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라믹-금속 기반 LED 어레이 패키지의 저온동시소성시 휨발생 억제 연구
Low Temperature Co-firing of Camber-free Ceramic-metal Based LED Array Package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3 no.4, 2016년, pp.35 - 41  

허유진 ,  김효태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출력 LED 조명용 패키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열은 LED의 광출력과 수명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등용 고출력 LED 패키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열을 하기 위하여 방열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구조인 chip-on-a-heat sink 구조를 가지는 세라믹-메탈 기반의 패키지를 제조하였다. 열확산 기능을 하는 heat sink 기판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을, LED 어레이 회로를 형성하는 절연막으로는 저온동시소성용 glass-ceramics을 사용하였다. 특히 열처리 시 가장 이슈가 되는 세라믹-금속 하이브리드 패키지 기판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glass-ceramic 절연막을 부분 코팅함으로써 휨현상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LED 패키지의 방열특성의 향상 즉 열저항도 기존의 MCPCB 패키지나 전면 코팅형 절연막 패키지에 비해 훨씬 낮아지는 효과를 얻었을 뿐 아니라, 세라믹 코팅소재의 절감효과도 볼 수 있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ramic-metal based high power LED array package was developed via thick film LTCC technology using a glass-ceramic insulation layer and a silver conductor patterns directly printed on the aluminum heat sink substrate. The thermal resistance measurement using thermal transient tester revealed tha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와 같이 세 가지 종류의 single chip이 실장된 표준 prototype LED 패키지를 제작하였다. 그림의 (a)는 기준시료로서 기존의 MCPCB형패키지, (b)는 세라믹-금속 하이브리드 패키지로서 세라믹 절연막 전면코팅형, 그리고 (c) 세라믹 절연막 부분코팅형으로서 이 세 가지 패키지의 규격사양은 모두 같게하여 오로지 방열특성만의 차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출력 LED 어레이 패키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열을 하기 위하여 방열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구조인 CoH 구조를 가지는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기판을 적용한 LED 어레이 패키지를 제조하였다. 세라믹-금속 이종소재를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특히 열처리 시 가장 이슈가 되는 패키지 기판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알루미늄기판에 glass-ceramic 절연막을 부분코팅 함으로써 휨 현상이 전면코팅형에 비해 1/10로 줄어 들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고방열 패키지 디자인 중에서 방열효과가 우수한 CoH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LED 패키지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특히 열확산 소재로서 알루미늄 메탈 기판을 쓰고 그 위에 기존의 유기소재인 에폭시보다 열전도도가 양호한 glass-ceramic 소재를 후막공정(thick film process)을 써서 절연막으로 코팅하고, 최종적으로 다수의 LED 소자를 직병렬(series and parallel)의 array 회로로 배열하기 위하여 저온소결 가능한 은(Ag) 전극 페이스트(paste)를 인쇄하여 알루미늄 기판과 동시소성(co-fi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및 금속과 세라믹 간의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기판의 휨 (camber 또는 warpage)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고는 이 금속-세라믹 이종접합구조를 가지는 LED 패키지용 하이브리드 절연기판의 휨발생을 억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 금속기판상에 도포되는 절연막 전면코팅과 LED 소자가 실장되는 solder pad 부위 및 이들 소자간의 직병렬 회로 연결interconnect 부분에만 절연막을 도포하는 절연막 부분코팅 기판회로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 위와 같이 준비된 건조 시료는 전기로를 사용하여 540℃에서 40분간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세라믹 절연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승온 및 냉각속도는 모두 10℃/min으로 하였으며, 기판시료가 외부 대기 온도 수준인 50℃ 이하로 냉각된 다음에 전기로에서 꺼내어 열충격으로 인한 세라믹 절연층의 균열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알루미늄 금속기판상에 도포되는 절연막 전면코팅과 LED 소자가 실장되는 solder pad 부위 및 이들 소자간의 직병렬 회로 연결interconnect 부분에만 절연막을 도포하는 절연막 부분코팅 기판회로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절연막 열처리 후 금속-세라믹 하이브리드 기판의 휨의 억제 정도를 정량화하여 측정하고, 열저항(thermal resistance) 측정법을 사용하여 LED 어레이 패키지의 방열효과가 개선되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6. Schematic of the prototype LED packages for the comparison of thermal resistances: (a) conventional FR-4 based MCPCB and (b) ceramic-metal based PCB covered with glass-ceramic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 조명용 패키지 제조에 있어 발열이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Light emitting diode(LED) 조명용 패키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열은 LED의 광출력과 수명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LED 소자의 동작온도(junction temperature)가 10oC 상승함에 따라 소자의 광출력은 약 15% 감소되고 수명은 약 2배나짧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어 LED 소자의수명연장과 광출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방열 대책이 이루어져야 한다.1-3) 전자기기나 패키지의 방열 대책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우선 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구나 소자의 물리적 디자인을 통해 방열을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기본적인 방열디자인에 더해 고열전도의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열의 전달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LED 패키지에 있어서 방열 효과를 고려한 디자인의 패키징 기술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LED 패키지에 있어서 패키지의 구조 즉 다양한 디자인의 패키징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으로는 기존의 에폭시 기반 소재로 제조된 일반 flame retardant epoxy base printed circuit board(FR-4 PCB), 여기에 thermal-via를 형성하여 이 통로를 통해 열을 방출시키거나, 구리나 알루미늄 열 확산층이 내재된 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MCPCB)와 같은 유기소재(organic material)-금속 기반의 방열 패키지가 있다.4) 최근에는 열전도율이 0.1~0.2 W/m·K 내외의 상대적으로 낮은 유기소재 기판을 열전도도가 3~4 W/m·K 이면서 1,000oC 이하의 저온에서 소결 가능한 glass-ceramic 소재 또는20~150 W/m·K로 매우 높은 알루미나(Al2O3), 질화규소(Si3N4) 또는 질화알루미늄(AlN) 등의 고온소결 (1,500oC이상) 세라믹소재를 절연기판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5,6) 여기에 더하여 이전에 PCB 기판과 방열 heat sink 블록사이에 접착제로 사용하던 thermal tape이나 thermal pad,또는 thermal grease/compound 등과 같은 thermal interface material(TIM)을 사용하지 않고 heat sink를 기판으로 하고 여기에 절연층을 직접 형성 시켜, 그 위에 열원인 LED소자를 바로 실장하는 chip-on-a-board(CoB) 또는 chip-on-a-heat sink(CoH) 디자인을 적용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6,7)
전자기기나 패키지의 방열 대책에는 무엇이 있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LED 소자의 동작온도(junction temperature)가 10oC 상승함에 따라 소자의 광출력은 약 15% 감소되고 수명은 약 2배나짧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어 LED 소자의수명연장과 광출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방열 대책이 이루어져야 한다.1-3) 전자기기나 패키지의 방열 대책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우선 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구나 소자의 물리적 디자인을 통해 방열을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기본적인 방열디자인에 더해 고열전도의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열의 전달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Philips, "White Paper: Street Lighting" (2014), from www.philips.com. 

  2. S. Liu and X. B. Luo, "LED Packaging for Lighting Applications: Design, Manufacturing and Testing", John Wiley & Sons (2011). 

  3. P. Mottier, "LEDs for Lighting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08). 

  4. H. W. Shin, H. S. Lee, J. H. Bang, S. H. Yoo, S. B. Jung and K. D. Kim, "Variation of Thermal Resistance of LED Module Embedded by Thermal Via", J. Microelectron. Packag. Soc., 17(4), 95 (2010). 

  5. M. Arik, C. Becker, S. Weaver and J. Petroski, "Thermal Management of LEDs: Package to System", Proc.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 State Lighting, San Diego, 5187, 64 (SPIE) (2004). 

  6. M. Kang and S. Kang, "Influence of $Al_2O_3$ Additions on the Crystallization Mechanism and Properties of Diopside/anorthite Hybrid Glass-ceramics for LED Packaging Materials", J. Cryst. Growth., 326, 124 (2011). 

  7. J. K. Sim, K. Ashok, Y. H. Ra, H C. Im, B. J. Baek and C. R. Lee, "Characteristic Enhancement of White LED Lamp us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chip on Board Package", Curr. App. Phys., 12, 494 (2012). 

  8. H. M. Cho, H. J. Kim, C. S. Lee, K. S. Bang and N. K. Kang, "Warpage of Co-fired High K/Low K LTCC Substrate", J. Microelectron. Packag. Soc., 11(3), 7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