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간 형평성을 고려한 Zone 기반의 버스노선 평가모형 개발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의 Zone별 분포도를 중심으로
Bus Route Evaluation Hodel based on Zone Considering Interregional -By Zone Distribution of Seoul Trunk Bu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5, 2013년, pp.2041 - 2048  

박범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강원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노창균 (연세대학교) ,  김지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버스교통문제의 계량화와 개선을 위한 목표치 등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평가지표의 설정 및 평가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평가의 경우 평가근거가 모호하거나, 평가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항목이 있으며, 이러한 평가지표 및 방안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 중 버스노선 평가측면의 기존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를 위해 지역간 형성성을 고려한 버스노선 분포도 평가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버스노선의 형평성 및 중복성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존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방안에서 발생한 평가기준의 모호함을 해결하고자 Zone기반(대중교통 권역)의 평가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버스권역을 기준으로 한 Zone단위 평가방안을 예로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평가방안에 의하여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99개 노선을 기준으로 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시행결과 종로구, 중구 및 용산구를 권역으로 하는 Zone (0)의 버스노선의 평가결과가 가장 높았으며, 타 지역으로의 이동 또한 용이하도록 노선이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노선의 분포를 고려하여 지역적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노선의 개편 및 추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methods for reasonable diagnosis for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the problems in evaluation ground and propriety. Therefore, this research develop the method and equation for evaluating bus route considering interregional equity and route doub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과노선을 제외하고 버스노선의 시・종점을 기준으로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한 버스노선의 중복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적용한 결과, 서울특별시의 경우 공영제 시행 이후 버스체계가 개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한 일부 노선의 개선 또는 추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모형은 버스노선의 중복도 및 형평성 측면 평가를 기종점 중심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버스노선 중 노선번호에 기록되지 않는 Zone을 경유할수 있으며, 환승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나, 이러한 부분은 서울특별시 버스노선 총괄적인 노선체계에서는 이로 인한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국외에서 활용중인 평가모형을 포함한 기존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모형 검토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간선버스(파란버스)이며, 2011년 5월 현재 운행 중인 버스를 중심으로 버스노선의 중복도를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적용한 Zone은 서울특별시 버스체계에 적용하고 있는 버스권역으로 정의하고 분석하였으며, 이는 분석방안 적용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버스노선의 분석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을 기준으로 Zone을 세분화하여 동일한 방안에 의하여 적용한 분석결과로 수행가능하며, 세분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서울특별시 교통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서울특별시에는 56개 버스회사에서 총 119개의 간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운행차량은 3,520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119개의 간선버스 노선의 노선번호를 이용하여 Zone간 운행하는 버스의 노선수를 기준으로 버스노선의 중복도를 평가하는 모형을 수립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버스노선의 분포도를 포함한 중복도를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버스노선의 중복도 는 버스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평가체계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평가지표의 적용상의 문제점에 의하여 사용되지 못하였다.
  • 따라서 평가지표상의 이러한 문제점은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방안으로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Zone을 기준으로 한 버스노선의 분포도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는 어떤 지표인가?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의 경우 버스노선이 특정지역 또는 구간에 분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각 노선별로 산출한 노선의 중복도 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전체 버스노선의 중복도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를 위하여 버스노선이 중복되는 노선구간의 길이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한 두 노선간의 중복도를 평가할 경우 평가자에 따라 중복구간의 길이가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항목 및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한 지표의 평가결과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기존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 방법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첫 번째, 평가구간 길이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평가지표에 따르면 특정노선의 기, 종점을 중심으로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그 구간에 대한 버스노선의 중복도를 평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 1개 구간의 길이를 정의하는 방법과 n개 구간으로 나누는 방법에 따라 그 노선의 중복도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구간 길이를 짧게 선정할 경우 중복노선이 과다해져서 평가지표 결과값이 낮게 나오는 반면, 반대로 길어질 경우 중복도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도출된다. 두 번째로 버스노선 중복도 평가시 기준이 되는 노선에 따라 동일 노선에 대한 평가 결과값이 다르게 도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다.
대중교통 운영자와 이용자 측면에서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는 대중교통 운영자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버스노선 관리를 위하여, 승객인 이용자 측면에서는 이동편의성 측면에서 필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윤혁렬(2004)의 연구에 따르면 프랑스(La Palmeries 2000 des Transport) 및 싱가폴(Bus Service Standards) 등 대중교통평가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다고 평가받는 국가에서도 시행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미국의 경우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에서만 버스노선의 중복도 평가를 다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Avishai Ceder (2007). Public transit planning and operation, Elsevier, Oxford. 

  2. H. Benn (1995).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TCRP Synthesis 10. 

  3. La Vie du Rail et des Transport. (2000). Le palmares 2000 des transport, No. 152 (in French). 

  4. Lee, S. Y. and Park, K. A. (2003).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ity bus route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aion, Vol. 21, No. 4, pp. 29-156 (in Korean). 

  5. Silcock, D. T. (1981). Measures of operational performance for urban bus services,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6. Yun, H. R. (2004). Monitoring bus service systems - for seoul bus system reform programs, The Seoul Institute (in Korean). 

  7. http://topis.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