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냉동조건이 건시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ersimm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7, 2016년, pp.931 - 938  

최지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이현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조정석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이영민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우진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시의 냉동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기간 중 품질특성변화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유리당 함량은 $10^{\circ}C$, $-20^{\circ}C$에서는 저장기간 전체에서 SF가 더 많았다. 건시의 $L^*$값은 $10^{\circ}C$에서는 표면 갈변에 의해 감소하며, $0^{\circ}C$, $-10^{\circ}C$에서는 백분발생에 의해 그 값이 증가했다. QF, SF 모두 $0^{\circ}C$에서 백분이 가장 많이 발생하여 $L^*$값이 저장온도 중 가장 높았으며, QF에 백분이 더 많이 형성되어 그 값이 더 높았다. $a^*$값은 모든 저장온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circ}C$, $0^{\circ}C$에서 SF가 더 높았다. 조직감은 탄력성, 씹힘성, 경도를 조사하였으며, $0^{\circ}C$$-20^{\circ}C$를 비롯한 전반적인 건시의 경도는 전체 저장 기간 동안 SF에서 조직경화 현상이 더 심하다고 판단하였다. 가용성 탄닌 함량은 $-20^{\circ}C$를 제외하고 모든 저장온도에서 QF가 더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냉동조건에 따른 경향성 있는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건시의 저장 전 냉동온도는 저장 중 품질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유리당, 색도, 가용성 탄닌 측면에서 SF, 즉 완만냉동 시료가 저장 중 품질특성이 더 좋을 것으로 보이지만 조직경화 면에서는 SF의 품질이 좋지 않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냉동 온도에 따른 관능적 평가와 미생물생육정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were frozen at $-50^{\circ}C$ (quick frozen, QF) and $-20^{\circ}C$ (slow frozen, SF) for 24 hr. Frozen persimmons were then stored at -20, -10, 0 and $10^{\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온도 및 저장 온도에 따른 건시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건시의 저장 및 유통에 적합한 최적조건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떫은감은 무엇으로 이용되는가? 감(Diospyros kaki)은 동양이 원산지이며, 아열대에서 온대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생산된다(1). 감은 크게 단감과 떫은감으로 구분하며 단감은 주로 생시로 이용되나 떫은감은 연시나 탈삽시, 곶 감 등으로 이용되며(2), 곶감의 경우 고려시대부터 이용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3). 곶감은 과실 건조가공품에 속한 것으로(3), 가을에 일시적으로 다량 출하되는 감과실 의 장기 저장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풍부한 감미와 탄닌을 지니고 있는 우수한 건조식품으로 건조과정에서 단맛이 증가하고, 비타민 A의 함량도 증가한 다(4).
곶감 건조에 필요한 시간은? 또한 숙혈을 없애고 폐열, 혈토, 구역질, 장풍과 치질 을 다스리는데 쓰인다고 한다(5) 곶감과 관련된 기존 연구 로는 냉풍건조와 천일건조 곶감의 품질특성(6), 상주 전통 곶감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품질특성(7),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8) 등이 있으며, 특히 곶감을 이용한 가공품 관련 연구로는 곶감주(9), 곶감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10), 곶감엿(11), 곶감 추출물 첨가 식빵(12), 곶감추출물 첨가비율에 따른 곶감젤리(13) 등이 있다. 곶감은 천일건조, 풍건 등으로 대개 건조되나 건조시간이 1개월 이상을 요하며 건조기간 중 열기에 따라 곶감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14). 상품화된 곶감은 대개 30% 내외의 수분함유 상태로 유통되고 있으나(15) 조직이 질기고 딱딱하며 표면의 하얀 분의 과다발생 등으로 인하여 기호도 및 상품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곶감의 효능은? 곶감은 과실 건조가공품에 속한 것으로(3), 가을에 일시적으로 다량 출하되는 감과실 의 장기 저장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풍부한 감미와 탄닌을 지니고 있는 우수한 건조식품으로 건조과정에서 단맛이 증가하고, 비타민 A의 함량도 증가한 다(4). 또한 숙혈을 없애고 폐열, 혈토, 구역질, 장풍과 치질 을 다스리는데 쓰인다고 한다(5) 곶감과 관련된 기존 연구 로는 냉풍건조와 천일건조 곶감의 품질특성(6), 상주 전통 곶감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품질특성(7),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8) 등이 있으며, 특히 곶감을 이용한 가공품 관련 연구로는 곶감주(9), 곶감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10), 곶감엿(11), 곶감 추출물 첨가 식빵(12), 곶감추출물 첨가비율에 따른 곶감젤리(13) 등이 있다. 곶감은 천일건조, 풍건 등으로 대개 건조되나 건조시간이 1개월 이상을 요하며 건조기간 중 열기에 따라 곶감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2. Lee MH, Lee SH, Park SD, Choi BS (1995) The effect of package material and moisture content on storage of dried persimmons at room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2, 285-291 

  3. Kim JK, Kang WW, Oh SL, Kim JH, Han JH, Moon HK, Choi JU (2004)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from various regions. J Korean Soc Food Nutr, 33, 140-145 

  4. Hong EY, Kim YC, Rhee CH, Kang WW, Choi JU, Chung SK (2001) Changes of microflora in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dried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8, 374-378 

  5. Akira S, Hisashi H, Takashi T (1975) Studies on the removability of astringency in Japanese persimmon fruits. J Jpn Soc Hortic Sci, 44, 265-272 

  6. Lee YR, Chung HS, Moon KD (2011)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Korean J Food Preserv, 18, 13-17 

  7. Kang WW, Kim JK, Oh SL, Kim JH, Han JH, Yang JM, Choi JU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ngju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during dry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86-391 

  8.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9. Woo KL, Lee SH (1994)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10. Ko SH, Kim SI, Han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 supplemented with low grade dried persimmon extracts. Korean J Food Cook Sci 24, 735-741 

  11. Kim JH, Kang WW, Kim JK (2005) Quality evaluation of Yut (Korean traditional candy) prepared from low quality dried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2, 135-140 

  12. Moon HK, Han JH, Kim JH, Kim GY, Kang WW, Kim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dried persimmons hot-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23-729 

  13. Kim JH, Kim JK (2005) Quality of persimmon jelly by various ratio of dried persimmo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91-1097 

  14. Park HW, Kim SH, Lee SA, Park JD (2012) Quality change of chill-stored dried persimmons affected by cinnamon extract pre-treatment and packaging condition. Korean J Packaging Sci Technol, 18, 9-14 

  15. Kim HY, Chuag HJ (1995)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and its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97-702 

  16. Kang BH, Jo MY, Hur SS, Shin KS, Lee DS, Lee SH, Lee JM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ntaminated organisms on dried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 939-945 

  17. Chassagne-Berces S, Fonseca F, Citeau M, Marin M (2010) Freezing protocol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fruit tissue according to the fruit, the variety and the stage of maturity. LWT-Food Sci Technol, 43, 1441-1449 

  18. Tressler DK, Evers CF (1946)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2th ed, Avi Publishing Co, New York, NY, USA, p 244-247 

  19. Taylor, Francis group (2005) Handbook of frozen food processing and packaging.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91-396 

  20. Schanderl SH (1970) Tannins and related phenolics. In: Methods in Food analysis, Joslyn MA (Editor),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701-711 

  21. Koh SM, Rhim JW, Kim JM (2011) Effect of freezing temperature on the rehydration properties of freeze-dried fice porrid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09-512 

  22. Kim JE, Jo HJ, Yu MJ, Song KB, Kim HY, Park JT (2015) Effects of freezing temperature on quality of mul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67-271 

  23. Im JS, Lee MH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4, 611-616 

  24. Moon KD, Kim JK, Kim JH, Oh SL (1995) Studies on valuable components and processing of persimmon flesh and peel. J Korean Soc Food Cult, 10, 321-326 

  25. Park HW, Cha HS, Kim SH, Park HR, Lee SA, Kim YH (2006)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 pretreatment and packaging material on quality of dried persimmons. Korean J Food Preserv, 13, 168-173 

  26. No YK, SH Jang, TS Park and SH Park (1997) Processing of the astringent persimmon, using established technology system testing, quality improvement of dried persimmons. Report of agricultural experiment study, vol.2 Regionspecific crops sector, 1201-1211 

  27. Seo JH, Jeong YJ, Kim KS (200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12-217 

  28. Ravichandran R, Parthiban R (1998)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polyphenol oxidase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with type of tea leaf and during black tea manufacture and the effect of enzyme supplementation of dhool on black tea quality. Food Chem, 62, 277-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