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및 배경요인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Practice, and Background Factors in Us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7, 2014년, pp.635 - 645  

나지연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교수과정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과 관련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그 배경요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교직경력, 성별, 성장지역, 연령 등 각각의 특성이 다른 네 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을 하기 위해 수업의 도입부에 일상경험을 상기하도록 학생들에게 발문하였다. 교사들은 과학수업에 일상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우호적이었고 더 높은 수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기억', '자녀교육 경험', '유년기의 성장환경', '개인의 학습양식', '불충분한 지식 열정', '일상생활의 과학 교육적 의미', '교사의 의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중요성', '실험의 어려움', '일상경험 도입 시 학생의 반응', '교과용 도서의 체계', '교수학습 시간 부족', '국민공통기본 교육 구현', '담당 학생의 특성', '타 교육주체의 요구', '일상경험 도입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직무관련 외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인식과 다른 실행을 하고 있으며, 일상경험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하여 교과용 도서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practices, and background factors related to introduc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n science teaching proc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different features such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안과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연결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생들도 학교에서의 배움인 형식교육 경험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타인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배우고 성장한다(Mayoh & Knutton, 1997). 학교에서의 생활이 전 생애를 기준으로 보면 10%미만이며, 18세까지의 학생들에게도 20%에 그치는 것을 볼 때 (Sosniak, 2001), 실질적으로 학습은 학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비중 있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안과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연결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학교밖 학생의 삶이 학교 안의 학습과 연결되어야 하며, 또한 학교에서의 배움이 학교 밖 학생의 삶과 유리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의 배움 이외에 어디에서 배우는가? 사람은 누구나 삶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그 과정에서 지식을 습득한다(Dewey, 1938; Greene & Hill, 2010). 학생들도 학교에서의 배움인 형식교육 경험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타인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배우고 성장한다(Mayoh & Knutton, 1997). 학교에서의 생활이 전 생애를 기준으로 보면 10%미만이며, 18세까지의 학생들에게도 20%에 그치는 것을 볼 때 (Sosniak, 2001), 실질적으로 학습은 학교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비중 있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안과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연결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게한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교사들은 과학수업에 일상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우호적이었고 더 높은 수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기억', '자녀교육 경험', '유년기의 성장환경', '개인의 학습양식', '불충분한 지식 열정', '일상생활의 과학 교육적 의미', '교사의 의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중요성', '실험의 어려움', '일상경험 도입 시 학생의 반응', '교과용 도서의 체계', '교수학습 시간 부족', '국민공통기본 교육 구현', '담당 학생의 특성', '타 교육주체의 요구', '일상경험 도입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직무관련 외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인식과 다른 실행을 하고 있으며, 일상경험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하여 교과용 도서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vraamidou, L., & Osborne, J. (2009). The role of narrative in communicat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1683-1707. 

  2. Barnett, J.,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3.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In J. A. Boydston (Ed.), John Dewey: The later works, 13 (pp. 1-62).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4. Enghag, M., Gustafsson, P., & Jonsson, G. (2007). From everyday life experiences to physics understanding occurring in small group work with context rich problems during introductory physic work at universit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449-467 

  5. Garrison, J. W., & Bentley, M. L. (1990). Science education, conceptual change and breaking with everyday experience.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10, 19-35. 

  6. Gilbert, J. K., Osborne, R. J., & Fensham, P. 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7. Glesne, C. (2006).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3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8. Greene, S., & Hill, M. (2010). Researching children's experience: Methods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S. Greene & D. Hogan (Eds.), Resear ching children's experience (pp. 1-21). London: SAGE Publications. 

  9. Han, K., & Noh, S. (2003).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teacher's guides fo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2(1), 51-64. 

  10. Hollway, W., & Jefferson, T. (2000). Doing qualitative research differently: Free association, narrative and the interview method. Los Angeles, LA: Sage Publication. 

  11. Jeon, Y. M. (2006). Understanding American teachers' use of teachers' manuals: Two case studi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3(3), 5-24. 

  12. Jo, K. (2005). Using examples and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chool science: Focusing on concepts of mechanic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Kang, C., Kwon, D., Shin, M., Lee, S., Song, J., Seo, G., Lee, G., & Lee, B. (2013). Innovation school. Seoul: Jihak Publishing Co. 

  14. Kweon, J., Chung, W., & Kim, Y. (2001).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 75-90. 

  15.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6. Mansour, N. (2010). Impact of the knowledge and beliefs of Egyptian science teachers in integrating a STS based curriculu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5), 513-534. 

  17. Mansour, N. (2013). Consistencies and inconsistencies between scienc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7), 1230-1275. 

  18. Mayoh, K., & Knutton, S. (1997). Using out-of-school experience in science lessons: Reality or rhetori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7), 849-867. 

  19.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2014). Korean curriculum. Retrieved June 14, 2014, from http://www.ncic.re.kr/ 

  20. Oloruntegbe, K. O., & Ikpe, A. (2010). Ecocultural factors in students' ability to relate science concepts learned at school and experienced at home: Implications for chemistry educat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8(3), 266-271. 

  21. Osborne, R. J., Bell, B. F., & Gilbert, J. K. (1983). Science teaching and children's views of the worl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1), 1-14. 

  22. Osborne, R. J., & Freyberg, P. (1985). Learning in science: The implications of children's science. Auckland: Heinemann. 

  23.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07-332. 

  24. Park, H. J. (2007). Components of conceptual ecolog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217-237. 

  25.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6.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0), 211-227. 

  27. Rivet, A. E., & Krajcik, J. S. (2008). Contextualizing instruction: Leveraging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foster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79-100. 

  28. Schraw, G., Flowerday, T., & Lehman, S. (2001). Increasing situational interest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3), 211-224. 

  29. Schraw, G., & Lehman, S. (2001). Situational interes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1), 23-52. 

  30. Sosniak, L. (2001). The 9% challenge: Education in school and society. Retrieved May 14, 2013, from http://www.tcrecord.org/ 

  31. Strike, K. A., & Posner, G. J. (1992). A revisionist theory of conceptual change. In R. A. Duschl & R. J. Hamilton (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147-176).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2. Upadhyay, B. R. (2006). U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s in an urban science classroom: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cience Education, 90(1), 94-110. 

  33. Vygotsky, L. S.(1934). Thought and language (A. Kozulin, ed., 2012). Cambridge, MA: MIT Press. 

  34. Warren, B., Ballenger, C., Ogonowski, M., Rosebery, A. S., & Hudicourt-Barnes, J. (2001). Rethinking diversity in learning science: The logic of everyday sense-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5), 529-552. 

  35. Wassermann, S., & Ivany J. W. G. (1996). The new teaching elementary science: who's afraid of spiders? (2nd ed.).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6. Yu. G., Jeong, J., Kim, Y., & Kim, H.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Pakyoung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