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개인별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1, 2015년, pp.1 - 10  

박인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최인희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강서영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경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미 (조선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and life-satisfaction for elderly participa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participating in an individual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Methods: A quasi-experimental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명명하기, 수 계산하기, 서술하기 및 회상하기 등을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지기능이 저하된 대상자의 경우 우울 발생률이 증가하고[13,14], 생활만족도가 낮다[15]는 연구결과에 따라 우울과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인지기능 강화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협력병원으로부터 MCI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인지 기능, 우울 및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받는 MCI 대상자에게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가 실시하는 방문건강관리 사업대상자 중 MCI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과 생활만족도가 향상되고, 우울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소가 실시하는 방문건강관리 사업대상자 중 MCI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MCI나 치매와 같이 인지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우울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14], 인지기능 저하가 심할수록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MCI 노인의 우울증을 조기 발견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13].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수행 시 매 회기 때마다 대상자의 과거 경험이나 기억을 충분히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지지하였는데, 이러한 중재 과정 중에 일어난 방문간호사와 대상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대상자들의 우울 증상을 호전시켰을 것으로 생각 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실험중재 중에 노인들이 관련된 경험이나 느낌을 서로 표현하고 청취하는데 주의를 기울이고 격려한 것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였음을 주장한 선행연구결과[29]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 중심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이 방문건강관리사업의 MCI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간호중재법임이 확인되어 향후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는? 본 연구는 보건소가 실시하는 방문건강관리 사업대상자 중 MCI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과 생활만족도가 향상되고, 우울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보건소 중심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은 방문건강관리사업의 MCI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간호중재법임이 확인되어 향후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경도인지장애란? 정상노인에 비해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지만 임상적으로 치매의 기준에는 맞지 않은 상태로[3], 동일 연령대에 비해 경미한 기억력 손상은 있으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정상이며, 주관적인 기억력이 감퇴됨을 호소하나 일반적인 인지기능은 정상범위에 있어,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를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라고 정의한다[4]. MCI의 국내 유병률은 65세 이상 인구의 27.
경도인지장애가 치매의 중요한 인자라는 근거는? 82%로 약 1/4을 상회하는 수준이며[4], 경도의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치매로 진행하는 비율이 년 10~15%로, 정상인이 치매로 진행하는 비율인 년 1~2% 보다 매우 높다[5]. 동일한 대상자에게 각각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정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2008년에는 대상자의 22.3%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있었는데, 2011년에는 31.1%로 증가하여[2]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매우 빠르게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경도인지장애는 치매의 전단계로서 치매의 중요한 위험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provinces: 2010-2040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4 October 2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lish/news/1/1/11/index.board?bmoderead&aSeq271443 

  2. Jung KH, Oh YH, Lee YK, Son CK, Park BM, Lee SY, et 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in the 2011. Polic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lfare & KIHASA; 2012 April. Report No.: 11-1352000-000672-12. 

  3. Choi KG. Neuropathology of MCI-view from relationships with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03;2(2):101-107.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prevalence of dementia research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cited 2014 October 18]. Available from: http://english.mw.go.kr/front_eng/cs/scs0401vw.jsp?PAR_MENU_ID1004&MENU_ID100406&page1&CONT_SEQ270945&tabVal1365&SEARCHKEYTITLE&SEARCHVALUEdementia&reQuery 

  5. Petersen RC, Smith GE, Waring SC, Ivnik RJ, Tangalos EG, Kokmen E.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1999;56(3):303-308. 

  6. Shin KR, Kang YH, Jung DY, Kim MY, Kim JS, Kim MJ,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mpared to elderly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1;23(1):40-49. 

  7. Petersen RC.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4;256(3):183-194. http://dx.doi.org/10.1111/j.1365-2796.2004.01388.x 

  8. Ganguli M, Snitz BE, Saxton JA, Chang CC, Lee CW, Bilt JV, et al. Outcom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definition: A population study. Archives of Neurology. 2011;68(6):761-767. http://dx.doi.org/10.1001/archneurol.2011.101 

  9. Kinsella GJ, Mullaly E, Rand E, Ong B, Burton C, Price S, et al. Early intervention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09;80(7):730-736. http://dx.doi.org/10.1136/jnnp.2008.148346 

  10. Tsolaki M, Kounti F, Agogiatou C, Poptsi E, Bakoglidou E, Zafeiropoulou M, et al.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Degenerative Diseases. 2011;8(3):138-145. http://dx.doi.org/10.1159/000320575 

  11. Han JH, Ko SG, Kwon JH, Jo IH, Ahn SM, Han CS, et al. Efficacy of a multifactorial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in MCI(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7(4):805-821. 

  12. Hong IS, Kim DA, Kim JS, Yoo YJ, Park S. The study of senior-aerobic exercise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evaluation indicator relation in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2011;13(1):23-31. 

  13. Shin KR, Kang YH, Kim MY, Jung DY, Lee E. Prediction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living in th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2):171-182. 

  14. Djernes JK.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epression in populations of elderly: A review. Acta Psychiatirca Scandinavica. 2006;113(5):372-387. 

  15. Hwang RI, Lim JY, Lee YW.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impairment lev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22-631. 

  16. Hahn EA, Andel R.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for behavioral and cognitive symptom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1;23(8):1223-1245. http://dx.doi.org/10.1177/0898264311422745 

  17. Shin MJ, Sohn EN, Kang SK. The effect of the verb usage capability of verb script in a dotard.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2005;23(2):63-77. 

  18. Ha H, Choi E, Jeon J. Effects of group art treatment reflecting reminiscence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health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2;19(2):405-421. 

  19. Kim JS, Jung JS. The effects of a folk play program on cognition, ADL, and problematic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153-1162. 

  20. Yoo SA.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 stud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03;37(2):253-268. 

  21.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198. 

  22. Kang YO, Na DL, Han SH.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997;15(2):300-308. 

  23. Nasreddine ZS, Phillips NA, Bedirian V, Charbonneau S, Whitehead V, Collin I, et al.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 brief screening tool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4):695-699. 

  24. Lee JY, Lee DW, Cho SJ, Na DL, Jeon HJ, Kim SK, et al.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008;21(2):104-110. http://dx.doi.org/10.1177/0891988708316855 

  25.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26. Chon KK, Rhee MH.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92;11(1):65-76. 

  27. Stones MJ. Kozma A. The measurement of happiness: development of th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cale of happiness (MUNSH). Journal of Gerontology. 1980;35(6):906-912. 

  28. Youn J. A study of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Paper presented at: Korean Psychologi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1982 November 22;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Chu SK, Yoo JH, Lee CY.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049-1060. 

  30. Kim S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03;2(2):96-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