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3, 2016년, pp.201 - 208  

김나영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304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집단따돌림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보건교사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 피해로 자살을 생각한 학생 중 자살을 시도한 학생들의 비율은 얼마인가? 더욱 심각한 점은 자살 생각이 단순한 생각으로 그치지 않고 직접 자살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41.8%는 실제로 자살시도까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1]. 또한 학교폭력 피해 학생 중 77%는 학교폭력 피해 후 가해 학생에게 복수를 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하여 피해 학생들의 분노감과 모욕감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1].
학교적응이란? 학교적응이란 학생들이 학교에서 지적, 정의적, 신체적 발달을 위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그 과정에서 여러 교육적 여건을 자신들의 요구에 맞게 변화시키거나 스스로 학교의 요건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9], 학교적응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환경적 보호요인들 중 개인적 요인인 자아 탄력성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들 수 있다. Rutter [10] 는 보호요인이 자아탄력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심각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적응적인 기능을 유지한다고 하였다.
집단따돌림 중 소외형, 언어형, 신체형은 무엇인가? 0점, 가끔 1점,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2점, 일주일에 여러 번은 3점을 배점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피해경험의 정도가 큼을 나타낸다. 소외형은 은밀하고 은근하게 무리를 지어 한 사람을 소외시키는 유형이고 언어형은 놀림, 조롱, 욕을 하거나 협박하는 유형으로 주로 언어로 고통을 주며 따돌리는 유형이며, 신체형은 강제적인 심부름, 신체를 이용한 심한 장난, 강탈, 구타가 위주가 되는 따돌림 유형이다. Choi와 Chae [21]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olescent Violence Prevention Foundation. 2014 The major results of school violence in a nationwide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August 13]. Available from: http://www.jikim.net/bbs/board.php?bo_tablejikim_sharing3_2&wr_id516 

  2. Olweus D.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1978. p. 1-218. 

  3. Kim HW.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n relationships among peer rejection, peer victimization, psychological health, school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1;13(2):173-198.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results of present-condition survey on the school dropouts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boardSeq63780 

  5. Lee HY. School maladjustment diagnosis and countermeasures (I).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2 December. Report No.: RR 2012-05. 

  6. Ministry of Education. 2016 The 1st results of school violence the survey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August 9].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boardSeq63780 

  7. Yoon BN, Y HK, Kwon SY.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prevention program to avoid bullying focusing on sympath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09;18(4):171-183 

  8. Song YK, Kim YH, Hwang SS. Effects from the interaction of ego 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1;20(1):1-19. https://doi.org/10.5934/kjhe.2011.20.1.001 

  9. Kim YR. An analysis on the validation of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A) & school-related coping scale (B) and relations between (A) & (B). 2000;17:3-37. 

  10. Rutter M.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In: Rolf J, Masten AS, Cicchetti D, Nuechterlein KH, Weintraub S, editor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Psychopath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 97-119. 

  11. Cohen S, Hoberman H.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er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 

  12. Block JH, Block 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980;13:39-202. 

  13. Hwang ST, Ku HM, Kim JH. The personality traits of ego resili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1;20(3):569-581. 

  14. Rutter M. Resilience in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ic. 1985;147:598-611. https://doi.org/10.1192/bjp.147.6.598 

  15. Block JH,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16. Lee YJ, Ryu JA.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3;14(4):2049-2066. https://doi.org/10.15703/kjc.14.4.201308.2049 

  17. Han MH.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6. p. 1-137. 

  18. Gu EJ, Park JH.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6;23(5):289-312. http://dx.doi.org/10.21509/KJYS.2016.05.23.5.289 

  19. Lee KM. A study of middle-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construc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5;17(2):383-398. 

  20. Park EH. The relationships between ego-resiliency, IQ and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7. p. 1-52. 

  21. Choi ES, Chae JH. A study of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bullying. Understanding People. 2000;21:109-137. 

  22. Park SH, Yoon CH.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6th and 9th grade Korean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3):147-169. 

  23. Huh JH, Park YB, Sul JD.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n PAPS and sport confident about participated of sport club youth stud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15(12):555-572. 

  24. Sunwoo HJ, Lee HS. A study on the effect of bullying to school 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1):149-166. 

  25. Kwon HJ, Chung HW.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5;10(4):79-96. http://dx.doi.org/10.16978/ecec.2015.10.4.004 

  26. Hur JK, Kim YS. The effect of security of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on school-related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05;10(4):483-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