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안전문화의 정량적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ssessment indicator of safety culture for the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2 no.4 = no.34, 2016년, pp.403 - 411  

Jun, Heakyung (Department of Beauty of Hanse University of Hansero) ,  Kwon, Changhee (Department of Beauty of Hanse University of Hansero)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안전문화수준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건설현장의 안전문화수준 및 각 안전문화 요소의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사고 예방을 위해 중점적으로 개선하여야 하는 분야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안전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기존 안전문화 연구에서 안전문화의 중요 요소로 도출된 항목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안전문화 요소에 대해 건설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AHP 분석방법론을 이용하여 건설안전문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건설안전문화 평가지표는 리더십, 시스템, 개인적 특성의 세부 항목들을 구조화하고 쌍대비교하여 가중치를 도출함으로써 세부 중요 평가지표를 정량화하여 건설안전문화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건설 안전문화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각 건설현장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개선하여야 하는 방향을 도출하고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nstruction safety culture level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by evaluat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and each safety culture elements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present the areas that shou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안전문화 평가지표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분석과 델파이와 AHP가 결합된 DHP 기법을 통해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평가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안전문화 평가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한다. 이러한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평가요인을 정해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문화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실시할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향후 건설현장 표본을 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문화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적 지표의 선정을 위해 AHP 방법을 통해 접근해보았다. 구성원들의 가치와 태도 등의 인적요인이 안전사고 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기존 문헌의 결과는 건설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안전문화 성숙화를 통한 휴먼 에러의 감소노력을 제시할 수 있는 실용적 평가모델의 필요성을 지적해준다.
  • 구성원들의 가치와 태도 등의 인적요인이 안전사고 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기존 문헌의 결과는 건설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안전문화 성숙화를 통한 휴먼 에러의 감소노력을 제시할 수 있는 실용적 평가모델의 필요성을 지적해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문화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측정하고 공사유형별, 직무별, 공종별 안전 문화수준을 비교하여 수치화된 안전문화 수준의 제시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우선적으로 집중하여 개선하여야 할 영역을 선정할 수 있도록 효과적 안전문화 평가 및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안전문화 평가지표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분석과 델파이와 AHP가 결합된 DHP 기법을 통해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평가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안전문화 평가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한다. 이러한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평가요인을 정해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문화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실시할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향후 건설현장 표본을 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문화는 어디서 처음 사용되었는가? 안전문화(Safety Culture)라는 용어가 쓰인 것은 체르노빌 원전사고 조사에서 사고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발표한 최초의 보고서 “Summary Report on the Post-Accident Reveiw Meeting on the Chernobyl Accident"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여러 분야에서 안전문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정의가 진행되고 있다.[17]
AHP의 수행 절차는 어덯게 이루어져 있는가? AHP는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정량적으로 분석이 어려운 요소의 가중치를 구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수행 절차는 비교 대상의 구조화 단계, 쌍대비교 단계, 가중치 도출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안전문화는 어떠한 요소들의 평가가 이루어지는가? 그러나 안전문화는 안전분위기와 경영자의 리더십, 조직의 시스템, 구성원의 참여도 등의 안전역량의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평가는 평가자와 주관적인 평가에 좌우되는 경향이 많아 숙련된 평가자가 아닐 경우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실질적인 안전문화 개선방안의 도출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안전문화가 건설현장 사고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문화 저하로 인한 건설현장 사고 변화를 분석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Jong-Won.(2013).High-rise apartment safetymanagement plan. Jou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9th No2 pp.178-187 

  2. Lee Gang-Joon, Kwon Oh-Young (2005). Psychological Processes of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Construction of safety system and application of psychology.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Experiment,17(3). 

  3. Kim Ae-ree. (2012). "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workers' work ability and job stresses on the occurrence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4. Robert S. Krzywicki Michael B. Keesey(2011). Using the Safety Perception Survey to Assess Your Organization' Safety Culture 

  5. Park Ki-chan, Park Jae-hong, Jo Jung-Rae(2015). Competence-Evaiuation Modeling for Positive Safety Culture: in and Around of Nuclear Power Industry. 8th No2 p205 

  6. kim chang-mo.(2016). "Study on improving safety culture level through the gap analysis of safety consciousness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7. Shim Kyu-burm.Moon Ji-sun(2011),Key issues and countermeasures for industrial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8. Park Hong-yoon(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Safety and Health Culture Certification Model and Standards. Korea Occupation Safety & Health Agency. 

  9. Wiegmann, Zhang, Thaden, Sharma, Mitchell, 2002, A Synthesis of Safety Culture and Safety Climate Research, FAA, p3 

  10. Partankar, Brown, Sabin, Bigda- Peyton, 2011, Safety Culture, Ashgate, p27 

  11. David Meister, Advance in Human Factors/Ergonomics: 5 Human Factors Testing and Evaluation, Elevier, 1986 

  12. IAEA, "2014 IAEA Safety Culture Event, 18-22 Nov 2013 Training Workshop on the IAEA's Safety Culture Assessmen Methodology", Presentation material, 2013 

  13. KHNP, Nuclear Safety Culture enhancement and assessment procedure, KHNP procedure:standard. 

  14. NEI, Fostering a Strong Nuclear Safety Culture, NEI09-07 [Rev0] draft, NEI, 2009 

  15. SM Park, KJ Lee.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ntitative Indicators for Safety Cultur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9, No.3, 2015 P404 

  16. Thaden, Gibbons, 2008, The Safety Culture Indicator Scale Measurement System, FAA 

  17. IAEA, Summary Report on the Post-Accident Review Meeting on the Chernobly Accident, Safety Series No.75, INSAG-1, 1986 

  18. IAEA, ASCOT Guidelines, IAEA-TECDOC-860, 1996 

  19. SM Park, KJ Lee.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ntitative Indicators for Safety Cultur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JKEIA), Vol 9, No.3, 2015 P404 

  20. MS Jae, KY Han,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for Evaluating Nuclear Safety Culture, 2015 

  21. SH Park, Development of Safety Culture Evaluation Model for Private Security,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