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OME-BGC 모형을 이용한 국내 소나무 고사의 기후 및 토심 영향 분석
Modelling Analysis of Climate and Soil Depth Effects on Pine Tree Dieback in Korea Using BIOME-BGC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4, 2016년, pp.242 - 252  

강신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조낭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계 과정 모형인 BIOME-BGC를 이용해 국내 상록침엽수림의 탄소-물 순환 과정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모의하여 국내의 소나무 고사 현상의 기후-토심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로 2009년과 2014년 각각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밀양과 울진을 선정하였다. 두 지역의 표준강수지수를 산정한 결과 약 5년 내외의 주기의 가뭄현상을 판별하였다. 2000년 중반 이후 가뭄은 고온 건조 기후 특성을 보였다. 모형의 여러 변수를 조사한 결과, 임시탄소저장소인 Cpool 변수가 탄소기아에 의한 소나무고사 현상과 개연성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Cpool의 감소는 총일차생산성(GPP) 감소 혹은 유지호흡(Rm) 증가의 결과로 발생하였고, 연구기간 중 Cpool이 최저값을 보인 해는 각 연구지역에서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해와 잘 일치하였다. 두 지역 모두 가뭄에 의한 GPP 감소와 고온에 의한 Rm 증가가 Cpool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GPP와 Rm의 상대적 기여도는 지역별로 상이하였다. 특히 저온다습한 울진의 경우 Rm 증가 영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한편 낮은 토심에서 생산성, 생체량, 증산량, Cpool 등 제반 탄소-물 관련 변수가 감소하였고 연간 변동폭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5 m 이하 토심에서는 Cpool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일정 수준 이하의 토심에서 생체량-생산성-유지호흡 간의 균형에 따라 Cpool이 유지되는 적응 메커니즘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 소나무 고사와 관련한 고온건조-탄소 기아 가설을 제안하였고, 보다 현실적 분석을 위한 향후 모형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rocess-based ecosystem model, BIOME-BGC, was applied to simulate seasonal and inter-annual dynamics of carbon and water processes for potential evergreen needleleaf forest (ENF) biome in Korea. Two simulation sites, Milyang and Unljin, were selected to reflect warm-and-dry and cool-and-wet cli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소나무 고사와 관련한 모형 해석의 개념적 틀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제안한 소나무 고사 현상 가설을 추가 분석하기 위한 BIOME-BGC 모형의 개선점을 발굴하였다.
  • 이 연구결과는 2009년 밀양과 2014년 울진에서 발생한 소나무 대량 고사에 대한 몇 가지 수목 생리학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Cpool의 거동은 탄소-물 과정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기후와 토심의 식생생육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적합한 상태변수이다.
  • 5 m 이하 토심에서는 Cpool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일정 수준 이하의 토심에서 생체량-생산성-유지호흡 간의 균형에 따라 Cpool이 유지되는 적응 메커니즘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 소나무 고사와 관련한 고온건조-탄소 기아 가설을 제안하였고, 보다 현실적 분석을 위한 향후 모형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SW는 강수(PRCP)로 보충되며 식물의 증산(Trans)과 토양 증발, 배수로 저감된다. BIOME-BGC 는 일 단위에서 토양과 잎의 수분포텐셜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즉 잎이 증산(Trans)에 필요로 하는 만큼 뿌리가 토양수를 흡수한다는 가정이다.
  • 모형의 구동은 연구 지역의 기상 자료가 가용한 1988년부터 2015년까지 28년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BIOME-BGC는 균일한 임분을 가정하며, 모형의 공간 해상도는 임분의 크기와 지형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Thornton, 1998; White et al., 2000). 이 연구는 모형을 이용한 가상적 소나무 군락지의 생육 과정을 추적하여 기후-토양이 소나무 고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때문에 임분의 위치와 면적을 명시하는 대신에 각 지역의 기상 자료가 대표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로 모형 예측의 의미를 한정하였다.
  • BIOME-BGC 는 일 단위에서 토양과 잎의 수분포텐셜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즉 잎이 증산(Trans)에 필요로 하는 만큼 뿌리가 토양수를 흡수한다는 가정이다. 이 가정은 두 가지 측면에서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온상승이 수목의 수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인해 전 지구적으로 모든 대륙의 다양한 숲의 가뭄 스트레스를 악화시켜 이들이 쇠퇴하고 있다(IPCC, 2014). 기온상승 그 자체만으로도 수목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이것이 가뭄스트레스 및 병해충 등 생물적 요소와 결합하여 수목이 고사에까지 이를 수 있다. 가뭄과 관련된 수목의 고사 메커니즘은 극단적인 가뭄에 의한 수분이동 단절(hydraulic failure), 또는 물관 공동화(cavitation of water columns) (Rennenberg et al.
연중 잎을 달고 있는 상록침엽수의 생육에 있어 겨울과 봄철 기온의 상승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변화 추세에 대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미래 기온의 상승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기온도 빠르게 상승하여 왔고 계절적으로는 겨울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가을과 봄의 순이었다. 강수량은 여름철에는 증가한 반면 다른 계절은 매년 변동성을 가지면서 증감의 추세는 없었다(Lim, 2016). 따라서 연중 잎을 달고 있는 상록침엽수의 생육에 있어 겨울과 봄철 기온의 상승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뭄과 관련된 수목의 고사 메커니즘은 무엇이 있는가? 기온상승 그 자체만으로도 수목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이것이 가뭄스트레스 및 병해충 등 생물적 요소와 결합하여 수목이 고사에까지 이를 수 있다. 가뭄과 관련된 수목의 고사 메커니즘은 극단적인 가뭄에 의한 수분이동 단절(hydraulic failure), 또는 물관 공동화(cavitation of water columns) (Rennenberg et al., 2006), 만성적인 수분스트레스로 인한 식물체 탄소결핍과 대사장애로 인한 탄소기아 (carbon starvation)와 이로 인한 병해충의 공격에 대한 방어능력 저하 그리고 가뭄기간 동안의 기온상승으로 인한 병해충 개체군의 증가로 스트레스를 입은 기주 수목이 고사하는 생물적 요소가 있으며 때로는 이들 각각이 독립적이라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Dowell et al., 2008; All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ams, H. D., C. H. Luce, D. D. Breshears, C. D. Allen, M. Weiler, V. C. Hale, A. M. S. Smith, and T. E. Huxman, 2012: Ecohydrological consequences of drought- and infestation-triggered tree die-off: insights and hypotheses. Ecohydroloy 5(2), 145-159. 

  2. Adams, H. D., M. Guardiola-Claramonte, G. A. Barron-Gafford, J. C. Villegas, D. D. Breshears, C. B. Zou, P. A. Troch, and T. E. Huxman, 2009: Temperature sensitivity of drought-induced tree mortality portends increased regional die-off under global-change-type drought.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 of America 106(17), 7063-7066. 

  3. Allen, C. D., A. K. Macalady, H. Chenchouni, D. Bachelet, N. McDowell, M. Vennetier, T. Kitzberger, A. Rigling, D. D. Breshears, E. H. Hogg, P. Gonzalez, R. Fensham, Z. Zhang, J. Castro, N. Demidova, J.-H. Lim, G. Allard, S. W. Running, A. Semerci, and N. Cobb, 2010: A global overview of drought and heat-induced tree mortality reveals emerging climate change risks for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4), 660-684. 

  4. Anderegg, W. R. L., J. A. Berry, D. D. Smith, J. S. Sperry, L. D. L. Anderegg, and C. B. Field, 2011: The roles of hydraulic and carbon stress in a widespread climate-induced forest die-off.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 of America 109(1), 233-237. 

  5. Bohn, T. J., B. Livneh, J. W. Oyler, S. W. Running, B. Nijssen, and D. P. Lettenmaier, 2013: Global evaluation of MTCLIM and related algorithms for forcing of ec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6(15), 38-49. 

  6. Carnicer, J., M. Coll, M. Ninyerola, X. Pons, G. Sanchez, and J. Penuelas, 2011: Widespread crown condition decline, food web disruption, and amplified tree mortality with increased climate change-type drought.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 of America 108(4), 1474-1478. 

  7. Ciais, Ph., M. Reichstein, N. Viovy, A. Granier, J. Ogee, V. Allard, M. Aubinet, N. Buchmann, Chr. Bernhofer, A. Carrara, F. Chevallier, N. De Noblet, A. D. Friend, P. Friedlingstein, T. Grunwald, B. Heinesch, P. Keronen, A. Knohl, G. Krinner, D. Loustau, G. Manca, G. Matteucci, F. Miglietta, J. M. Ourcival, D. Papale, K. Pilegaard, S. Rambal, G. Seufert, J. F. Soussana, M. J. Sanz, E. D. Schulze, T. Vesala, and R. Valentini, 2005: Europe-wide reduction in primary productivity caused by the heat and drought in 2003. Nature 437, 529-533. 

  8. Eum, S., S. Kang, D. Lee, 2005: A simulation study to investigate climatic controls on net primary production (NPP) of a rugged forested landscape in the mid-wester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torology 7(1), 66-77. 

  9. Farquhar, G. D., and T. D. Sharkey, 1982: Stomatal conductance and photosynthesi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33, 317-345. 

  10. Hwang, T., S. Kang, J. Kim, Y. Kim, D. Lee, and L. Band, 2008: Evaluating drought effect on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with an eco-hydrological model in the mountainous forest, East Asia. Global Change Biology 14(5), 1037-1056. 

  11. Jeong, Y. S., J.-H. Lim, and K.-H. Ka, 2015: Effect of low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Proceedings of 2015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Federation of Korean Microbiological Societies. KINTEX, Ilsan, Korea. 265pp. 

  12. Kang, S., D. Lee, J. Lee, and S. W. Running, 2006: Topographic and climatic controls on soil environments and net primary production in a rugged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Korea. Ecological Research 21(1), 64-74. 

  13. Kang, S., S. Kim, S. Oh, and D. Lee, 2000: Predicting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soil temperature based on topography, surface cover and air temperatur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36(1-3), 173-184. 

  14. Kim, E. S., S. K. Kang, B. R. Lee, K. H. Kim, and J. Kim, 2007: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RHESSys) for integrating the eco-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Gwangneung headwater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2), 121-131. 

  15. Lee, B.-R., S. Kang, E. Kim, T. Hwang, J.-H. Lim, and J. Kim, 2007: Evaluation of a hydro-ecological model,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at two complex terrain watershed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4), 247-259. 

  16. Lim, J.-H., 2015: Status and hypothesis of dieback of pines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Proceedings of 2015 Second Half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in Gwangju, 85pp. 

  17. Lim, J.-H., 2016: Climate change-induced dieback of evergreen conifers in Korea and options for adaptation. Proceedings of 2016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ymposium on Forest Management for Enhancing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Seoul, Korea. 53-76. 

  18. McDowell, N., W. T. Pockman, C. D. Allen, D. D. Breshears, N. Cobb, T. Kolb, J. Plaut, J. Sperry, A. West, D. G. Williams, and E. A. Yepez, 2008: Mechanisms of plant survival and mortality during drought: why do some plants survive while others succumb to drought? New Phytologist 178(4), 719-739. 

  19.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179-183. 

  20. Poulter, B., U. Heyder, and W. Cramer, 2009: Modeling the sensitivity of the seasonal cycle of GPP to dynamic LAI and soil depths in Tropical rainforests. Ecosystems 12(4), 517-533. 

  21. Rennenberg, H., F. Loreto, A. Polle, F. Brilli, S. Fares, R. S. Beniwal, and A. Gessler, 2006: Physiological responses of forest trees to heat and drought. Plant Biology 8(5), 556-571. 

  22. Smith, B., D. Warlind, A. Arneth, T. Hickler, P. Leadley, J. Siltberg, and S. Zaehle, 2014: Implications of incorporating N cycling and N limitations on primary production in an individual-based dynamic vegetation model. Biogeosciences 11, 2027-2054. 

  23. Thornton, P. E., 1998: Regional ecosystem simulation: combining surface- and satellite-based observations to study linkages between terrestrial energy and mass budgets. Ph.D. dissertation. School of Forestry, University of Montana, Missoula MT, 280pp. 

  24. Thornton, P. E., B. E. Law, H. L. Gholz, K. L. Clark, E. Falge, D. S. Ellsworth, A. H. Goldstein, R. K. Monson, D. Hollinger, M. Falk, J. Chen, and J. P. Sparks, 2002: Modeling and measuring the effects of disturbance history and climate on carbon and water budgets in evergreen needleleaf fores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3, 185-222. 

  25. Wagle, P., X. Xiao, M. S. Torn, D. R. Cook, R. Matamala, M. L. Fischer, C. Jin, J. Dong, and C. Biradar, 2014: Sensitivity of vegetation indices and gross primary production of tallgrass prairie to sever drough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52, 1-14. 

  26. White, M. A., P. E. Thornton, S. W. Running, and R. R. Nemani, 2000: Parameteriz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BIOME-BGC terrestrial ecosystem model: Net primary production controls. Earth Interactions 4(3), 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