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334 - 342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arent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perception of forest experience oper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숲에서 이루어지는 숲체험 관련 교육 활동이 유아들의 실제경험을 통하여 직접 탐색하고 발견하고 질문하게 하는 과정은 사고를 확장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놀이와 함께 진행되는 유아들의 사고의 확장은, 풍부한 감각적 표현을 늘려가는 과정으로 특히 유아들의 숲체험활동을 통해 자연과 사람이 하나가 되도록 하며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로 이루어지는 교육적 효과 또한 증진됨을 확인시켜준 점에서 본 연구의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숲체험 활동이 유아가 숲과 만나는 과정에서부터 숲의 변화를 탐색하고 숲에서 자연물과 곤충에 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하고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누리 연계 주제를 가지고 숲속에서 신체놀이, 음률 및 미술 활동, 과학활동.
  • 이같이 교육적 효과와 유아의 숲체험 활동이 또래간 상호작용 및 소통에 미치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관련연구는 일반 어린이집에서의 유아들의 인지발달에만 관심을 갖고 연구가 수행되어 한계로 지적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숲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어린이집 유아들의 숲체험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따른 유아의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 교육적, 학제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점으로 밝히고자 한다. 첫째, 유아의 숲체험 활동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유아의 숲체험 활동에 관해 분산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연령별, 숲체험 장소별, 활동시간별, 활동횟수별, 활동 시간, 보조교사의 수에 따라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숲체험활동의 특징은? 유아들은 자연과 인간과의 자연스러운 조화의 관계를 배우며 정신과 신체가 조화롭게 성장한다. 특히 숲체험활동은 유아들이 물, 흙, 돌, 꽃 등을 가지고 노는 체험학습놀이로서 즐겁게 자연에서 뛰어 노는 과정을 통해 유아 스스로 흥미를 느끼며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한다[1].
숲체험 어린이집에 보내는 부모의 연령대는? 자녀를 숲체험 어린이집에 보내는 부모의 연령대를 보면 20대미만 1명(0.5%), 20대 3명(1.6%), 30대 134명(73.2%), 40대 45명(24.6%)로 나타났고, 자녀의 성별로는 여자 85명(47.7%), 남자 93명(52.
숲에서의 활동을 통한 얻는 이점은? 숲에서의 활동은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과 소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유아의 성장·발달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4]. 숲놀이 활동을 통하여 또래간 소통과 부모와의 관계 증진을 위한 접근으로 숲에서 다양한 탐구 활동을 하면서 부딪치는 과정에서의 교육적 효과와 문제 해결을 위해 또래간 소통 과정에서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수행된 연구에서는 숲체험 활동에 대한 자연체험과 발달 효과에 관련한 연구만 보고되고 있을 뿐 활동속에 부여된 놀이활동의 소통을 통한 유아들의 소통 능력 향상과 교육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아직 제한적이다[5],[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A. Yoon,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ies upon Children's Daily Stress Reduction,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3. 

  2. J. H. Lee,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Inquiry Activities in the Forest on Children's Creativity,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yungnam University, 2013. 

  3. C. S. Lim, "Effect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ol.17, No.1, pp.191-197, Feb.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1.191 

  4. H. Kim, "Educational usage of Web 2.0-tool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ol.18, No.1, pp.9-14, Feb. 2018.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8.18.1.9 

  5. J. Y. Shim, M. R. Kwon,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Open Learning Platform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of Elementary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Vol.18, No.1, pp.105-111, Feb. 2018.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8.18.1.105 

  6. A. K. Chung, S. J. Byu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option Intention of Robot-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8, No.4, pp.227-235, Aug. 2018.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8.18.4.227 

  7. J. Do, "Media Education Methodology in Smart Media Era",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8, No.5, pp.245-250, Oct. 2018.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8.18.5.245 

  8. M. S. An,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Art Activity Program through Play in the Forest.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4. 

  9. S. J. Lee, A Case Study on Forest Kindergartens,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Korea University, 2011. 

  10. H. I. Hwang, E. J. Kim, J. E. Song , M. J. Kim, J. Y. Yu,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5), pp.165-188, 2012. 

  11. M. H. Lee, The Forest Kindergarten in German as Model of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ul: Education Academy, 2008. 

  12. Y. S. Lee, A Study o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Fores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Pai Chai University, 2013. 

  13. M. Y. Jang, S. Y. Im, J. H. Byun, E. J. Kim, J. T. Lim, "A Study on the State and Development of Domestic Forest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1), pp.27-46, 2011. 

  14. Y. M. Han, "A Study on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60, pp.1-18, 2010. 

  15. E. S. Kim, A Study on Korea's First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0. 

  16. M. K. Ko, A Hermeneutic Phenomenology Study on Children's Forest Experience, Doctoral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8. G901:A-0005423573 

  17. J. E. Choi , H. A. Seo, "The Effects of the Forest Field Trip Program on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eir Ability of Engage in Scientific Inqui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9 No. 1 pp.71-94, 2010. 

  18. I. W. Lee, K. Y. Choi, "Young Children's Experiences of Free Play in the Fores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2 No. 2, pp.273-301, 2007. 

  19. K. R. Lee, Forest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Cases for Forest Early Childhood Education, Doctoral Thesis from Inha University, 2013. 

  20. H. J. Chang, "A Study of Forest Kindergarten as European Ecological Alternative Education and Plan to Develop Domestic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1(3), pp.95-119, 2012. 

  21. J. T. Lim, S. Y. Lee, E. J. Kim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e and Methods of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pp.57-85, 2012. 

  22. M. Y. Jang, S. Y. Im, J. H. Byun, E. J. Kim, J. T. Lim, "A Study on the State and Development of Domestic Forest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1), pp.27-46, 2011. 

  23. N. U. Kwak, "A Study on the Pla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5(3), pp.1-23, 2011. G901:A-0003469944 

  24. H. S. Ch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ture Friendl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5), pp.343-367, 2005. 

  25. J. W. Kim, Y. S. Kim, "The Effects of the Nature-Experience Program on Young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6), pp.435-457, 2006. 

  26. J. E. Song,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of Fores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27. K. H. Yoon A Study 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Seoul: Master's Thesis from Graduate School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3. 

  28. S. L. Kim, H. J. Ahn, S. J. Le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rticles on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1 No. 1, pp.87-11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