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려 안악3호분의 음식문화
Food Culture of Tomb of An-Ak No. 3 in Koguryo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1 no.1, 2016년, pp.51 - 63  

고경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culture represented by the grain yard, water well, kitchen, and meat storage space which were depicted i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The mural paintings of An-Ak tomb No. 3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ncient Chinese tombs before the 4th c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육고가 묘사된 고분은 무엇이 있는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육고가 묘사된 고분은 안악3호분(황해남도 안악군, 375년), 태성리1호분(남포시 강서구역, 4세기 후반), 팔청리벽화분(평안남도 대동군, 5세기 전반), 마선구1호분(중국 길림성 집안현, 5세기 전반)이 있다. 태성리1호분은 안악3호분과 같이 부엌의 부뚜막과 육고에 걸린 고기와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일부만 남아있다.
집안지역의 입식용 의자의 기원은 어디인가? 두 지역의 두드러진 식사풍습으로 집안 지역은 높은 의자에 앉는 입식(立式)과 평양·안악 지역은 좌식(坐式)의 두드러진 차이를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집안지역의 입식용 의자는 중앙아시아에 기원을 두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4-5세기의 고구려는 중국뿐 아니라 서역의 다양한 문화를 지리적 환경에 알맞게 수용하고 융합하여 두 지역의 식사풍습의 이원화된 특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알 수 있는 집안(集安)권과 평양(平壤)권의 식사 풍습의 차이점은? 다음으로 Kim(2010)은 집안(集安)권과 평양(平壤)권에 분포된 고구려 12기의 고분의 주택구조, 부엌의 취사시설의 부뚜막, 식사장면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두 지역의 두드러진 식사풍습으로 집안 지역은 높은 의자에 앉는 입식(立式)과 평양·안악 지역은 좌식(坐式)의 두드러진 차이를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집안지역의 입식용 의자는 중앙아시아에 기원을 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kcheon Museum. 2005. Ancient Cooking. Bokcheon Museum, Busan, Korea, pp 22-23, 156-168 

  2. Chhae PS. 1967. An-Ak jibangui beokhwa gobun (安岳地方의 壁畵古墳). Baiksan hakbo (白山學報), 2(0):1-64 

  3. Choi JT. 1998. The Koguryo pottery. Doctoral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50-53, 71-74, 88, 116 

  4. Chun HS, Huh JH. 2002. A study on the Hero's costume of Kokuryo An-Ac No. 3-Concerning with China. J. Korean Tradit. Costume, 5(3):43-61 

  5. Dong ZS (董仲舒). Chunqiufanlu (春秋繁露) Chunqiu-Yeoksa haeseokhak (춘추-역사해석학). In: Shin JG editor. 2006. Thaehaksa, Seoul, Korea, p 765 

  6. Hwang YS. 2007. The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Chinese ancient tomb mural paintings. Master's degree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unmoon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orea, pp 30, 86-92 

  7. Jeon HT. 2013. Culinary culture of Goguryeo. Yoksa wa Hyonsil, 89(3):185-219 

  8. Joo YH. 2003. Historical and folkloric study on Koguryo foodways: Through the wall paintings of ancient tombs in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 The Koguryo Balhae Yonku, 17(0):115-138 

  9. Kang IH. 1989. Hankooksiksangwhalsa (韓國食生活史) Samyoungsa, Seoul, Korea, pp 178, 182-183 

  10. Kim BS (金富軾). Samguk Sagi (삼국사기). In: Lee BD editor. 2001. Eulyoo Publishing, Seoul, Korea, pp 328, 335, 347, 353, 361-362, 385-386, 402-404, 421 

  11. Kim JB. 1978. On the identity of the person buried in the tomb No. 3 of An-Ak. Korean Antiquity, 16(0):12-25 

  12. Kim KB. 2010. Koguryo's kitchen and food customs appeared in their tomb painting. J. Stud. Korean Histor., 39(0):7-14 

  13. Kim TH. 1995.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V. Roasted Beef. J. Korean Soc. Food Cult., 10(4):291-300 

  14. Kim TH. 1997. The historical study of deer and roe deer cooking in Korea. J. Korean Soc. Food Cult., 12(3):275-287 

  15. Kim YJ (金瑢俊). 2001. GunWon Kim Yong-Jun Junjib Vol. 4-Koguryo gobun beokwha yeonggu (近園 金瑢俊 全集 4卷-高句麗 古墳壁畵 硏究). Yulhwadang Publisher, Seoul, Korea, pp 134-171 

  16. Kogohak.Minsokhak Yeonguso (고고학.민속학연구소). 1957. Yujukbalgulbogo (유적발굴보고)-(3) An-Ak Je 3hobun Balgulbogo (안악제3호분발굴보고). Kwahakwonchulpansa (과학원출판사),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p 1, 9-10, 18-19 

  17. Koguryo munhwajun silheng wiwonhoe (高句麗文化展行委員會). 1985. Koguryo munhwajun 高句麗文化展.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 18 

  18. Koh EB. 2012. Animals-Mammals and other animal remains Taean Mado shipwreck No. 3 underwater excav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Mokpo-si, Korea, pp 360-377 

  19. Koh KH. 2015. Food culture of the Koryo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marine relics of the Taean Mado shipwreck No. 3. J. Korean Soc. Food Cult., 30(2):158-169 

  20. Kong SK. 2001. A study on the Hero's jeol(節) in the tomb of An-Ak No. 3. Koguryo Balhae Yonku, 11(0):47-84 

  21. Lee SW. 1995. Hankuk Sikpoom Saweosa (韓國食品社會史). Gyomoon Publishers, Seoul. Korea, pp 26-27, 57-58, 72, 98-99 

  22. Lee SW. 1999. Hankuk Sikpoom Yorisa (韓國食品料理史). Gyomoon Publishers, Seoul, Korea, pp 43-44 

  23. Lee KS. 2013. The formative consciousness and expressivity of ancient east asia in Kokuryo murals in the tomb: Focusing on Anak tomb No. 3. J. Gojiseon & Dangun Stud., 28(0):241-268 

  24. Lim KH. 2012. Wooden tablets Taean Mado shipwreck No. 3 underwater excav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Mokpo-si, Korea, pp 221-263 

  25. Lim KW. 1995. A study on the ruling system of Koguryo for Nakrang and Daebang provinces in the fourth century. The Korean Historical Review, 147(0):1-45 

  26. National Museum of History. 1996. Special exhibition of Han Dynasty artifacts. National Museum of History, Taipeishi, Taiwan, pp 61, 63, 104, 106, 107, 108, 110 

  27. Zhuangzi. (장자, 莊子). In: Oh KN editor. 1998. Hyeonamsa, Seoul, Korea, pp 146-154 

  28. Xu J (서긍, 徐兢). Gaolitujing (고려도경, 高麗圖經). In: Cho DW et al. editors. 2005. Taurusbook, Seoul, Korea, pp 291-292 

  29. Park CL, Kwon YS, Chung HJ. 2011. A historical study on changes in a roasted beef recipe through sulhamyukjuk (part I), Focus 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until 1950. J. Korean Soc. Food Cult., 26(6):599-613 

  30. SaGong JG. 2013. A study on the diet of Goguryeo people. Master's degree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p 27-32 

  31. Sawoekwahakwon Gogohak Yeonguso (사회과학원 고고학 연구소). 1975. Koguryo Munwha (고구려문화). Sawoekwahakchulpansa (사회과학출판사),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p 4-5 

  32. Shinoda O. History of Chinese Food Culture (중국음식문화사). In: Yoon SS et al. editors. 1995. Minumsa, Seoul, Korea. pp 26-32 

  33. Sikmunhwa tamguweoi (식문화탐구회). 2008. Chwisaui Gogohak (炊事의 考古學). Seokyu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9-184 

  34. Xu G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2.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 18 

  35. Xu G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Vol. 3.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 48 

  36. Xu G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Vol. 5.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24, 54 

  37. Xu G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Vol. 8.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7, 42 

  38. Yoon SS. 2002. Korean Food (韓國飮食). Soohaksa, Seoul, Korea, pp 3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