/10.1016/j.spinee.2014.11.001 

  11. Armaghani SJ, Lee DS, Bible JE, Shau DN, Kay H, Zhang C, et al. Increased preoperative narcotic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in patients undergoing spine surgery. Journal of Spinal Disorders & Techniques. 2014. Forthcoming. http://dx.doi.org/10.1097/BSD.0000000000000109 

  12. Aljabi Y, El-Shawarby A, Cawley DT, Aherne T. Effect of epidural methylprednisolone on post-operative pain and length of hospital stay in patients undergoing lumbar microdiscectomy. The Surgeon. 2014. Forthcoming. http://dx.doi.org/10.1016/j.surge.2014.03.012 

  13. Kanaan SF, Yeh HW, Waitman RL, Burton DC, Arnold PM, Sharma NK. Predicting discharge placement and health care needs after lumbar spine laminectomy. Journal of Allied Health. 2014;43(2):88-97. 

  14. Kripalani S, Jackson AT, Schnipper JL, Coleman EA. Promoting effective transitions of care at hospital discharge: a review of key issues for hospitalists.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2007;2(5):314-23. http://dx.doi.org/10.1002/jhm.228 

  15. Carley JA, Karp JF, Gentili A, Marcum ZA, Reid MC, Rodriguez E, et al. Deconstructing chronic low back pain in the older adult: step by step evidence and expert-based recommendations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part IV: depression. Pain Medicine. 2015;16(11):2098-108. http://dx.doi.org/10.1111/pme.12935 

  16. Wu JR, Song EK, Moser DK. Type D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a mediation analysis. Heart & Lung. 2015;44(4):276-81. http://dx.doi.org/10.1016/j.hrtlng.2015.03.006 

  17. Jung HJ, Choi M, Kim SS, Kim NG, Lee KY. The effects and variances of the critical pathway of laparoscopic colon resection in colo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 12(3):204-12. http://dx.doi.org/10.5388/aon.2012.12.3.204 

  18. Cheah J.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linical pathway programme in an acute care general hospital in Singapore.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0;12(5):403-12. 

  19. Rotstein C, Evans G, Born A, Grossman R, Light RB, Magder S,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hospital acquired pneumonia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dults. Canad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Medicine & Microbiology. 2008;19(1), 19-53. 

  2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1149-60. 

  21. Jeon CH, Kim DJ, Kim DJ, Lee HM, Park HJ.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Journal of Korean Society Spine Surgery. 2005; 12(2):146-52. http://dx.doi.org/10.4184/jkss.2005.12.2.146 

  22. Farrar JT, Young JP Jr, LaMoreaux L, Werth JL, Poole RM. Clinical importance of changes in chronic pain intensity measured on an 11-point numerical pain rating scale. Pain. 2001; 94(2):149-58. 

  23.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1993;32(3): 381-99. 

  24. Lim HE, Lee MS, Ko YH, Park YM, Joe SH, Kim YK, et al. Assessment of the D type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1;26:116-23. http://dx.doi.org/10.3346/jkms.2011.26.1.116 

  25. Denollet J.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2005;67:89-97. 

  26. Kang HS.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27. Park JJ, Park HS.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lumbar laminecto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4):517-32. 

  28. Sung YH. Development of a Case Manage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for the laminectomy patient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0. 

  29. McClendon J, Smith TR, Thompson SE, Sugrue PA, O'shaughnessy BA, Ondra SL, et al.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on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s after spinal fusion. Neurosurgery. 2014;74(1):42-50. http://dx.doi.org/10.1227/NEU.0000000000000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