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향상 프로그램 중재효과
The Intervention Effect of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81 - 95  

송명경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숙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is wa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mployed a pre-post design of a non-equivalenc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MMSE-D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2009)이며, 각 도구 간 세부 항목 및 시행방법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대상자라도 도구에 따라 점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건복지부는 검사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고자 최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으로 하여금 MMSE-DS를 개발하도록 하였다. 이에 K-MMSE (Kang et al.
  •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인지향상 프로그램은 독서요법(Hwang & Park, 2010), 원예활동(Yoon & Sung, 2017), 미술활동(Kim, 2015), 운동과 인지활동 등을 통합한 프로그램(Lee & Park, 2007; Kim & Kim, 2015) 등으로 제한적이었다. 그러므로 선행연구를 통해 효과가 보고된 수학적 활동과 독서요법을 활용한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함으로써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 감소, 자아존중감 증진을 통해 치매로의 진행을 늦추고, 치매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실시된 인지향상 프로그램관련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치매가 진행 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작업치료, 운동치료, 신체활동, 회상치료, 음악치료, 원예치료 등을 적용하여 인지, 신체, 정서 등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치매에 이환되기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노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Kim & Shim,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예방적 간호 중재를 통한 치매의 진행을 차단하고자 노력하였다.
  • 특히 교육수준이 높은 남자 노인이나 정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성향을 가진 노인의 경우 기존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독려하기 보다는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통해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수학적 활동과 독서요법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인지향상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수학활동과 독서요법을 접목한 인지향상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수학적 활동과 독서요법을 접목하여, 수학동화를 기본교재로 종이접기, 칠교놀이 및 퍼즐 맞추기, 손 유희 등의 독후활동과 수학 동화책 쓰기 및 읽기, 구구단 쓰기와 외우기 등의 과제수행 등으로 구성된 인지향상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이용하여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개발 및 적용된 인지향상 프로그램은 치매센터에서 흔히 시행되고 있는 원예활동, 운동 프로그램, 웃음치료 등의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유도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특히 교육수준이 높은 남자 노인이나 정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성향을 가진 노인의 경우 기존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독려하기 보다는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활동과 독서요법을 접목하여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교육은 치매예방은 물론 긍정적인 태도형성에도 효과적이며(Go, 2009), 독서요법 또한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감소, 자아존중감 증가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Hwang & Park, 2010) 이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수학적 활동과 독서요법을 접목하여, 수학동화를 기본교재로 종이접기, 칠교놀이 및 퍼즐 맞추기, 손 유희 등의 독후활동과 수학 동화책 쓰기 및 읽기, 구구단 쓰기와 외우기 등의 과제수행 등으로 구성된 인지향상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이용하여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부가설 1-1.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한국형 치매간이 선별검사(MMSE-KC) 점수가 높을 것이다.
  • ∙부가설 1-2.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레이 복합 도형 그리기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copy) 점수가 높을 것이다.
  • ∙부가설 1-6.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숫자 기호화(Digit Symbol Coding)점수가 높을 것이다.
  • ∙부가설 1-4.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점수가 높을 것이다.
  • ∙부가설 1-5.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언어 이해(Comprehension)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1) 가설 1.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3.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아존중감(Self Esteem)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인지향상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둘째, 인지향상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셋째, 인지향상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보건복지부에서 말하는 우리나라 치매 환자수는 몇 명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 유병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치매 환자는 72만 5,000명, 치매 유병률은 10.2%로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는 것으로 추산되며, 2024년에는 100만 명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Jung, 2017).
우리나라에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 유병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치매 환자는 72만 5,000명, 치매 유병률은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ellefield, K. S., & McDougall, G. J. (1996). Increasing metamemory in order adults. Nursing Research, 45(5), 284-90. 

  2. Dixon. R. A. (1989). Questionnaire research metamemory and aging : Issues of structure and function. In L. W. Poon. D. C. Rubi., & B. A. Wilson(Eds). Everyday cognition in adulthood and late life(394-41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4. Folstein, M., Folstein, S., & Mchugh, P.(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5. Gwon, D. I. (2016, September 19). Early detection of dementia is important, Listen to behavior changes. Hankook-Ilbo. Retrieved October 2, 2017, from http://www.hankookilbo.com/v/7a66a1161bc4465b9d8e2c4e7bf6015f 

  6.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Research, 11(1), 107-130. 

  7. Jung, H. Y. (2017, June 2). 1 Million dementia patient in 2024 ... annual saving 5 billion by Early treatment. Seoul News Paper. Retrieved October 2, 2017, from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603003006&wlog_tag3daum#csi dx6b561381fd16188b8c594348e7229b5 

  8. Go, H. K. (2009). The Analysis the Effects of Silver Math Influenced on Brain Activities for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2(4), 509-522. 

  9. Hwang, I. D., & Park. J. S. (2010). Effects of Bibliotherapy of Dotard Dementias Old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383-402. 

  10. Jung, M. S., & Kim, J. H. (2010). Influence of Memory Intensive Training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Memory Performance,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13(2), 161-170. 

  11. Kang, Y. U., Na, D. R., & Ha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2), 300-308. 

  12. Kang, Y. W., Jahng, S. M., & Na, D. R. (2012). Seoul Neuropsychiatric Screening Battery (2nd ed). Incheon: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13. Ki,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14. Kim, H. R., & Yang, M. G. (2013).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450-465. http://dx.doi.org/10.5932/JKPHN. 2013.27.3.450 

  15. Kim, K. A., & Kim, O. S. (2015). The Effects of Exercise-Cognitive Combined Dual-Task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7(6), 707-717. http://dx.doi.org/10.7475/kjan.2015.27.6.7 07 

  16. Kim, K. M. (2015). Effects of Cognitive Enhancement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17. Kim, M. S., Yoon, S. Y., & Oh, E. Y. (2012). Relationships Among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Persons With Decreased Memor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04-416.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 3.404 

  18. Kim, T. H. (correspondent). (2013, December 12). G8 "Development of dementia treatment by 2025" Television Broadcast, Yonhapnews, Transcript. Retrieved October 2, 2017, from http://www.yonhapnews.co.kr/local/0899000000.html?cidMYH20131212003100038&f romsearch 

  19. Kim, Y. O., & Shim, M. S. (2015). Cognitive Functio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219-230. http://dx.doi.org/10.5932/ JKPHN.2015.29.2.219 

  20.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21.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Youn, J. C., et a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3), 508-525. 

  22. Lee, Y. M., & Park, N. H., (2007). The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5), 104-114. 

  23. McDougall, G. J. (2000). Memory impairment in assisted living elder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1(2), 217-233.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cited 2017, October 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 sch/index.jsp?collALL&query%C4%A1% B8%C5%B1%B9%B0%A1%C3%A5%C0%D3%C1%A6 

  25. Park. K. S., Lee, H. G., & Kim, M. E. (2003).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ADL of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1), 69-82. 

  26.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56(6), 303-308. 

  27. Rosenberg, M. (1965). Society at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2009). Standardization of Diagnostic Tools for Dementia (11-1351000-000589-0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9.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evidence and development of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5(12), 165-173. 

  30. Yoon, M. J., & Sung, K. M. (2017).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n Ability for Daily Life and Depression in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 12-21. http://dx.doi.org/10.7587/kjrehn.201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