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 노선체계 평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지표의 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cial Equity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Bus Network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6, 2016년, pp.24 - 35  

양선규 (대전광역시청 버스정책과) ,  장현봉 (목원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내버스 노선체계 평가 시 평가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형평성을 수평적 관점과 수직적 관점에서 수평적 형평성, 수평적 접근성, 수직적 형평성, 수직적 접근성의 4개 지표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통합 지표로서의 사회적 형평성을 정의하였다. 개발한 평가지표를 모의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형평성의 지표는 존별 상대 비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적 관점을 포함한 평가와 포함하지 않은 평가 사례의 비교를 통해 노선체계에서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하는 경우, 평가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포함하여 평가할 경우의 최적 대안은 이 지표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최적 대안과는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써 공공서비스인 시내버스 노선체계를 평가할 때에, 경제적인 효율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 등을 고려한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반영하여 평가하는 방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veloped social equity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bus networks. This paper divided the social equity is into 4 categories such as horizontal equity, horizontal accessibility, vertical equity, and vertical accessibility and social equity was defined as integrated concept of these ind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버스 관리자는 버스노선체계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지자체(정부)로 볼 수 있다. 관리자는 이용자가 버스노선을 빠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노선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사회적 관점을 포함할 경우, 형평성, 접근성차원에서 소외된 이용자가 방치되는 사회적인 불평등상태를 해소하여, 평등하게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버스 관리자의 목적이 될 수 있다.
  • 본 논문은 기존의 노선체계 평가 시 경제적 효율성 위주의 평가지표들에 의하여 평가해 오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이러한 배경으로 본 논문은 시내버스 노선체계 평가 시 사회적 관점을 고려한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개발하고, 실증 사례를 통해 지표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형평성을 수평적 형평성, 수평적 접근성, 수직적 형평성, 수직적 접근성으로 네 가지로 구분하여 노선체계 평가 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또한 노선체계 측면의 선행연구를 보면 특정 지역의 일부 노선망이나 버스전용차로에 대해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서, 현실의 모사 및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 형평성 지표를 개발하여 노선체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정량화 하였으며, 실제 도시 노선체계에 대해 평가해 봄으로써 연구의 실효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가설 설정

  • 개발한 사회적 형평성 지표가 존별 상대비교에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가상의 버스네트워크를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가상의 네트워크는 9개 존으로 설정하여, 버스 대수는 20대, 링크별 통행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하여 10개의 노선을 산정하였다. 노선의 설계는 구축된 기종점 통행량을 토대로 상위 O/D부터 이어나가는 방식으로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평적 형평성이란? 교통에서의 사회적 형평성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수평적 형평성(horizontal equity)과 수직적 형평성(vertical equity)으로 분류된다. 수평적 형평성이란 능력과 요구 정도가 비슷한 개인과 집단 간에 영향이 고르게 미치도록 배분을 공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교통서비스가 필요한 개인 이나 계층으로 하여금 동질의 서비스를 누리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정책과 규제 측면에서 수평적 형평성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모두에게 집행되어야 하며, 공적 차원의 지원이나 비용 부담도 계층 간 차별 없이 동등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버스노선체계 평가 시 어떤 주체들의 생각을 반영해야 하는가? 버스노선체계 평가 시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의 입장을 반영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에 관련된 주체는 주로 버스 운영자, 이용자, 관리 자로 나눌 수 있으며, 혹자는 버스 관리자의 관점을 다시 사회적 관점과 관리자 관점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교통에서의 사회적 형평성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교통에서의 사회적 형평성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수평적 형평성(horizontal equity)과 수직적 형평성(vertical equity)으로 분류된다. 수평적 형평성이란 능력과 요구 정도가 비슷한 개인과 집단 간에 영향이 고르게 미치도록 배분을 공정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교통서비스가 필요한 개인 이나 계층으로 하여금 동질의 서비스를 누리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itman (2005), "Evaluating Transportation Equity," World Transport Policy and Practice, vol. 8, no. 2, pp.50-65. 

  2. Lee Y. W. (1998), A Study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for Restructuring Urban-bus Routes,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3. Lee S. Y. and Park K. A. (2003),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ity Bus Route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1, no. 4, pp.29-44. 

  4. Yang S. K. and Chang H. B. (2012), "Evaluation of Bus Routes Network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Equity :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Daejeon,"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7, no. 2, pp.133-143. 

  5. Jung I. H., Lee B. J. and Kim H. R. (2011), The Strategies of Equity Improvement Toward Fair Society : Focusing on the Equity in Transportation Polic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6. Ahn K. J. (2008), The Analysis on Social Equity of Inter-city Exclusive Bus Lan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7. Koopmans C., Rietveld P. and Huijg A. (2012), "An Accessibility Approach to Railways and Municipal Population Growth, 1840-1930,"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25, pp.98-104. 

  8. Tiwari G. and Jane D. (2012), "Accessibility and Safety Indicators for all Road Users : Case Study Delhi BR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22, pp.87-95. 

  9. Gutierrez J., Condeco-Melhorado A. and Martin J. C. (2010), "Using Accessibility Indicators and GIS to Assess Spatial Spillovers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18, pp.141-152. 

  10. Lee J. Y., Choi J. S., Park E. A. and Cheon J. Y. (2013), A Study on Transportation Cost Expenditures and Social Equit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pp.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