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6, 2019년, pp.65 - 75  

송기석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  안병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  임종국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s of manufacturing workers, and to suggest ways for manufacturing workers to understand the safety culture and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is,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최근 산업재해는 제조업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제조업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8).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조업 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제조업 근로자들이 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안전의식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문화와 안전 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 둘째, 안전문화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안전의식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안전문화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행동이란? 안전의식에는 안전행동이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데, 안전행동이란 개인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행동으로,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절차를 따르거나 안전 활동에 참여하는 등 위험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받지 않으려는 행동을 뜻한다. 이처럼 안전행동은 업무수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동이다.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지만 산업재해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동안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지만, 산업재해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의 다양화와 취업인구의 증가, 고위험산업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제조업의 유해․위험 기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반해, 정부의 지도 감독 중심의 정책만으로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고위험 제조공정 시설 장비의 공학적 고도화와 개선․구축을 통해 많은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지만, 안전문화 정착 없이는 공학적인 방법만으로는  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2)
안전에 대한 개인 및 집단적 태도뿐만 아니라 조직의 의사결정을 좌우할 수도 있는 공유된 가치, 믿음, 가정 및 규범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안전문화에 대해 Ciavarelli는 안전에 대한 개인 및 집단적 태도뿐만 아니라 조직의 의사결정을 좌우할 수도 있는 공유된 가치, 믿음, 가정 및 규범이라고 강조하였다3). 미국화학공정안전센터(CCPS: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는 “안전문화란 공정안전관리를 정확히 실시하기 위해 모든 구성원이 공동으로 안전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7", 2018. 

  2. S. H. An and Z. Zhang, "Improving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4, No. 5, pp. 454-455, 2014. 

  3. Ciavarell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uman Factors Checklist for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Forum-International Society of Air Safety Investigation, Vol. 23, No. 4, 1996. 

  4. International Relations Team, "Internationa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s", CCPS, 2015. 

  5. H. S. Kw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by Workplace Size and Work Type in the Group Company", J. Korean Soc. Saf., Vol. 32, No. 6, pp. 125-130, 2017. 

  6. M. Y.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Culture for Safety Performanc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2017. 

  7. S. K. Lee and C. B. Park and Y. S. Yeon, "Research about Researcher's Safety Ethnic Level and Improvement Extent of Safety Culture, Based on Organizational Safety Efforts", J. Korean Soc. Saf., Vol. 30, No. 3, pp. 123-134, 2015. 

  8. J. Y. Lee, "Effects of Education which is an Element of the Safety Culture on the Enterprises' Safety Atmosphere and Safety Behavior of Employee", University of Hansung, 2017. 

  9. S. Y. Kim, "The Influence of Safety Culture Factors in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 Emphasis on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Includ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2014. 

  10. H. J. Ryu,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awareness level in Construction site on Workers' Safety Behavior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11. S. K. Lee, "Research about Researcher's Safety Ethnic Level and Improvement Extent of Safety Culture, Based on Organizational Safety Efforts", J. Korean Soc. Saf., Vol. 30, No. 3, pp. 123-134, 2015. 

  12. M. S. JAE,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for Evaluating Nuclear Safety Culture", J. Korean Soc. Saf., Vol. 30, No. 4, pp. 174-180, 2015. 

  13. S. P. Kong, "Safety Aspects at Korean Construction Sites and Safety Cul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2004. 

  14. J. O. Choi, "A Study on the Situations and Improv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Chungju University, 2010. 

  15. K. H. Lee,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anager Safety Leadership on Workplace Safety Culture",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2012. 

  1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nal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 No. 3, pp. 6-13, 1986. 

  17. S. J. Oh,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13. 

  18. B. T. Ahn,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of Railway Workers : Focused on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Kyung Hee University, 2017. 

  19. J. E. Lee,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Hannarae, pp. 38-40, 2017. 

  20. I. G. Hong and J. B. Baek, "Towards an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J. Korean Soc. Saf., Vol. 31, No. 1, pp. 118-125, 2016. 

  21. W. C. Choi,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Workplace Safety Cultu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p. 6, pp. 12-14, pp. 60-61, 2011. 

  22. K. J. Lee,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5, pp. 347-358, 2016. 

  23. T. Lee and K. Harrison, "Assessing Safety Culture in Nuclear Power Stations", Safety Science, Vol. 34, pp. 61-97, 2000. 

  24. A. Neal and M. A. Griffin,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1, pp. 946-953, 2016. 

  25. S. Y. Kim, "Organizational Factors in Aviation Acci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Vol. 16, pp. 239-255, 2016. 

  26. D. Zohar,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 of Group Climate on Micro 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5, pp.587-596, 2000. 

  27. R. Flin, K Mearns, P. O'Connor and R. Bryden, "Measuring Safety Climate: Identifying the Common Feature", Safety Science, Vol. 34, pp. 177-19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