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닭고기의 미생물 수준과 위생관리기준 적합성
Microbiological Status and Guideline for Raw Chicken distribu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3 no.4, 2016년, pp.235 - 242  

김혜진 (강원대학교 축산식품과학전공) ,  김동욱 (강원대학교 축산식품과학전공) ,  송성옥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위생안전과) ,  고용균 (강원대학교 축산과학전공) ,  장애라 (강원대학교 축산식품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5년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 검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고, 현재 서울/경기,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 내 유통단계(식육포장처리장, 식육판매장)의 닭고기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닭가슴살의 저장기간의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을 통하여 적정 미생물 권장 기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외에서는 유통단계 식육의 일반세균수에 대하여 $1{\times}10^5{\sim}10^6CFU/g$ 또는 $CFU/cm^2$ 이하로 권장 또는 규제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권장기준치는 $1{\times}10^7CFU/g$ 이하로 국외와 비교하였을 때 완화된 권장기준치를 가지고 있다. 실제 지난 5년간 시행된 전국의 유통단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하여 분석해본 결과, 대부분 $1{\times}10^6CFU/g$ 이하에 속하며, 권장기준 초과 건수가 1% 이내로 위생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서울/경기, 강원도 및 충청도 지역의 유통단계 닭고기의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18개의 식육 판매점에서 채취된 54개의 시료 중 2건을 제외하고, 모두 국내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인 $1{\times}10^7CFU/g$과 대장균수 권장 기준치인 $1{\times}10^4CFU/g$을 초과하지 않았다. 적정 미생물 권장기준에 과학적 근거 제시를 위하여 유통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품질적 변화를 예측하고자 닭가슴살을 저밀도 랩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며, 저장기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국내 유통단계 닭고기 중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인 $1{\times}10^7CFU/g$에 근접하였을 때 pH는 5.96으로 pH 6에 가까웠고, 종합적 기호도가 5.11점으로 5점에 가까웠으며 특히 냄새가 5점 이하를 보여 이취로 인한 선호도의 저하를 나타냈다. 따라서 국내 유통 단계 식육에 대한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가 국외에 비해 다소 완화된 기준이며, 심지어 권장기준치($1{\times}10^7CFU/g$ 이하) 이하에서도 관능패널들이 낮은 선호도를 보였던 점을 고려할 때, 안전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유통단계 닭고기 중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을 $1{\times}10^6CFU/g$ 수준까지 낮추어 보다 현실적이고 적정한 권장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sanitation status of raw chicken meat distributed in Korea, and potential changes in chicken breast quality during storage. The microbiological sanitation status analysis of raw chicken involved studying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mo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닭고기를 대상으로 유통과정(식육포장처리장, 식육판매장)에서의 미생물학적 수준을 평가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닭고기의 pH, 미생물학적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 분석을 통하여 유통단계 닭고기의 적정 미생물 권장기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5년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 검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고, 현재 서울/경기,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 내 유통단계(식육포장처리장, 식육판매장)의 닭고기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닭가슴살의 저장기간의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을 통하여 적정 미생물 권장 기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외에서는 유통단계 식육의 일반세균 수에 대하여 1×105∼106 CFU/g 또는 CFU/cm2 이하로 권장 또는 규제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관능적 특성으로 육색, 냄새, 육즙감량, 종합적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소비자의 전체적인 고기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Xiong et al., 2014). 각 항목들은 9점 기호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5년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 검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고, 현재 서울/경기,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 내 유통단계(식육포장처리장, 식육판매장)의 닭고기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닭가슴살의 저장기간의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을 통하여 적정 미생물 권장 기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식육의 미생물학적 부패는 피할 수 없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식육의 품질 변화 분석은 유통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식육의 변화를 예측하고,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식육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닭가슴살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H,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의 추이는? 최근 식습관의 변화로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지난 2000년 31.9 kg에서 2015년에는 47.6 kg으로 약 1.5배 증가했다(Nonghyup, 2016). 축종 중 닭고기는 다른 축종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높은 반면에,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아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Kim et al.
닭고기의 영양선분 특징은? 5배 증가했다(Nonghyup, 2016). 축종 중 닭고기는 다른 축종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높은 반면에,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아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Kim et al., 2014).
닭고기는 매우 부패되기 쉬운 식품인 이유는? , 2016). 그 원인으로 현재 계육의 밀집 사육과 도계 공정 중 냉각수에 침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차오염 등이 있으며(Hong et al., 2008), 닭고기는 소고기와 돼지고기와 비해 백색 근섬유 비율이 높아 사후대사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Brooke and Kaiser, 1970), 인지질과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유통 기한이 짧다(Park and Kim, 2008). 닭고기의 부패에 따른 이러한 짧은 유통 기한은 생산자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가능성에 따른 안전성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닭고기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oke MH, Kaiser KK 1970 Three myosin adenosine triphosphate system: The nature of their pH liability and sulphydryl dependence. J Histochem Cytochem 18:670-672. 

  2. Chun HH, Kim JY 2010 Effect of UV-C irradiation on the inactivation of inoculated pathogens and quality of chicken breasts during storage. Food Control 21(3):276-280. 

  3. Dawson PL, Han IY, Voller LM, Clardy CB, Martinez RM, Acton JC 1995 Film oxygen transmission rate effects on ground chicken meat quality. Poultry Sci 74(8):1381-1387. 

  4. Hong YH, Kim MK, Song KB 2008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of samgae chicken. Korean J Food Preserv 15(5):769-773. 

  5. Huang J, Zong Q, Zhao F, Zhu J, Jiao XA 2016 Quantitative surveys of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on retail raw chicken in Yangzhou, China. Food Control 59:68-73. 

  6. Jang A, Kim D, Kim HJ, Gil J 2015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guideline for meat. Ministry of Food Drug Safety. 

  7. Jeon HC, Kim JE, Son JW, Chae HS, Jin KS, Oh JH, Shin BW, Lee JH 2011 Evaluati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and sanitation practice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n J Vet Serv 34(4):409-416. 

  8. Kim JH, Kim KH, Song SW, Lee JY, Jung SC, Lee SW 2005 A survey on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for meats in distributional stages. QIA. 

  9. Kim M 1997 Effect of lactic acid treatment on microorganism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chickens. Korean J Soc Food Sci 13:293-298. 

  10. Kim SH, Jayasena DD, Kim HJ, Jo C, Jung S 2014 Effect of adding Lactobacillus-fermented solution on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meat. Korean J Poult Sci 41(2):127-133. 

  11. Kim SH, Na KB, Yang SM, You JY, Bae YJ, Choi YT 2003 Survey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 Korean J Vet Serv 26(3): 221-225. 

  12. Lee D, Hwang J, Yang H, Jang S, Baek E, Kim M, Ha N 2007 Assessm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raw meats sold in Korea. Environ Health Toxicoly 22(4):313-320. 

  13.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999 Development of HACCP Application Manual. 

  14.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Processing Standards and Ingredient Specifications for Livestock Products. 

  15. Nonghyup (Livestock Information Center) 2016. https://livestock.nonghyup.com/main/main.do accessed 27. Oct. 2016. 

  16. Park CI, Kim YJ 2008 Effects of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VBN, TBAR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28(4):505-511. 

  17. Park WM, Choi WH, Yoo IJ, Kim YS, Kim WJ, Chung DH 1997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on the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ausages. Food Sci Biotechnol 6(3):145-148. 

  18. Pavelkova A, Kacaniova M, Horska E, Rovna K, Hleba L, Petrova J 2014 The effect of vacuum packaging, EDTA, oregano and thyme oil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chicken's breast. Anaerobe 29:128-133. 

  19. Raeisi M, Tabaraei A, Hashemi M, Behnampour N 2016 Effect of sodium alginate coating incorporated with nisin, Cinnamomum zeylanicum, and rosemary essential oils on microbial quality of chicken meat and fate of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refrigeration. Int J Food Microbiol 238:139-145. 

  20. Sallam KI, Samejima K 2004 Effects of trisodium phosphate and sodium chloride dipping on the microbial quality and shelf life of refrigerated tray-packaged chicken breasts. Food Sci Biotechnol 13(4):425. 

  21. Shin HY, Ku KJ, Park SK, Song KB 2006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325-330. 

  22. Verma SP, Sahoo J 2000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ground chevo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by tocopherol acetate preblending. Meat Sci 56(4):403-413. 

  23. Woo YK 2007 Survey on the statu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s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in nationwide. Kor J Microbiol 43(3):186-192. 

  24. Xiong Z, Sun DW, Zeng XA, Xie A 2014 Recent developments of hyperspectral imaging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in detecting quality attributes of red meats: A review. J Food Eng 132:1-13. 

  25. Ye X, Iino K, Zhang S 2016 Monitoring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 chicken meat surface using a novel narrow band spectral index derived from hyperspectral imagery data. Meat Sci 122:25-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