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칠곡군 어로리 인문학 마을의 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Case Study on Humanity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e Village of Eoro-ri, Chilgok-gun, Gyeongsangbuk-do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7 special issue, 2016년, pp.593 - 608  

이재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창조산업연구소) ,  임지혜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창조산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 humanity community building process in a rural area context, particularly in the villages of Eoro-ri, Chilgok-gun, and Gyeongsangbuk-do. Chilgok-Gun has institutionalized support systems for a humanity community building, and has implemented some program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 만들기란 무엇인가? 최근 마을 만들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부쩍 높다. 마을 만들기는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 기획하고 제안하여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한데 모여 이뤄나가는 마을 공동체 만들기라고 할 수 있다(Kim 2013). 마을 만들기의 시작은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지역 공동체 회복 등을 위한 자발적인 운동이었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국내 마을 만들기의 많은 사례들은 관주도의 마을 만들기, 관광의 기능을 위한 물리적 경관 조성 등에 집중하여 지나치게 성과 지향적이 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경북 칠곡군에서의 인문학 마을 만들기 사업을 주목할 만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기존의 마을 만들기에 대한 비판 속에서 경북 칠곡군이 추진하고 있는 인문학 마을 만들기 사업은 기존 사업들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토대로 진행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칠곡군의 인문학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문학에 대한 편승이 아닌, 장기적인 평생학습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를 통해 도출되는 삶에 기반을 둔 인문학으로 그 의미에서 차이가 있다. 칠곡군은 ‘평생학습특별시’라고 할 만큼 평생학습에 관하여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우수한 기반을 갖추었으며(Ji 2015), 이러한 바탕에 마을인문학과 접목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마을 만들기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은 무엇인가? 마을 만들기는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 기획하고 제안하여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한데 모여 이뤄나가는 마을 공동체 만들기라고 할 수 있다(Kim 2013). 마을 만들기의 시작은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지역 공동체 회복 등을 위한 자발적인 운동이었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국내 마을 만들기의 많은 사례들은 관주도의 마을 만들기, 관광의 기능을 위한 물리적 경관 조성 등에 집중하여 지나치게 성과 지향적이 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eFilippis J, Saegett S(2008) The communities development reader. 2nd ed. London: Routledge 

  2. Jeon DU(2012) A study of strategic approaches for community-driven development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3. Ji SY(2015) 6th Village community workshop -Create a community of the village in the humanities. ChungNam Institute 

  4. Kim CD(2012) The strategies foe citizen autonomy through rebuilding the neighborhood community. Seoul Development Institute 

  5. Kim KH(2014) Rediscovering the village. Seoul: Olim 

  6. Kim SH, Choi BM, Kim HS, Lee JJ, Cho YT, Kim EH, Choi SH(2013) To make our community's current and future direction. Korean J Urban Inform Serv 371, 3-20 

  7. Kim SK, Lee SY(2007) Community making model initiated by local peopl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8. Kim WY(2013) Resident participatory business seeing from the perspective of Eunpyeong-Gu’s Maeul Commmunity. Korean J Public Soc 3(2), 5-35 

  9. Kim YH, Lee JH(2015) A suggestions on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residents led policy for community planning - based on movement of Seojong Design Headquarters in Sejong-Myun. Yangpyung-Gun,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10. Lee EJ, Choi HS(2015) Urban community formation process in the city of Seoul: case of Seodaemun-gu community building project. Korean J Korea Spat Plan Rev 84, 75-94 

  11. Lee GH(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motion of rural cultural contents, Korean J Humanit Stud 17, 319-360 

  12. Lee HJ(2009) Changes in rural policy paradigm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a study based on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Korean J Korean Rural Sociol Soc 19(1), 7-47 

  13. Lim JH(2012) A study on the semiotic interpretation model of the village culture contents. Ph. D., Inha University 

  14. Mcmillian DW, Chavis DM(1986) Sense of community: a theory and definition. Am J Community Psychol 14, 6-23 

  15. Moon SJ(2013)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for sustainable Maeul community. The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Welfare. Korean J Public Soc 3(2), 36-48 

  16. Na JS(2013)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eul community: toward the actualization of Maeul humanities. Korean J Soc Philos 26, 1-32 

  17. OECD(2006) The new rural paradigm: policies and governance. Paris: OECD 

  18. Park KB(2012)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in the making rural villag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eaders. Korean J Korean Inst Rural Archit 14(3), 41-50 

  19. Park SH(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asuring outcomes of community participatory projects. Korean J Community Welf 49, 296-297 

  20. Ryu MO(2015) transmission of folksongs and the present meaning of narration in Chilgok-Gun,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n J the Folklore Studies 30, 187-210 

  21. Song IH(2010) Challenge conditions and the success of the community building movement. Korean J Stud Local Govern Auton 14, 33-64 

  22. Tae JH(2014) Research of Memorial Culture. Seoul: Communicationbooks 

  23. Yeo KH(2013) A study on the growth of community through Maeul-mandeulgi: focused on the Jangsu village, Seongbuk-gu. Korean J Urban Manag Assoc 26(1), 53-87 

  24. Yin RK(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