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ip-on-board 형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기판을 적용한 50와트급 LED 어레이 모듈의 제조 및 방열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Heat Transfer Property of 50 Watts Rated LED Array Module Using Chip-on-board Type Ceramic-metal Hybrid Substrate 원문보기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v.25 no.4, 2018년, pp.149 - 154  

허유진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  김효태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로등 및 방폭등용 고출력 LED 조명 시스템의 광원으로서, 다수의 LED 칩이 실장된 50와트급 LED 어레이 모듈을 chip-on-board형 고방열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고방열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기판은 고열전도 알루미늄 금속 열확산 기판에 저온소결용 글라스-세라믹 절연 페이스트와 은 전극 페이스트를 후막 스크린 공정에 의해 도포한 다음, 건조 후 $515^{\circ}C$에서 동시소성하여 LED 칩을 실장할 세라믹 절연층과 은전극 회로층을 형성하여 제조하였다. 이 하이브리드 기판의 방열특성 평가를 위한 비교 샘플로서 기존의 에폭시 기반 FR-4 복합수지로 만든 써멀비아형 PCB 기판에도 동일한 디자인의 LED 어레이 모듈을 제작한 다음, 다중채널 온도측정장치와 열저항 측정기로 방열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4{\times}9$ type LED 어레이 모듈에서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기판의 열저항은 써멀비아형 FR-4 기판에 비하여 약 1/3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곧 방열성능이 적어도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fabrication and heat transfer property of 50 watts rated LED array module where multiple chips are mounted on chip-on-board type ceramic-metal hybrid substrate with high heat dissipation property for high power street and anti-explosive lighting system. The high heat transf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로등용 150와트급의 고출력 LED 조명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수의 LED 소자가 실장된 50와트급의 LED 어레이 서브 모듈(LED array sub-module), 이하 LED 어레이 모듈, 을 제작하고 이 서브 모듈 3개를 함께 어셈블리한 150 와트급 고효율 가로등용 LED 조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50 와트급의 LED 어레이 모듈을 제작함에 있어서 고방열 성능의 chip-on-board 형의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절연기판에 LED 어레이 모듈을 제작하여 이것과 동일 규격의 기존의 써멀비아형(thermal-via type) FR-4 PCB로 제작한 모듈과의 방열성능, 즉 열저항(thermal resistance)을 비교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가로등용 150와트급의 고출력 LED 조명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수의 LED 소자가 실장된 50와트급의 LED 어레이 서브 모듈(LED array sub-module), 이하 LED 어레이 모듈, 을 제작하고 이 서브 모듈 3개를 함께 어셈블리한 150 와트급 고효율 가로등용 LED 조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50 와트급의 LED 어레이 모듈을 제작함에 있어서 고방열 성능의 chip-on-board 형의 세라믹-메탈 하이브리드 절연기판에 LED 어레이 모듈을 제작하여 이것과 동일 규격의 기존의 써멀비아형(thermal-via type) FR-4 PCB로 제작한 모듈과의 방열성능, 즉 열저항(thermal resistance)을 비교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폭등 조명 시스템은 어디서 많이 사용되어 왔는가? 지금까지 일반 도로, 광장, 그리고 건물 및 공장 플랜트와 같은 실외 조명용 가로등과 방폭등(anti-explosive lighting) 조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할로겐, 제논 램프 등 다양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광원은 대체로 높은 에너지 소모, 짧은 수명, 취약한 내구성과 폐기시 각종 유해물질의 유출로 환경 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LED 광원의 조명시스템을 가로등이나 방폭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친환경, 저 에너지, 그리고 장수명이 특징인 LED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고출력 실외 조명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보다 저전력에 높은 효율의 광 출력과 장수명화를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5) LED 광원의 조명시스템을 가로등이나 방폭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50~200 와트(watts) 급의 고출력 LED 모듈이 필요하다.
할로겐, 제논 램프의 문제점은? 지금까지 일반 도로, 광장, 그리고 건물 및 공장 플랜트와 같은 실외 조명용 가로등과 방폭등(anti-explosive lighting) 조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할로겐, 제논 램프 등 다양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들 광원은 대체로 높은 에너지 소모, 짧은 수명, 취약한 내구성과 폐기시 각종 유해물질의 유출로 환경 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친환경, 저 에너지, 그리고 장수명이 특징인 LED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고출력 실외 조명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보다 저전력에 높은 효율의 광 출력과 장수명화를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Philips, "White Paper: Street Lighting", (2014), from www.philips.com. 

  2. S. Liu and X. B. Luo, "LED Packaging for Lighting Applications: Design, Manufacturing and Testing", Wiley and Chemical Industry Press (2011). 

  3. P. Mottier, "LEDs for Lighting Applications", Wiley (2008). 

  4. H. W. Shin, H. S. Lee, J. H. Bang, S. H. Yoo, S. B. Jung, and K. D. Kim, "Variation of Thermal Resistance of LED Module Embedded by Thermal Via", J. Microelectron. Packag. Soc., 17(4), 95 (2010). 

  5. M. Arik, C. Becker, S. Weaver, and J. Petroski, "Thermal Management of LEDs: Package to System",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 State Lighting, Proc. 48th SPIE. 5187, 64 (2004). 

  6. M. Kang and S. Kang, "Influence of $Al_2O_3$ Additions on the Crystallization Mechanism and Properties of Diopside/anorthite Hybrid Glass-ceramics for LED Packaging Materials", J. Cryst. Growth., 326, 124 (2011). 

  7. J. K. Sim, K. Ashok, Y. H. Ra, H C. Im, B. J. Baek, and C. R. Lee, "Characteristic Enhancement of White LED Lamp us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chip on Board Package", Curr. App. Phys., 12, 494 (2012). 

  8. Y. J. Heo, H. T. Kim, S. Nahm, J. H. Kim, Y. J. Yoon, and J. H. Kim, "Ceramic-metal Package for High Power LED Lighting", Frontiers of Optoelectronics, 5(2), 133 (2012). 

  9. Y. J. Heo and H. T. Kim, "Low-temperature Co-firing of Camber-free Ceramic-metal Base LED Array Package," J. Microelectron. Packag. Soc., 23(4), 35 (2016). 

  10. H. M. Cho, H. J. Kim, C. S. Lee, K. S. Bang, and N. K. Kang, "Warpage of Co-fired High K/Low K LTCC Substrate", J. Microelectron. Packag. Soc., 11(3), 77 (2004). 

  11. A. Poppe, G. Farkas, and G. Horvath, "Electrical, Thermal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Power LED Assemblies", Proc. 12th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rmal Investigations of ICs (THERMINIC 2006), Nice, France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