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다큐멘터리의 재현양식과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odes and Reality of Web Documentaries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5, 2016년, pp.259 - 282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큐멘터리는 영화에서 텔레비전,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거치며 새로운 장르 형식으로 재탄생되고 있으며, 웹다큐멘터리는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웹다큐멘터리는 제작자와 이용자에 의해 구성되는 다큐멘터리로, 이용자의 상호작용이 절대적인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석탄 끝으로의 여행(Journey to the End of Coal)>과 <프리즌 밸리(Prison Valley)> 등 두 편의 웹 다큐멘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웹다큐멘터리가 웹이 표현매체로서 지닌 특징들을 어떻게 활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현실을 체험하도록 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이중적, 공간적 구조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백과사전적 특징과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현실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에 직접 대면토록 한다. 또한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에게 다큐멘터리를 진행시키고 텍스트를 확장하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현실을 탐구해가는 주체로서의 의식을 자극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웹다큐멘터리의 이용자는 다큐멘터리가 제안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이면의 의미를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은 웹다큐멘터리를 현실을 추구하는 방식은 물론 그것이 지닌 의미에 있어서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와 차별화된 텍스트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웹다큐멘터리 현상의 혁신적인 지위는 분명해지며, 웹다큐멘터리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웹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새로운 미디어 기술 현상을 넘어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cumentaries are being recreated into a new genre and the Web Documentary is the typical case. Web Documentaries are the documentaries those comprise creators and users and they are the novel type of text that the interaction with users is absolute. In this research, two Web Documentaries and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다큐멘터리의 형식과 그동안 다큐멘터리를 둘러싸고 진행되어온 논의들이 새로운 형식의 다큐멘터리에서는 어떻게 문제화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인 다큐멘터리 장르로 부상하고 있는 웹다큐멘터리를 선정하여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체적 속성이 다큐멘터리의 형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러한 형식의 변화 속에서 객관성, 실재성, 서사성과 같은 다큐멘터리의 특징들이 지닌 의미가 어떻게 변모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다큐멘터리의 형식과 그동안 다큐멘터리를 둘러싸고 진행되어온 논의들이 새로운 형식의 다큐멘터리에서는 어떻게 문제화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인 다큐멘터리 장르로 부상하고 있는 웹다큐멘터리를 선정하여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매체적 속성이 다큐멘터리의 형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러한 형식의 변화 속에서 객관성, 실재성, 서사성과 같은 다큐멘터리의 특징들이 지닌 의미가 어떻게 변모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웹다큐멘터리는 단순히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소설이나 인터랙티브 영화 혹은 디지털 게임과 같이 이용자가 텍스트의 구성과 진행에 실질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내용 자체를 조작하거나 재구성, 변형시킬 수 있는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다.
  • 이상과 같은 두 편의 웹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성이라는 새로운 기술적 가능성이 다큐멘터리의 재현양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으며, 나아가 실재성 즉 리얼리티와 같은 다큐멘터리의 이슈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는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조작가능성은 디지털 콘텐츠의 완전복제성과 선별적 접근가능성의 결과로 파생된 일종의 편집가능성으로 디지털 정보는 어떤 형태의 것이든 쉽게 편집하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13) 디지털 콘텐츠의 내용을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쉽게 조작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상호작용성 혹은 상호작용성과 연관되어 있는 위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기술적 특징에 기인하는 것이다.
  • 22) 실제로 이용자가 텍스트에 들어가기 전의 과 의 텍스트 자체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텍스트 조각들의 조직으로, 이들의 관계는 임시적(tentative)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미디어에서 상호작용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먼저 상호작용성은 웹미디어와 이용자 간에, 웹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용자 간에 혹은 미디어 간에 여러 가지 형태와 차원의 상호교류가 가능함을 뜻한다. 즉 상호작용성은 기존의 미디어처럼 일방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선별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하고, 이용자와 웹의 시스템 간에 그리고 이용자들 간에 즉각적이고 상호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새로운 장르 형식으로 재탄생한 다큐멘터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기존 콘텐츠의 표현 양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강력한 표현매체(expressive medium)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제 다큐멘터리는 영화에서 텔레비전,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거치며 새로운 장르 형식으로 재탄생되고 있다.1) 대표적으로 웹다큐멘터리(web documentary)라는 장르가 그것이며, 여기 그치지 않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형식의 다큐멘터리까지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에 의해 점점 더 실재와 허구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에서 독립적인 속성을 지닌 하이브리드 장르로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animated documentary)가 지닌 의의도 재평가되고 있다.2) 나아가 다큐멘터리에 대한 다양한 재현양식들이 시도되면서 사실과 허구의 경계 위에 페이크 다큐멘터리(fake documentary) 혹은 모크 다큐멘터리(mock-documentary)와 같은 형식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3)
석탄 끝으로의 여행과 프리즌 밸리는 텍스톤과 스크립톤과 관련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여기에 이용자가 자신이 다른 이용자와 토론할 수 있는 의제를 제안하여 토론방을 꾸미는 등 다큐멘터리의 내용과 관련한 이슈를 중심으로 텍스톤까지 구성할 수 있다. <석탄 끝으로의 여행>이 주어진 텍스톤 내에서 이용자가 스크립톤을 드러내는 것이라면, <프리즌 밸리>는 텍스톤을 기반으로 스크립톤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텍스톤 자체를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빌 니콜스, 이선화 역,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아카데미, 2005. 

  2. 차민철, 다큐멘터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 강태호,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주관성과 신빙성 독일언어문학 제39권 0호(2008) pp.265-285. 

  4. 김영옥, 을 통해 본 디지털 문화 속 웹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징,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제34호(2014), pp.23-43. 

  5. 박미선.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제53호(2012), pp.63-87. 

  6. 유현석, 다큐멘터리를 이해하는 방법, 진실과 리얼리티, 사회과학연구, 제15권1호(2009), pp.83-101. 

  7. 이현석.Animated Documentary 장르의 특성에 대한 탐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9호 3권(2011), pp.53-68. 

  8. 정혜경.김혜경,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의 시각적 스타일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제42호(2016), pp.25-52. 

  9. 최영송, 들뢰즈의 다큐멘터리 이미지, 한국방송학보 제28권 1호(2014), pp.245-280. 

  10. 허욱, 경계를 넘는 도전 - 다큐멘터리의 재현 양식 연구,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연구소 논문집, 제2011호(2011), pp.1-11. 

  11. 형대조.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영화연구, 제62호(2014), pp.423-452. 

  12. 형대조.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영화연구, 제58호(2013), pp.483-513. 

  13. 형대조.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모크(mock)하는가? 영화연구 제54호(2012), pp.469-492. 

  14. Bryan Alexander.The New Digital Storytelling: Creating Narratives with New Media, Praeger: Santa Barbara, 2011. 

  15. Espen Aarseth. Cybertext: Perspectives on Ergodic Literatu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1997. 

  16. Janet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New York: The Free Press.1997. 

  17. Jay Bolter. Writing Space: The Computer, Hypertext and The History of Writing, Erlbaum, 1991. 

  18. Marie-Laure Ryan. Cyberspace Textuality: Computer Technology and Literary Theo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9. Michael Renov, (ed.), Theorizing Documentary, Routledge,1993. 

  20. Nicholas Carr. The Shallows : What the Internet in Doing to our Brains, W.W.Norton & Company, 2010. 

  21. Sandra Gaudenzi. The Living Documentary: From Representing Reality to Co-creating Reality in Digital Interactive Documentary, University of London. 2013. 

  22. Elizabeth Jane Evans, "Character, Audience Agency and Trans-media Drama".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30, No.1(2008). pp.197-213. 

  23. Robert Moses Peaslee, "It's Fine as Long as You Draw, But Don't Film: Waltz with Bashir and the Postmodern Function of Animated Documentary", Visual Communication Quarterly, Vol.18 No.4(2011) pp.223-235 

  24. 김주환. 디지털 시대의 미술, 월간 미술 제196호(2001.5), pp.84-87. 

  25. http://prisonvalley.arte.tv/ 

  26. http://www.honkytonk.fr/index.php/webdo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