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확인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citrus fru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7, 2016년, pp.977 - 988  

홍영신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감귤류(천혜향, 한라봉, 진지향, 황금향 및 레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였다. 천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104종(4,939.77 mg/kg), 한라봉 98종(3,286.38 mg/kg), 진지향 105종(3,317.56 mg/kg), 황금향 102종(4,293.39 mg/kg) 및 레드향 108종(4,049.94 mg/kg)으로 확인되었다. Limonene, sabinene, ${\beta}$-myrcene, ${\alpha}$-pinene, ${\beta}$-pinene, linalool, 4-terpineol, ${\alpha}$-terpineol, (E)-${\beta}$-ocimene 및 ${\gamma}$-terpinene 등은 제주감귤류의 공통적인 주요 향기로 확인 되었다. Ethyl-benzene, nonanol, 1-p-menthen-9-al, (E)-isocarveol, methyl salicylate, ${\alpha}$-terpinen-7-al, perilla alcohol 및 ethyl dodecanoate은 천혜향에서만 확인된 휘발성 향기 성분이다. ${\beta}$-Chamigrene 및 ${\alpha}$-selinene은 한라봉에서만 확인되었으며, 3-hydroxybutanal, (E)-2-nonenal, isoborneol, octyl acetate, (E)-2-undecenal, ${\beta}$-ylangene 및 guaia-6,9-diene은 진지향에서만 확인되었다. ${\rho}$-Cymenene, ${\beta}$-thujone, selina-4,11-diene 및 (E,E)-2,6- farnesol은 황금향에서만 확인되었으며, ${\rho}$-cymen-8-ol, bornyl acetate, carvacrol, bicyclo elemene, ${\alpha}$-cubebene 및 7-epi-${\alpha}$-selinene 등은 레드향에서만 확인된 향기성분이다. Limonene은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율은 42.57%~62.18%이다. 본 연구결과 제주감귤류의 품종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과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ive Jeju citrus fruit varieties (Cheonhyehyang, Hallabong, Jinjihyang, Hwanggeum hyang and Redhyang)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using solvent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nd analyz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mandarin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수입과일에 대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개발된 신품종인 만감류(천혜향, 한라봉, 진지향, 황금향 및 레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주 감귤류인 만감류 과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분석을 위하여 SDE(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방법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여 GC/MS로 확인하였다.
  • 향기성분 분석을 위하여 SDE(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방법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여 GC/MS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신품종인 만감류 과피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과 차이점을 구분하며,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citrus속 과일의 정유성분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미란 무엇인가? 향미는 분자량이 300 미만인 화합물로 코의 상부 후각 시스템으로 이송될 정도로 충분한 휘발성을 가지는 화합물로 냄새 및 향의 특성을 가진다. 식품속의 향미는 냄새를 만드는 향기 물질과 맛을 내는 화합물로 구분되어진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citrus속 과일은 어떤 것인가?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citrus속 과일은 mandarin(Citrus reticulata L.)으로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주밀감이다. 이는 쉽게 껍질이 제거되고 밝은 색깔을 가지고 있으며, 상쾌한 감귤 향기와 새콤달콤한 맛을 가지고 있어 신선한 과일로 소비되는 가장 인기 있는 감귤이다(1,2).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주밀감은 어떤 특징을 갖는 감귤인가? )으로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주밀감이다. 이는 쉽게 껍질이 제거되고 밝은 색깔을 가지고 있으며, 상쾌한 감귤 향기와 새콤달콤한 맛을 가지고 있어 신선한 과일로 소비되는 가장 인기 있는 감귤이다(1,2). 제주 감귤류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농가소득의 증대를 가져왔으며, 1970년 이후 경제가 발전하면서 소비의 확대로 재배면적이 늘어나 생산량이 증가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neko K, Katayama O (1980) Studies on volatiles from satsuma mandarin juice 1. difference of volatile components among each part of mandarin citrus unshiu cultivar satsuma fruit.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36, 44-50 

  2. Shimoda M, Osajima Y (1981) Studies on off-flavour formed during storage of satsuma mandarin juice. Japan J Agric Chem Soc, 55, 319-324 

  3. Moon KH, Song EY, Son IC, Oh SJ, Park KS, Hyun HN (2015)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citrus production area of jeju island in Korea. Korean J Agric For Meteorol, 17, 69-74 

  4. Lee SG, Jeon SG (2016)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distribution of citrus farms. J Agric Life Sci, 50, 207-221 

  5. Song Ej (2014) A study on production system of hallabong on jeju island.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Korea, p 43-50 

  6. Berger RG (2006) Flavours and fragrances, Chemistry, Bioprocessing and Sus tainabil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7-119 

  7. Fahlbusch KG, Hammerschmidt FJ, Panten J, Pickenhagen W, Schatkowski D, Bauer K, Garbe D, Surburg H (2003) Flavors and fragrances.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103 

  8. Plotto A, Margariia CA, Goodner KL, Baldwin EA (2008) Odour and flavour thresholds for key aroma components in an orange juice matrix: esters and miscellaneous compounds. Flav Frag J, 23, 398-406 

  9. Ohta H, Yoshida K, Hyakudome K, Aoyagi H, Okabe M, Susukida W (1983) Effects of headspace, pasteurization condition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of canned satsuma mandarin juice during storage.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0, 200-208 

  10. Araki C, Sakakibara H (1991)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by heating satsuma mandarin(citrus unsbiu marcov.) juice. Agric Biol Chem, 55, 1421-1423 

  11. Moshonas MG, Shaw PE (1996) Volatile components of calamondin peel oil. J Agric Food Chem, 44, 1105-1107 

  12. Wilson CW, Shaw PE (1981) Analysis of cold-pressed grapefruit oil by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9, 494-496 

  13. Schultz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449 

  14. Nickerson GB, Likens ST (1996) Gas chromatography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 A, 21, 1-5 

  15. Seo HY, No KM, Shim SL, Ryu KY, Han KJ, Gyawali R, Kim KS (2006) Analysis of enantiomeric composition of chiral flavor components from dri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74-880 

  16. Schreier P (1986) Biogeneration of Plant Aromas. In: Developments in Food Flavours, Birch GG, Lindley MG (Editor)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 New York, p 89-106 

  17. Furuta T, Yoshii H, Kobayashi T, Nishitarumi T, Yasunishi A (1994) Powdery encapsulation of d-limonene by kneading time with mixed powders of ${\beta}$ -cyclodextrin at low water content.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847-850 

  18. Sadtler Research Laboratories (1986) The sadtler standard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index library. Sadtler, USA 

  19. Langer RS, Wise DL (1984)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CRC Press. Florida, USA, p 2-12 

  20. Rosen HB, Chang J, Wnek GE, Linhardt RJ, Langer R (1983) Bioerodible polyanhydrid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Biomaterials, 4, 131-133 

  21. Kang MA (2012) Analysis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lavonoids in shiranuhi and setoka citrus fruits, and bioactivity of essential oil.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p 29-31 

  22. Song HS, Sawamura M, Ito T, Ido A, Ukeda H (2000)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characteristic flavour of daidai (Citrus aurantium L. var. Cyathifera Y. Tanaka) peel oil. Flavour Fragr, 5, 323-328 

  23. Akahoshi G (1983) Kouryonokagaku (in Japanese), Dainihontosyo. Tokyo, Japan, p 148-315 

  24. Chen J, Duan W, Bai R, Yao H, Shang J, Xu J (2014) Design, synth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evaluation of novel beta-elemene derivatives. Bioorg Med Chem Lett, 24, 3407-3411 

  25. Li X, Wang G, Zhao J, Ding H, Cunningham C, Chen F, Flynn DC, Reed E, Li QQ (2005) Antiproliferative effect of beta-elemene in chemoresistant ovarian carcinoma cells is mediated through arrest of the cell cycle at the G2-M phase. Cell Mol Life Sci, 62, 894-904 

  26. Calcabrini A, Stringaro A, Toccacieli L, Meschini S, Marra M, Colone M, Salvatore G, Mondello F, Aracia G, Molinari A (2004) Terpinen-4-ol, the main component of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inhibits the in vitro growth of human melanoma cells. J Invest Dermatol, 122, 349-360 

  27. Hart PH, Brand C, Carson CF, Riley TV, Prager RH, Finlay-Jones JJ (2000) Terpinen-4-ol, the main component of the essential oil of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suppresses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by activated human monocytes. Inflamm Res, 49, 619-626 

  28. Carson CF, Riley TV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 of melaluca alternifolia. J Appl Bacteriol, 78, 264-269 

  29. Yoo ZW (2003) Comparative analyses of the flavors from Hallabong (Citrus sph aerocarpa) with lemon, orange and grapefruit by SPTE and HS-SPME combined with GC-MS. Ph D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p 9-29 

  30. Choi SH (2008)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hibiscus herb tea. J Kor Tea Soc, 14, 195-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