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 생물의 세계' 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Interests on Instructional Topics of Small Organisms' World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6년, pp.123 - 135  

김래현 (서울한산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es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follow-up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opics of 'Small Organisms' World'. The follow-up interests of the students on the topic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흥미가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흥미는 학생들이 학습 내용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학습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며, 학습 수준을 향상시키는 등 학습을 구동하는 요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Hidi, 2006; Ainley et al., 2002; Hidi& Harackiewicz, 2000).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한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학생의 정규 과학 수업 주제에 대한 후속 흥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떤 양상을 나타내며, 왜 그러한 후속 흥미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러한 흥미를 갖게 된 이유를 구체적으로 적게 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투입하였고, 후속 흥미 유형, 과학 태도, 과학 지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당 검사지를 개발․투입하였다. 후속 흥미의 유형, 과학 태도와 과학 지식은 김래현 등(2014)이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학생의 긍정적인 감성 상태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 , 2002; Hidi& Harackiewicz, 2000). 또한 학생의 긍정적인 감성 상태는 학습 내용에 대한 기억 수준을 높이고(임채성과 오윤화, 2004), 과학 지식 생성력과 사고 과정형성에도 영향을 끼친다(권용주 등, 2004). 그리고 흥미는 학생이 흥미를 가진 분야에 대하여 추후에 대학 전공을 선택하거나, 목표를 설정하는 행동에도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Harackiewicz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3), 260-268. 

  2.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9]. 

  3. 권용주, 신동훈, 한혜영, 박윤복(2004).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 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06-1117. 

  4. 김경식, 이현철(2009).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 교과교육학회지, 33(1), 100-110. 

  5. 김래현, 임채성, 김재영(2014). '작은 생물의 세계' 수업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흥미 분석. 생물교육, 42(4), 359-370. 

  6. 김미나(1999). 초등학교 학생의 자연과에 대한 학습 흥미도 조사(생물영역).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일, 윤미선, 권은주, 최정선, 김원식, 이명진(2003). 자극의 모호성, 과제유형 및 인지욕구의 개인차가 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7(2), 89-106. 

  8. 김재영(1994). 국민학교 학생의 생물에 대한 흥미도 -생물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2(1), 77-82. 

  9. 박찬주, 동효관, 신영준 (2007).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선호도 차이와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16-225. 

  10. 신동훈(2012).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흥미의 생성 모형 개발 -생명과학 동영상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40(1), 147-157. 

  11. 신동훈, 권용주(2006). 예비 교사들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유형별 두뇌 활성화에 대한 fMRI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68-580. 

  12. 유경진, 천재순, 정진수(2010).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 활동에서 과학적 흥미 발생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94-608. 

  13. 윤미선(2007). 사고양식, 성취목표지향성, 성취도, 연령, 성별 특성이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 556-572. 

  14. 윤미선, 김성일(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71-291. 

  15. 이종금(2000). 초등학교 자연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와 성취도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채성(2005).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 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심체적.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초등과학교육, 24(1), 86-101. 

  17.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90-1010. 

  18. 임채성, 김재영, 백자연(2012). 뇌 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에서 과학 태도와 흥미 주제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1(4), 541-557. 

  19. 임채성, 김재영, 정다운(2013). 초등과학 생명 영역 수업에서 학생의 흥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꽃' 주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1(4), 638-656. 

  20. 임채성, 김재영, 정다운(2014). 초등 과학 수업에서 꽃 주제에 대한 학생의 흥미 변화 양상. 생물교육, 42(1), 54-67. 

  21. 임채성, 오윤화(2004).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감성 상태와 과학 학습 경험에 대한 기억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73-180. 

  22. 전민정, 김흥태, 김재근(2012).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지, 40(1), 1-14. 

  23. 조지민, 김수진, 이상하,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박연복, 이민희, 한희진, 손수경(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TIMSS): TIMSS 2011 본검사 시행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1-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 TIMSS 2007 결과보고서(RRE 2008-3-3). 

  25. Ainley, M., Hidi, S. & Berndorff, D. (2002). Interest, learning, and the psychological processes that mediate their relationship.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3), 545-561. 

  26.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27. Glaser, B.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28. Goleman ,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황태호 옮김 (1997). 감성지능(상, 하). 비전코리아.] 

  29. Harackiewicz, J. M., Barron, K. E., Tauer, J. M., Carter, S. M. & Elliot, A. J. (2000). Short-term and long-term consequences of achievement: Predicting continued interest and performance over tim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316-330. 

  30. Hidi, S. & Harackiewicz, J. M.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 151-179. 

  31.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32.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549-571. 

  33. Hidi, S. (2006) Interest: A unique motivational variable. Educational Research Review, 1, 69-82. 

  34. Hidi, S., Renninger, K. A. & Krapp, A. (2004). Interest, a motivational variable that combines affectiv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D. Y. Dai and R. J. Sternberg (Ed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Integrative perspectives o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p. 89-115. 

  35. Krapp, A. (2002). Structural and dynamic aspects of interest develop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from an ontogenetic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2, 383-409. 

  36. LeDoux, J. E. (2000). Emotion circuits in the brai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3(1), 155-184. 

  37. Renninger, K. A. & Hidi, S. (2002). Student interest and achievement: Developmental issues raised by a case study. In A. Wigfield and J. S. Eccles (Ed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New York: Academic. pp. 173-195. 

  38. Renninger, K. A. & Su, S. (2012). Interest and its development. In R. M. Ryan (Ed.), Oxford handbook of human motivat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67-187. 

  39. Sansone, C. & Morgan, C. (1992). Intrinsic motivation and education: Competence in context. Motivation and Emotion, 16, 249-270. 

  40. Sansone, C., Weir, C., Harpster, L. & Morgan, C. (1992). Once a boring task always a boring task? Interest as a self-regulatory mechan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379-390. 

  41. Schiefele, U. (1999). Interest and learning from text.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3, 257-280. 

  42. Schraw, G. & Dennison, R. S. (1994). The effect of reader purpose on interest and recall.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6, 1-18. 

  43. Schwab, J.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In J. J. Schwab and P. F. Brandwein (Eds.). The teaching of scien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44. Wolters, C. A. (1998).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llege students' regulation of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 224-235. 

  45. Ziman, J. (2002). Real science: What it is and what it me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