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닭고기 저장 동안 천연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Natural Additive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Growth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Chicke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5, 2015년, pp.574 - 578  

이막순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승혜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소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양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닭고기의 저장 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닭고기 저장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닭고기의 껍질 표면에 천연 첨가물을 단독 혹은 배합하여 처리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은 닭고기 냉장 저장기간중에 위생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패세균인 S. Typhimurium 및 P. aeruginosa를 사용하였다. 천연첨가물은 키토산, EGCG, 마늘을 각각 2% 농도로 시료 표면에 처리한 다음 $4^{\circ}C$ 냉장 조건하에서 12일 동안 6일 간격으로 2번에 걸쳐 병원성 미생물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 억제 효과는 키토산, EGCG 및 마늘을 단독 혹은 두 가지 배합 처리한 것보다 세 가지 배합 처리한 것이 처리 시간별로 훨씬 더 높은 미생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키토산, EGCG와 마늘을 포함하는 세 가지 배합된 천연첨가물이 닭고기의 저장 동안 병원성 세균 생장 억제를 위한 천연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들은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유해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dditive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commercial chicken during storage. Chicken skin ($20cm^2$) inocul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or Pseudomonas aeruginosa was treated with 2% natural additives, incl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진 천연첨가물인 키토산, EGCG와 마늘 등의 배합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는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닭고기 저장 기간 동안 키토산, EGCG와 마늘 등의 천연 첨가물 배합 처리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과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등의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 에 대한 항미생물 효과가 뛰어나다고 보고하였다(29).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EGCG와 마늘의 천연첨가물을 단독 혹은 두 가지 배합 처리한 것보다 세 가지 첨가물을 배합 처리한 것이 닭고기 저장동안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마늘을 첨가한 젤리의 관능평가에서 마늘분말 첨가가 향미의 기호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30), 녹차 또한 닭고기 육원전의 향미 기호도에서 첨가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31).
  • 본 연구의 목적은 닭고기의 저장 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닭고기 저장기간 동안 천연 첨가물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닭고기의 껍질 표면에 천연 첨가물을 단독 혹은 배합하여 처리하였다.
  • 5%, 1% 및 2% 키토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반해 EGCG는 2% 농도에서만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EGCG와 마늘의 첨가물 배합에 따른 닭고기 표피의 미생물 생장 억제 효과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2% 농도의 첨가물 배합 조건에 따른 미생물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닭고기 저장기간 동안 첨가물 처리에 의한 S.

가설 설정

  • 4)a-c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육 억제는 키토산의 분자량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육 억제에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 coli는 키토산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낮은 농도에서도 생육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는 키토산의 분자량이 클수록 높은 농도에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22). Antonio 등(23)은 첨가물과 저장 온도에 따라 Salmonella enterica 의 생장 억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인간에게 Salmonella를 일으키는 데 주된 원인이 되는 식품은? 키토산은 키틴에서 상업적으로 얻어낸 천연 고분자 물질로서 식품에 바로 사용하여도 인체에 무해하며 항미생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품의 보존 및 유지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21). 특히 키토산은 E.
키토산의 기능은? 키토산은 키틴에서 상업적으로 얻어낸 천연 고분자 물질로서 식품에 바로 사용하여도 인체에 무해하며 항미생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품의 보존 및 유지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21). 특히 키토산은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HO. Food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99/en. Accessed Feb.15, 2015. 

  2. Agasan A, Kornblum J, Williams G, Pratt CC, Fleckenstein P, Wong M, Ramon A. Profile of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ubspecies I) serotype 4,5,12:i:- Strains causing food-borne infections in New York city. J Clin Microbiol 40: 1924-1929 (2002) 

  3. De la Torre E, Zapata D, Tello M, Mejia W, Frias N, Garcia Pena FJ, Mateu EM, Torre E. Several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type 4,5,12:i:- Phage types isolated from swine samples originate from serotype typhimurium DT U302. J Clin Microbiol. 41: 2395-2400 (2003) 

  4. Tavechio AT, Ghilardi AC, Fernandes SA. "Multiplex PCR" identification of the atypical and monophasic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type 1,4,[5],12:i:- In Sao Paulo state, Brazil: frequency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Rev. Inst. Med. Trop. S. Paulo. 46: 115-117 (2004) 

  5. Amavisit P, Boonyawiwat W, Bangtrakulnont A.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monophasic Salmonella serovar 1,4,[5],12:i:- isolates in Thailand. J. Clin. Microbiol. 43: 2736-2740 (2005) 

  6. Centers of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Multistate outbreak of human Salmonella infections linked to live poultry in backyard flocks. Available from: www.cdc.gov/salmonella/live-poultry-05-14/index.html. Accessed Feb. 15, 2015. 

  7. Lee DY, Lee E, Min JE, Kin SH, Oh HB, Park MS. Epidemic by Salmonella I 4,[5],12:i:- And characteristics of isolates in Korea. Infect. Chemother. 43: 186-190 (2011) 

  8. Lammerding AM. An overview of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J. Food Protect. 60: 1420-1425 (1997) 

  9. Kim CR, Kim KH, Moon SJ, Kim YJ, Kim YK. Microbiological and physical quality of refrigerated chicken legs treated with acetic acid. Food Sci. Biotechnol. 7: 13-17 (1998) 

  10. Arnaut-Rollier I, de Zutter L, van Hoof J. Identities of the Pseudomonas spp. in flora from chilled chicken. Int. J. Food Microbiol. 48: 87-96 (1999) 

  11. Liu, P.V. Extracellular tox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J. Infect. Dis. 130: S94-S99 (1974) 

  12. Jung BO, Kim BR, Park HJ, Oh DY, Chung SJ.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itooligosaccharide and water-soluble chitosan. J. Chitin Chitosan 11: 108-112 (2006) 

  13. Hara-Kudo Y, Yamasaki A, Sasaki M, Okubo T, Minai Y, Haga M, Kondo K, Sugita-Konishi Y. Antibacterial action on pathogenic bacterial spore by green tea catechins. J. Sci. Food Agr. 85: 2354-2361 (2005) 

  14. Sugita-Konishi Y, Hara-Kudo Y, Amano F, Okubo T, Aoi N, Iwaki M, Kumagai S.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gallocatechin gallate in green tea catechins inhibit extracellular release of vero toxin from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Biochim. Biophys. Acta 1472: 42-50 (1999) 

  15. Yin MC, Cheng W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four garlic-derived organosulfur compounds in ground beef. Meat Sci. 63: 23-28 (2003) 

  16. Park SY, Yoo SS, Shim JH, Chin KB.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and onion powder in fresh pork belly and loin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Food Sci. 73: C577-C584 (2008) 

  17. Safithri M, Bintang M, Poeloengan M.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some pathogenic animal bacteria. Media Peternaken. 34: 155-158 (2011) 

  18. Beuchat LR, Golden, DA.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42 (1989) 

  19. Giesting, DW, Easter RA. Response of starter pigs to supplementation of corn-soybean meal diets with organic acids. J. Anim. Sci. 60: 1288-1294 (1984) 

  20. Kim JS, Kim YH. The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bioactive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Nutr. Res. Pract. 1: 273-278 (2007) 

  21. Rabea EI, Badawy MET, Stevens CV, Smagghe G, Steurbaut W. Chitosan as antimicrobial agent: Applications and mode of action. Biomacromolecules 4: 1457-1465 (2003) 

  22. Zheng LY, Zhu JF.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Carbohyd. Polym. 54: 527-530 (2003) 

  23. Marques A, Encarnacao S, Pedro S, Nunes M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oregano and chitosan against Salmonella enterica. World J. Microbiol. Biotechn. 24: 2357-2360 (2008) 

  24. Nagle DG, Ferreira D, Zhou YD.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Chemical and biomedical perspectives. Phytochemistry. 67: 1849-1855 (2006) 

  25. Jeon JH, Kim JH, Lee CK, Oh CH, Song HJ.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gallocatehin-3-gallate and green tea extract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kin wounds. Ann. Dermatol. 26: 564-569 (2014) 

  26. Sallam KI, Ishioroshi M, Samejima K.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in chicken sausage. LWT-Food Sci. Tech nol. 37: 849-855 (2004) 

  27. Cosby DE, Harrison MA, Toledo RT, Craven SE. Vacuum or modified atmosphere packiaging and EDTA-nisin treatment to increase poultry product shelf life. J. Appl. Poultry Res. 8: 185-190 (1999) 

  28. Gogus U, Bozoglu F, Yurdugul S. The effects of nisin, oil-wax coating and yogurt on the quality of refrigerated chicken meat. Food Control 15: 537-542 (2004) 

  29. Nitzimani AG, Giatrakou VI, Savvaidis IN. Combined natural antimicrobial treatment (EDTA, lysozyme, rosemary and oregano oil) on semi cooked coated chicken meat stored in vacuum packages at 4: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 Innov. Food Sci. Emerg. 11: 187-196 (2010) 

  30. Jung EY, Lee HS, Oh YH, Son HS, Suh H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prepared with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627-634 (2009) 

  31. An LH, An JE, Lee JH. Effect of herbs and green tea on consumer sensory and antioxidative qualities of pork- and chickenyukwonj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997-100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