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게서 4시간 절대침상안정 후 조기 이상의 효과
The Effect of Early Ambulation after 4 Hours of Bed Rest in Patients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1, 2016년, pp.53 - 60  

남선희 (강북삼성병원) ,  김영주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early ambulation to usual care of late ambulation in patients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on back pain, discomfort, and puncture site complication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tal 40 patients wer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4시간동안만 절대침상안정을 취한 실험군과 시술 종료시간과 상관없이 시술 다음날 아침까지 절대침상안정을 취한 대조군간의 요통과 불편감 정도, 출혈합병증 발생 정도를 비교 분석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 받은 후 절대침상안정을 취하고 있는 간세포암 대상자들에게 있어서 대퇴동맥 천자 부위의 출혈합병증 및 요통과 불편감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절대침상안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실시한 환자들에게 시술 후 4시간 뒤에 조기 이상을 적용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된 최초의 국내연구이다. 기존 관행대로 최대 24시간까지 절대안정을 취한 그룹과 4시간 절대안정 후 조기 이상을 실시한 그룹간의 절대안정시간에 따른 요통, 불편감, 도관 삽입 부위의 출혈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후 대퇴동맥 천자 부위의 출혈합병증은 최소화하면서 통증과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절대침상안정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시행되었다. 즉,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2시간의 모래주머니를 이용한 천자 부위 압박 후 이어서 2시간 동안의 침상안정을 실시함으로써 총 4시간의 절대침상안정 후 조기 이상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존의 절차대로 시술 후 4~6시간의 모래주머니 압박 후 그 다음날까지 침상 절대안정을 실시한 대조군간의 출혈 합병증 발생 정도, 요통 및 불편감 발생 정도를 관찰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4시간동안만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실험군이 시술 후 다음날 아침까지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대조군보다 요통의 정도가 낮을 것이다.
  • 가설 2: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4시간동안만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실험군이 시술 후 다음날 아침까지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대조군보다 절대안정으로 인한 불편감의 정도가 낮을 것이다.
  • 가설 3: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4시간동안만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실험군과 시술 후 다음날 아침까지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한 대조군에서 도관 삽입 부위의 출혈합병증 발생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퇴동맥 천자 후 4시간의 침상안정을 취한 뒤에 조기 이상을 시행한 중재연구로써, 4시간 침상안정 후 조기 이상은 출혈합병증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키는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절대침상안정을 취하는 동안 환자의 통증감소와 안위증진을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가 필요하지만 침상안정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간호중재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시행받은 대상자뿐만 아니라 이와 비슷한 절차의 시술을 받고 절대안정을 취하는 대상자들에게 널리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절제술이나 고주파 열 치료 등의 근치적 치료가 되지 못하는 경우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치료방법으로 선택하게 된다.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항암제가 종양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종양에 혈액공급을 차단하는 두 가지 효과를 노리는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근치적 치료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1회로 끝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지속적 경과를 관찰하면서 반복 치료를 하는 경우가 흔하여 치료 횟수나 간격은 개개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다[2].
만성간염이나 간경변증이 동반된 경우 어떤 치료방법을 선택하는가? 간세포암 치료에 있어 만성간염이나 간경변증이 동반된 경우 간 기능 저하로 인해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절제술이나 고주파 열 치료 등의 근치적 치료가 되지 못하는 경우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치료방법으로 선택하게 된다.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항암제가 종양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종양에 혈액공급을 차단하는 두 가지 효과를 노리는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근치적 치료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1회로 끝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출혈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대표적인 중재 방법은? 이로 인해 시술 후에는 천자 부위의 혈종과 외출혈 등 출혈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출혈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대표적인 중재방법은 시술 후 천자 부위를 압박하며 일정시간 동안 절대침상안정을 실시하는 것이다[3]. 중재방법이 기관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병동으로 돌아오면 담당의사가 시술을 위해 삽입했던 도관을 제거하고 손으로 10~15분 압박을 실시한 다음, 지혈이 된 것이 확인되면 모래주머니를 올려서 4~6시간 동안 추가 압박을 실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2 [Internet]. 2014. [cited 2015 August 23]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cancerStatsView.ncc 

  2. Jung JW.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Postgraduate Course; 2004; Seoul, Korea. 

  3. Yun SY.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back pain of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patients with liver cancer.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4. Black JM, Hawks JH, Keene AM. Medical surgical nursing. Philadelphia: W.B. Saunders; 2004. 

  5. Jeong YE, Lee JH, Heo EH, Kwak IO, Park GW, Jang EM, et al. The effect of post-procedures on preventing bleeding and increasing comfort in patients received coronary angiograph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1;7(2): 67-88. 

  6. Lee EJ. A study on perceived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cardiac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5;25(1):124-40. 

  7. Kang JS, Park SY, Kim EO.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on comfort and bleeding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1):5-15. 

  8. Kim PJ, Jeong JI, Ro JS. Na H, Kim KY, Kim KS, et al.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on discomfort and bleeding after coronary angiograph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19-28. 

  9. Park HJ, Sohng KY. Effect of positioning on back pain and comfort of bed rest patients after trans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5;12(3):317-24. 

  10. Pooler-Lunse C, Barkman A, Bock BF. Effects of modified positioning and mobilization on back pain and delayed bleeding in patients who had received heparin and undergone angioplasty: a pilot study. Heart & Lung. 1996;25(2):117-23. 

  11. Nam SY, Choi SM. The effects of fowler's position change on back pain and discomfort of the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0;7(1):55-64. 

  12. Kim MH, Han MJ, Lee JE, Lee JM. Effects of exercise and ice pack therapy on discomfort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 13(1):185-96. 

  13. Han SW.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he alleviation of low back pain after coronary angiography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2. 

  14. Park JS, Kim ES, Park CJ. The Effects of the slow stroke back massage on discomfort in patients following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4;9(2):56-67. 

  15. Chair SY, Thompson DR, Li SK. The effect of ambulation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on patient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212-1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599.x 

  16. Gianakos S, Keeling AW, Haines D, Haugh K. Time in bed after electrophysiological procedures (TIBS IV):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4;13(1):56-8. 

  17. Steffenino G, Dellavalle A, Ribichini F, Russo P, Conte L, Dutto S, et al. Ambulation three hours elective cardiac catheterization through the femoral artery. Heart. 1996;75:477-80. 

  18. Schiks IE, Schoonhoven L, Aengevaeren WR, Nogarede-Hoekstra C, Van Achterberg T, Verheugt FW. Ambulation after femoral sheath removal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prospective comparison of early vs. late ambul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13):1862-7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87.x 

  19. Keeling AW, Fisher CA, Haugh KH, Powers ER, Turner MS. Reducing time in bed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TIBS III).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0;9(3):185-7. 

  20. Keeling AW, Knight E, Taylor V, Nordt LA. Post-cardiac catheterization time-in-bed study: enhancing patient comfort through nursing research. Applied Nursing Research. 1994;7(1):14-7. 

  21. Koch KT, Piek JJ, De Winter RJ, Mulder K, David GK, Lie KI. Early ambulation after coronary angioplasty and stenting with six french guiding catheter and low dose hepari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97;80(8):1084-6. 

  22. Moeini M, Moradpour F, Babaei S, Rafieian M, Khosravi A. Four hour ambulation after angioplasty is a safe practice method.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0;15(3):109-14. 

  23. Hogan-Miller E, Rustad D, Sendelbach S, Goldenberg I. Effects of three methods of femoral site immobilization on bleeding and comfort after coronary angiogram.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95;4(2):143-8. 

  24. Ki EJ. A study for discomfort and bleeding complications during absolute bed rest i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01. 

  25. Koch KT, Piek JJ, de Winter RJ, Mulder K, Schotborgh CE, Tijssen JGP, et al. Two hour ambulation after coronary angioplasty and stenting with 6F guiding catheter and low dose heparin. Heart. 1999;81(1):53-6. 

  26. Rezaei-Adaryani M, Ahmadi F, Asghari-Jafarabadi M. The effect of changing position and early ambulation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on patient's outcomes: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8):1047-5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