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 고사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평가
Risk Assessment of Pine Tree Dieback in Sogwang-Ri, Uljin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3, 2020년, pp.259 - 270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이보라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김재범 (강원연구원) ,  조낭현 (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20년 동안 고온, 건조 등 이상기상 현상이 빈발해지면서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가 아닌 생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소나무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4년도에는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에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의 집단고사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원인 구명과 산림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15년 항공사진에서 발견된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 고사 피해 발생 지역의 지형 및 임분 특성을 파악하여 고사 발생의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지역의 고사피해 발생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소나무 고사발생 지점 정보와 해발고도, 경사 등의 지형정보, 영급, 경급 등의 임분 정보 등 총 14개의 설명변수를 이용하여 고사발생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모형 개발에는 Decision Tree,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RF와 SVM가 정확도 93% 이상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소나무 고사와 관련된 주요 변수 분석 결과, 소나무 고사의 지형적인 취약지역은 해발고도가 높은 동시에 일사량이 높으며 수분 조건이 불리한 지역이었으며, 임분 특성 중에서는 특히 5~15m 높이의 수직적 임분밀도가 높은 소나무림, 그리고 영급이 높은 소나무림에서 고사 위험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RF와 SVM 모형 예측에 따라, 소나무 고사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면적은 연구대상지 전체 소나무림 면적의 약 9.5%, 115ha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고사위험도 평가 결과는 금강소나무 취약지역의 현황을 조사하고 아직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취약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기후변화 적응 산림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heat and drought, have occurred frequentl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is has led to continuous reports of cases of forest damage due to physiological stress, not pest damage. In 2014, pine trees were collectively damaged 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of S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8~2015년 사이 울진 소광리에서 발생한 금강소나무 고사피해 발생 지역의 지형 및 임분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사피해 발생 취약지역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소나무 고사발생 지점 자료와 다양한 지형 및 임분특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소나무 고사 지점과 생육지점을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 고사지역과 생육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한 기계학습 모형은 무엇인가? 소나무 고사지역과 생육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Decision Tree (DT),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 3가지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하였다. DT(의사결정트리)는 특정 항목에 대한 의사결정 규칙을 나무 형태로 분류해 나가는 분석기법을 말한다.
기상ㆍ기후적인 요인에 따른 전 세계 수목 고사 피해의 예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0; Klein and Hartmann, 2018). 1980년대부터 발생한 스위스 알프스 지역의 Scots pine(Pinus sylvestris) 고사(Mobbertin et al., 2005), 1990년대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브리티쉬 콜로비아 lodgepole pine(Pinus contorta)의 Mountain pine beetle 피해(Kurz et al., 2008). 2002~2004년 미국 남서부 Pinyon Pine 집단 고사(Allen-Reid, 2008), 2018년 미국 애리조나 전역에서 ponderosa pine(Pinus ponderosa)의 집단 고사 (USDA, 2018) 이외에도 수많은 피해 사례들이 발생했다. 대부분의 경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가뭄의 심화로 산림수목이 건조 스트레스 피해를 받았으며 건강성이 저하된 수목에 병해충이 가세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소나무 고사와 관련된 주요 변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모형 개발에는 Decision Tree,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등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RF와 SVM가 정확도 93% 이상으로 좋은 성능을 보였다. 소나무 고사와 관련된 주요 변수 분석 결과, 소나무 고사의 지형적인 취약지역은 해발고도가 높은 동시에 일사량이 높으며 수분 조건이 불리한 지역이었으며, 임분 특성 중에서는 특히 5~15m 높이의 수직적 임분밀도가 높은 소나무림, 그리고 영급이 높은 소나무림에서 고사 위험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RF와 SVM 모형 예측에 따라, 소나무 고사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면적은 연구대상지 전체 소나무림 면적의 약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len, C.D., Macalady, A.K., Chenchouni, H., Bachelet, D., McDowell, N., Vennetier, M., Kitzberger, T., Rigling, A., Breshears, D.D., Hogg, E.H., Gonzalez, P., Fensham, R., Zhang, Z., Castro, J., Demidova, N., Lim, J.-H., Allard, G., Running, S.W., Semerci, A. and Cobb, N. 2010. A global overview of drought and heat-induced tree mortality reveals emerging climate change risks for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4): 660-684. 

  2. Allen-Reid, D., Anhold, J., Cluck, D., Eager, T., Mask, R., McMillin, J., Munson, S., Negron, J., Rogers, T., Ryerson, D., Smith, E., Smith, S., Steed, B. and Thier, R. 2008. Pinon pine mortality event in the Southwest: An update for 2005. U.S. Forest Service. 

  3. Bae, S.W., Lee, C.Y., Park, B.W., Hong, S.C., Kim, I.S., Han, S.U., Hong, K,N., Lee, S.W., Cho, K.H., Hwang, J.H., Lee, S.T., Kim, K.H., Moon, I.S., Son, Y.M., Cheon, C.H., Park, J.H., Ka, K.H., Lee, H.J., Park, M.J., Kim, C.Y., Kim, K.W., Lim, J.H. and Kim, S.J. 2012. Commercial tree species (1) Pinus densiflora. NIFoS. pp. 250. 

  4. Bennett, A.C., McDowell, N.G., Allen, C.D. and Anderson­ Teixeira, K.J. 2015. Larger trees suffer most during drought in forests worldwide. Nature Plants 1: 15139. 

  5. Beven, K.J. and Kirkby, M.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 Bulletin 24(1): 43-69. 

  6. Bottero, A., D'Amato, A.W., Palik, B.J., Bradford, J.B., Fraver, S., Battaglia, M.A. and Asherin, L.A. 2017. Densitydependent vulnerability of forest ecosystems to drought. Journal of Applied Ecology 54: 1605-1614. 

  7. Breiman, L., Friedman, J.H., Olshen, R.A. and Stone, C.J.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Monterey, CA: Wadsworth & Brooks/Cole Advanced Books & Software. 

  8.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 37-46. 

  9. Cortes, C. and Vapnik, V. 1995. Support-vector networks. Machine Learning 20(3): 273. 

  10. Fawcett, T. 2006. An Introduction to ROC Analysis.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7(8): 861-874. 

  11. Greenwood, S., Ruiz­Benito, P., Martinez­Vilalta, J., Lloret, F., Kitzberger, T., Allen, C.D. and Kraft, N.J. 2017. Tree mortality across biomes is promoted by drought intensity, lower wood density and higher specific leaf area. Ecology Letter 2: 539-553. 

  12. Halofsky, J.E. and Peterson, D.L. 2016.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and Adaptation Options for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in the Northwestern USA. Atmosphere 7(46): 1-14. 

  13. Ho, T.K. 1995. Random Decision Forests.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Montreal, QC, 14-16 August 1995. pp. 278-282. 

  14. Jeong, J.H., Won, H.K. and Kim, I.H. 2004. Forest Site in Korea -Forest Soil-. NIFoS. pp. 621. 

  15. Jung, H.S. 2018. Improved the Stand Structure Map for Pinus densiflora Areas in Sogwang-ri, Ul-Jin based on Airborne LiDAR. NIFoS. pp. 102. 

  16. Kim, E.S., Lee, J.S., Kim, J., Lim, J.H. and Lee, J.S. 2016.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pine forest. NIFoS. pp. 22. 

  17. Kim, J., Kim, E.S. and Lim, J.H. 2017.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Tree Dieback in Sogwang-Ri, Ulj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1): 10-18. 

  18. Klein, T. and Hartmann, H. 2019. Climate change drives tree mortality. Science 362(6416): 758. 

  19. Kurz, W.A., Dymond, C.C., Stinson, G., Rampley, G.J., Neilson, E.T., Carroll, A.L., Ebata, T. and Safranyik, L. 2008. Mountain pine beetle and forest carbon feedback to climate change. Nature 452: 987-990. 

  20. Li, M., Im, J. and Beier, C. 2013.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forest classification and change analysi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over Huntington Wildlife Forest. GIScience & Remote Sensing 50(4): 361-384. 

  21. Lim, J.H., Kim, E.S., Lee, B., Kim, S.H. and Chang, G.C. 2017. An analysis of the hail damages to Korean forests in 2017 by meteorology, species and topograph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4): 280-292. 

  22. Mobbertin, M., Mayer, P., Wohlgemuth, T., Feldmeyer-Christe, E., Graf, U., Zimmermann, N.E. and Rigling, A. 2005. The decline of Pinus sylvestris L. Forests in the Swiss Rhone Valley - a Result of Drought Stress?. Phyton 45(4): 153-156. 

  23. Nagel, L.M., Palik, B.J., Battaglia, M.A., D'Amato, A.W., Guldin, J.M., Swanston, C.W., Janowiak, M.K., Powers, M.P., Joyce, L.A., Millar, C.I., Peterson, D.L., Ganio, L.M., Kirschbaum, C. and Roske, M.R. 2017. Adaptive silviculture for climate change: A national experiment in managerscientist partnerships to apply an adaptation framework. Journal of Forestry 115(3): 167-178. 

  24.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9. Causes and future outlook of Korean red pine dieback. NIFoS. pp. 21. 

  25. Oh, H.J. 2010. Landslide detection an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aerialphoto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1): 47-57. 

  26. Rowland, L., da Costa, A.C.L., Galbraith, D.R., Oliveira, R.S., Binks, O.J., Oliveira, A.A.R., Pullen, A.M., Doughty, C.E., Metcalfe, D.B., Vasconcelos, S.S., Ferreira, L.V., Malhi, Y., Grace, J., Mencuccini, M. and Meir, P. 2015. Death from drought in tropical forests is triggered by hydraulics not carbon starvation. Nature 528: 119-121. 

  27. Ryo, M., and Rillig, M.C. 2017. Statistically reinforced machine learning for nonlinear patterns and variable interactions. Ecosphere 8(11)d: e01976. 

  28. Seo, M.G. 2014.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using R. Publisher Gilbut. pp. 580. 

  29. Stockwell, D.R.B. and Peterson, A.T. 2002. Effects of sample size on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Modelling 148(1): 1-13. 

  30. Thessen, A. 2016. Adop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ecology and earth science. One Ecosystem 1(2): e8621. 

  31.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8. Southwestern region arizona forest health 2018. ArgGIS MapJournal. 

  32. Ye, H., Beamish, R.J., Glaser, S.M., Grant, S.C., Hsieh, C.H., Richards, L.J., Schnute, J.T. and Sugihara, G. 2015. Equation-free mechanistic ecosystem forecasting using empirical dynamic modeling. Proceedings of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2(13): E1569-E1576. 

  33. Zhang, J., Finley, K.A., Johnson, N.G. and Ritchie, M.W. 2019. Lowering stand density enhances resiliency of ponderosa pine forests to disturbances and climate change. Forest Science 65(4): 496-5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