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상관관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2, 2016년, pp.90 - 97  

고유라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timing and depressive mood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2007~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541,693 students in grades 7~12 were included in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변수 외에 수면시간(sleep duration) 및 수면의 질(sleep quality)로 보정한 뒤에도 수면시작시간(sleep timing)이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며, 특히 수면시작시간을 세분하여 정확히 몇 시에 자는 것이 가장 우울감과 관련이 높은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2007년부터 2015년까지의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기획되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의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거주 지역, 사회경제적 수준, 학업성적, 흡연, 음주, 신체활동으로 보정한 뒤에도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관계가 유의하였으며, 특히 여학생은 늦게 자는 경우에 우울감이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면시작시간(sleep timing)과 우울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요인은? 이러한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수준, 부모와의 동거여부, 학업 스트레스, 흡연, 음주, 약물남용, 수면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4], 이 중 수면은 다른 사회경제적 요인에 비해 청소년 스스로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의의가 있다.
청소년에게 수면문제가 미치는 영향은? 성인에서 수면문제가 있는 경우 우울감이 자살 충동과 연결되며[5], 우울보다 수면문제가 먼저 선행하는 경향을 보였다[6]. 청소년에서도 수면문제가 있는 경우, 높은 우울감과 높은 자살충동, 낮은 학업적 성취가 관찰되었다[7-9]. 또한, 청소년은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수면이 요구되는데,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 및 사교육, 인터넷, 비디오게임 등으로 수면시작시간이 지연되어 있어[10], 수면과 우울의 문제는 성인보다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몇 시에 자는지가 우울과 관련이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기존에는 수면시작시간이 직접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수면의 질이나 수면시간에 매개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면의 질로 보정하면 수면패턴과 우울의 관련이 사라지는 것이 관찰된 바 있다[1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 달리 총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로 모두 보정하여도 우울과 유의한 관련성이 유지되어, 수면시작시간이 수면시간이나 수면의 질과는 독립적으로 우울과 관련됨이 확인되었다. 즉, 늦게 자서 수면시간이 부족해서 라던지, 깊게 수면을 취하지 못해서 우울해지는 것이 아니라, 몇 시에 자는지가 우울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rk JI, Park CU, Seo HY, Youm YS. Collection of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0;44(2):121-154. 

  2.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Nine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2013.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3. Park EO, Sohn SY. The relating factors o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9;22(1):85-95. 

  4. Kim SM, Ko HY, Park SH, Yang EJ.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12;18(4):533-555. 

  5. Riemann D, Berger M, Voderholzer U. Sleep and depression - results from psychobiological studies: an overview. Biological Psychology. 2001;57(1-3):67-103. http://dx.doi.org/10.1016/s0301-0511(01)00090-4 

  6. Skouteris H, Germano C, Wertheim EH, Paxton SJ, Milgrom J.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 prospective study. Journal Sleep Research. 2008;17(2): 217-220. http://dx.doi.org/10.1111/j.1365-2869.2008.00655.x 

  7. Lee JJ, Kang JH, Rhie SK, Chae KY.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013;21(3):100-110. 

  8. Park, HJ. Effect of sleep durat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1):1-9. http://dx.doi.org/10.15434/kssh.2015.28.1.1 

  9. Kim KM, Youm YS.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mpulse of Korean adolescents: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effects and gender differ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2):314-325.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2.314 

  10. Carskadon MA.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of adolescents. In: Carskadon MA. Adolescent sleep patterns: B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p. 4-26. 

  11. Gangwisch JE, Babiss LA, Malaspina D, Turner JB, Zammit GK, Posner K. Earlier parental set bedtime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leep. 2010;33(1): 97-106. 

  12. Kim JK, Cho KJ. Sleep quality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29(2):355-370. 

  13. Gradisar M, Gardner G, Dohnt H. Recent worldwide sleep patterns and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age, region, and sleep. Sleep Medicine. 2011;12(2): 110-118. http://dx.doi.org/10.1016/j.sleep.2010.11.008 

  14. Tochigi M, Usami S, Matamura M, Kitagawa Y, Fukushima M, Yonehara H, et al. Annual longitudinal survey at up to five time points reveals reciprocal effects of bedtime delay and depression/anxiety in Adolescents. Sleep Medicine. 2016;17(January): 81- 86. http://dx.doi.org/10.1016/j.sleep.2015.08.024 

  15. Lee YJ, Kim SJ, Cho IH, Kim JH, Bae SM, Koh SH, et al.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 in an urban area of South Korea.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9;16(2):85-90. 

  16. Ford DE, Kamerow DB. Epidemiologic study of sleep disturbances and psychiatric disorder. JAMA. 1989;1479-1484. http://dx.doi.org/10.1001/jama.1989.034301100690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