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 K2(Menaquinone-7) 함유 청국장 분말의 섭취가 폐경기 여성의 뼈건강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tamin K2 (Menaquinone-7) in Cheongukjang Powder on Bone Health Circul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6, 2016년, pp.978 - 984  

방선옥 ((주)참고을) ,  김금숙 ((주)참고을) ,  정민홍 (국방기술품질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teoporosis is a disease that often occur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Cheongukjang powder containing menaquinone-7 (MK-7) on bone health circul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Fifty-six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into a randomi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를 함유하는 청국장의 골 건강 개선에 대한 임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 이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중맹검법을 통하여 비타민 K2(menaquinone-7, 이하 MK-7)를 함유하는 청국장 분말 섭취가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에 주는 효과를 보고,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이란 무엇인가? 폐경이란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소가 노화되어 나타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폐경 이후 여성은 난소 기능이 떨어지면서 배란 및 여성 호르몬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골다공증은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골 흡수와 골 손실이 증가하여 골밀도가 감소하면서 일어나게 되는데(Melton 등 1993; Kim & Kim 2013), 폐경 이후 연령의 증가에 따라 그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고 있는 약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는 대표적으로 bisphosphonates, estrogens,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 calcitonin, 부갑상선 호르몬이 있다(Yoon & Kim 2005; Lewiecki EM 2008).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최소 5년 이상의 장기간 동안 사용해야 하며, 장기 복용으로 인한 체중증가, 암, 고혈압 발생 등의 부작용이 제시되고 있어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 특히 natto는 콩을 발효시킨 식품으로 natto에 들어있는 비타민 K 2 (menaquinone)가 골 건강 개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ertynski & Stachowiak 2006),
비타민 K 2가 골대사에 관여하는 기작은 무엇인가? 비타민 K 2 는 골 대사에 관여함이 밝혀져서 해외에선 골다공증 치료 제로 쓰이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특정보건용식품으로 뼈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비타민 K 2 는 골형성을 돕고, 골흡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Koshihara 등 2003), 그 기작은 뼈에 존재하는 osteocalcine이라는 단백질의 glutamine acid residue를 γ-carboxyl glutamic acid를 갖는 γ-carboxylated osteocalcin으로 만들고, 이것이 hysdroxyapatite와 결합하여 뼈의 석회화를 촉진하는 것이다(Shearer MJ 1995). Hara 등(1995) 은 비타민 K 2 가 뼈에서 칼슘 용출을 억제하고,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반면에, 같은 농도의 비타민 K 1 에서는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elmas PD. 1991.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 methodology and clinical use in osteoporosis. Am J Med 91:59s-63s 

  2. Feinblatt J, Belanger LF, Rasmussrn H. 1970. The effect of phosphate infusion on the bone metabolism and parathyroid hormone action. Am J Physical 218:1624-1631 

  3. Garmero P, Delmas PD. 1996. New developments in biochemical markers for osteoporosis. Calcif Tissue Int 59:2-9 

  4. Hara K, Akiyama Y, Nakamura T, Murota S, Morita I. 1995. The inhibitory effect of vitamin $K_2$ (menatetrenone) on bone resorption may be related to its side chain. Bone 16:179-184 

  5. Kaneki M, Hodges SJ, Hosoi T, Fujiwara S, Lyons A, Crean SJ, Ishida N, Nakagawa M, Takechi M, Sano Y, Mizuno Y, Hoshino S, Miyao M, Inoue S, Horiki K, Shiraki M, Ouchi Y, Orimo H. 2001. Japanese fermented soybean food as the major determinant of the large geographic difference in circulating levels of vitamin $K_2$ : possible implications for hip-fracture risk. Nutrition 17:315-321 

  6. Kim HS, Kim HR. 2013. Comparison of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hysical activity, and diet habits between the fifties and sixties i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Biol Nurs Sci 15:133-138 

  7. Kim IG, Kim SB, Kim JG, Kim KC, Chun KC, Park HK, Lee KS. 1993. Serum enzyme as indicators of radiation exposure in rat. J Radiat Prot 18:37-44 

  8. Kim JH. 2002.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living in community dwellings. Ph.D. Thesis, The Catholic Univ. Seoul. Korea 

  9. Kim KY, Ham YT. 2003. Recent studies about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ookjang and functional enhancement with genetic engineering. J Gene Eng 16:1-18 

  10.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eongukja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40-46 

  11. Koshihara Y, Hoshi K, Okawara R, Ishibashi H, Yamamoto S. 2003. Vitamin K stimulates osteoblastogenesis and inhibits osteoclastogenesis in human bone marrow cell culture. J Endocrinol 176:339-348 

  12. Krall EA, Dawson-Hughes B. 1997. Smoking increases bone loss and decreases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J Bone Miner Res 14:215-220 

  13. Lewiecki EM. 2008.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Obstet Gynecol Clin North Am 35:301-315 

  14. Lim SG. 1994. Clinic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bone turnover markers. Korean J Bone Metab 1:1-11 

  15. Liu G, Peacock M, 1998. Age-related changes in serum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and its relationships with bone density, bone quality, and hip fracture. Caickf Tissue Int 62:286-289 

  16. Melton LJ, Atkinson EJ, O'Fallon WM, Wahner HW, Riggs BL. 1993. Long-term fracture prediction by bone mineral assessed at different skeletal sites. J Bone Miner Res 8:1227-1233 

  17. Park JY, Choi MY, Lee SH, Choi YH, Park YY.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one turnover markers, and nutrient intake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44:29-40 

  18. Pertynski T, Stachowiak G. 2006. Menopause-facts and controversies. Endokrynol Pol 57:525-534 

  19. Sang JH, Park HM. 2011. Review of chronic diseases prevalence in Korean postmenopausal woman :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Korean J Obstet Gybecol RE-23:144 

  20. Shearer MJ. 1990. Vitamin K and vitamin K-dependent proteins. Br J Haematol 75:156-162 

  21. Shearer MJ. 1995. Vitamin K. Lancet 345:229-234 

  22. Statistics Korea. 2015. The statistics of women's lives. Avaliable from http://kostat.go.kr [cite 2016 June 28] 

  23. Szulc P, Arlot M, Chapuy MC, Duboeuf F, Meunier PJ, Delmas PD. 1994. Serum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correlates with hip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women. J Bone Miner Res 9:1591-1595 

  24. Wu WJ, Lee HY, Lee GH, Chae HJ, Ahn BY. 2014. The antiosteoporotic effects of cheongukjang containing vitamin $K_2$ (menaquinone-7)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Food Nutr 17:1298-1305 

  25. Yang TS, Tsan SH, Chen CR, Chang SP, Yuan CC. 1998. Effects of alendronate on bone turnover markers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Zhonghua Yi Xue Za Zhi (Taipei) 61:568-576 

  26. Yeo MG, Song SH, Lee JK, Hur JY, Saw HS, Park YK, Chough SY. 2000. Clinical usefulness of alendronate for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Obstet Gynecol 43:2003-2007 

  27. Yoon SH, Kim JG. 2005. Current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Korean J Obstet Gynecol 48:844-8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