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문화 평가방안 연구
Towards an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1 no.1, 2016년, pp.118 - 125  

홍인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  백종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ssues for an effective safety culture assessment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plant in Korea. Cooper's safety culture model was used as the assessment method, and Fleming and Hudson's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s were appli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전문화 평가방법을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Cooper의 안전문화 모델과 안전문화 평가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안전문화 성숙 모델(safety culture maturity model)을 기반으로 국내 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으로 안전문화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안전문화 평가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의 모델에 근거한 평가방법과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실제 사업장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Cooper의 안전문화 모델에 근거한 사람(person), 환경(environment), 행동(behavior)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문서검토, 행동모니터링 방법을 적용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전문화 평가방법을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Cooper의 안전문화 모델과 안전문화 평가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안전문화 성숙 모델(safety culture maturity model)을 기반으로 국내 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으로 안전문화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oper의 안전문화 모델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Cooper의 안전문화 모델은 안전문화의 개념적 범위를 정립하고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환경(environment), 사람(person), 행동(behavior) 영역으로 구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11). 이 모델은 Heinrich 의 사고원인모델12)과 안전 선진기업에 대한 사례연구13,14) 등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심리요인, 환경요인, 행동요인 간의 상호영향관계(reciprocal relationship)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안전문화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안전문화는 대부분의 사고조사에서 사고의 근본원인으로 파악되면서 사고예방을 위한 중요한 영역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안전성과를 예측하는 선행지표 (leading indicator)로 활용되고 있다1) . 안전문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학술적으로 안전문화(safety culture)와 안전분위기 (safety climate) 2가지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안전문화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안전문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학술적으로 안전문화(safety culture)와 안전분위기 (safety climate) 2가지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안전문화 (safety culture)는 조직의 안전에 대한 가치와 믿음을 나타내는 반면에2)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는 경영진의 의지, 사업장의 안전방침 및 실태에 대한 임직원의 공유된 인식을 나타낸다3) . 그러나 2가지 개념의 차이를 구분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론적, 실무적 연구에서 혼용되고 있다2,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R. Flin, K. Mearns, P. O'Connor, R. Bryden, "Measuring Safety Climate : Identifying the Common Features", Safety Science, Vol.34, pp. 177-192, 2000. 

  2. K. J. Nielsen, K. Rasmussen, D. Glasscocok and S. Spangenberg, "Changes in Safety Climate and Accident at Two Identical Manufacturing Plants", Safety Science, Vol.46, pp. 440-449, 2008. 

  3. D. Zohar,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 of Group Climate on Micro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No.4, pp. 587-596, 2000. 

  4. Health and Safety Laboratory,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2. 

  5. F. Guldenmund,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Safety Science, Vol.34, pp. 215-257, 2000. 

  6. D. Zohar,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s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5, No.1, pp. 96-102, 1980. 

  7. R. Buchan, "Safety Can't Wait: A Global Campaign for Transformational Change", In Proceedings of the SPE/IADC Drilling Conference, Amsterdam, Netherlands, pp.281-292, 1999. 

  8. M. Cooper and R. Phillips, "Validation of a Safety Climate Measure", Proceedings of 1994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Occupational Psychology Conference, Birmingham, UK, Vol.3, No.5, pp.3-5, 1994. 

  9. S. Antonsen, "Safety Culture Assessment: A Mission Impossible?", Journal 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Vol.17, No.4, pp. 242-254, 2009. 

  10. F. W. "Understanding and Exploring Safety Culture", Guldenmund, Delft University, The Netherlands, Thesis (PhD), pp.105-132, 2010. 

  11. M. D. Cooper,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Vol.36, No.2, pp. 111-136, 2000. 

  12. H. W. Heinrich, D. Petersen, N. Ross and M. G. Hill,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pp.62-92, 1980. 

  13. A. Cohen, "Factors in Successful Occupational Safety Program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6, pp. 168-178, 1977. 

  14. M. Smith, H.H. Cohen and R.J. Cleveland,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Safety Programme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10, pp. 87-88, 1978. 

  15. M. Fleming,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HSE Books, pp.4-6, 2001. 

  16. D. Parker, M. Lawrie and P. Huds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Organisational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Vol.44, pp. 551-562, 2006. 

  17. Loughborough University, "Safety Climate Assessment Process and Toolkit User Guide", pp.42-45, 1999. 

  18. R. Jin and Q. Chen, Professional Safety, "Safety Culture: Effects of Environment, Behavior, and Person", American Society for Safety Engineers, Vol.58, Issue 5, pp. 60-70, 2013. 

  19. A. P. G. Filho, J. C. S. Andrade and M. M. O. Marinho, "A Safety Culture Maturity Model for Petrochemical Companies in Brazil", Safety Science, Vol.28, pp. 615-62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