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무망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마을의 통합감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Hopelessness,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1 no.4, 2016년, pp.195 - 204  

김현옥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건강과학연구원 및 예방의학교실) ,  최연순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건강과학연구원 및 예방의학교실) ,  이진향 (거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서애림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건강과학연구원 및 예방의학교실)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건강과학연구원 및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독거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감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보건소에서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의 우울감 실태조사를 위해 200명을 임의로 뽑은 뒤 조사원이 직접 일대일 면접 조사되었다. 우울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징 그리고 무망감, 사회적 지지, 마을의 통합감 등을 포함하였다. 대상자들의 우울점수는 15.8점이었으며, 정상인 14점미만은 38.0%로 적고 21점을 초과하는 군이 26.5%로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뒤 무망감과 마을의 통합감이 유의하게 우울감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독거노인들의 우울감은 희망이 없다고 느끼는 마음과 거주하고 있는 마을에서 통합감 을 느끼지 못할 때 우울감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pelessness,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depression.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alone for a 2015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독거노인에서 우울감의 분포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보정한 뒤 무망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마을에서 느끼는 통합감등이 우울감에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우울감은 노인 자살감소를 위한 중요한 변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과 개인적 요인(무망감) 및 사회적 요인(사회적 지지, 마을의 통합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독거노인의 우울감 예방 및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자살률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은? 6명 이후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다. 이처럼 노인 자살률이 증가하는 데는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자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으로 보고되는 것이 우울감이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에서 노인우울의 유병률이 33.
2014년 노인자살률 추이는 어떠한가? 독거노인은 고독감, 무망감 그리고 우울감 등 정서적으로 더 취약상태에 놓여있다[2]. 결과적으로 65세 이상노인의 고의에 의한 높은 사망률이 심각한 데, 통계청[1] 결과에 의하면 2014년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인구 10만 명 당 55.5명으로 1995년 23.6명 이후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다. 이처럼 노인 자살률이 증가하는 데는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자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으로 보고되는 것이 우울감이다.
독거노인에게 사회적 지지의 역할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갖는가? 또한 많은 연구들이 노인들에게 있어서의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안녕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밝히고 있다[6]. 특히 사별로 인한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 관계망에 의한 양적 혹은 질적 차원에 있어서의 지원이 남아있는 노인의 삶의 의미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7]. 더구나 노인들에게 있어 따로 살고 있는 혈연집단과 달리 빈번하게 접촉할 수 있는 이웃이나 친구가 영향력이 더 커질 수 있으며, 특히 신체적 기능의 저하로 이동성에 제한을 갖는 노인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8,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elderly people 20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4856. 

  2. Kim YJ.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 333-344 (Korean) 

  3. Eom TW.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7;59(2):355-379 (Korean) 

  4. Rifai AH, George CJ, Stack JA, Mann JJ, Reynolds CF. Hopelessness in suicide attempters after acute treatment of major depression in late life. Am J Psychiatry 1994;151(11):1687-1690. 

  5. Park JE, Kim BS, Bae JN, Kim KW, Seong SJ, Cho MJ.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the Living-Alone Elderly : Hopelessness and Boredom. J Korean Geriatr Psythiatry 2012;16:97-103 (Korean) 

  6. Rudkin L. Social support. In: Schulz LS. Noelker K. Rockwood, Sprott RL, editors. The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pp1121-1126. 

  7. Koren C, Lowenstein A. Late-life widowhood and meaning in life. Aging International 2008;32(2):140-155. 

  8. Kwom JD, Kim YJ, Um TY.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Who Live Alone with care services: a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Suicidal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1(1):297-320 (Korean) 

  9. Bae JH.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upport by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Social Welfare Policy 2004;20(4):197-216 (Korean) 

  10. Kim YH, Cho YT. Impact of Area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8;31(1):5-30 (Korean) 

  11. Ko JE, Lee SH. A multilevel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2;40(1): 322-351. 

  12. Jung IK, Kwak DI, Joe SH, Lee HS.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J Korean Geriatr Psythiatry 1997;1(1):61-72 (Korean) 

  13. Beck AT, Weissman A, Lester D, Trexler L.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 The Hopelessness Scale. J Consult Clin Psychol 1974;42(6):861-865 

  14.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 J Clin Psychol 1990;9(1):1-19 (Korean) 

  15. Lubben JE.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Fam Community Health 1988;11(3):42-52 

  16. Lee KW, Kim SY, Chung WB, Hwang GS, Hwang YW, Hwang I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5):352-358 (Korean) 

  17. McColl MA, Carlson P, Johnston J, Minnes P, Shue K, Davies D, et al. Definition of community integration: perspectives of people with brain injuries. Brain Inj 1998;12:15-30. 

  18. McColl MA, Davies D, Carlson P, Johnston J, Minnes P. The community integration measur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429-434. 

  19. Cho YH. The Correlation Study on Loneliness, Feel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 of Rural Med 2002;27(1):87-98 (Korean) 

  20. Shon ES. A Study on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8;41(1):183-204 (Korean) 

  21. Park JH, Cheong JH.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0:47:309-330 (Korean) 

  22. Jeon HS, Kahng SK.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4):1611-1628 (Korean) 

  23. Antonucci TC, Fuhrer R, Dartigues J. Social relations and depressive symtomatology in a sample of community-dwelling French older adults. Psychol Aging 1997;12(1):189-195 

  24. Zisook S, Shuchter SR. Depression through the first year after the death of a spouse. Am J Psychiatry 1991;148(10):1346-1352 

  25. Lee SS, Cha YE.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Public Support and the Depression of the Functional Disabl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3;14(3):165-180 (Korean) 

  26. O'Connor RC, Connery H, Cheyne WM. Hopelessness: the Role of Depression Future Directed Thinking and Cognitive Vulnerability.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00;5(2):155-161 

  27. Uncapher H, Gallagher-Thompson D, Osgood NJ, Bongar B.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Gerontologist 1998;38(1):62-70 

  28. Bjarehed J, Sarkohi A, Andersson G. Less positive or more negative Future-directed thinking in mild to moderate depression. Cogn Behav Ther 2010;39(1):37-45 

  29. Kissane M, McLaren S. Sense of belonging as a predictor of reasons for living in older adults. Death Stud 2006;30(3):243-258 

  30. Lin N, Ye X, Ensel WM. Social Support and depressed mood: A structural analysis. J Health Soc Behav 1999;40(4):344-35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